110. 옥산서원과 독락당 주변을 탐방하다.
옥산서원과 독락당 주변을 탐방하다.
오늘이 2013년 5월 29일
지난 봄에 찾았던 옥산서원과 독락당을 다시 찾았다. 지난 봄에는 잎이 피어나고 있을 때라 자세한 모습을 살필수가 없었다.
오늘은 신록이 우거지는 계절! 옛 선현의 자취를 다시 살피면서 나무사랑 정신에 젖어보기로 하였다.
옥산서원 주변에는 많은 거목의 고목들이 있다. 지금도 자람은 양호하다. 그 옛날 어떻게 이런 나무를 심고 보전하여 왔을까를
생각하니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나무 종류는 회화나무, 향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 다양하다.
<사진 1> 옥산서원을 지나는 길을 걸으면 숲 속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전부가 숲으로 싸여 있다. 사진은 이 나무를 심으면 집안과
가문에 인재가 태어난다는 회화나무다. 오래되었고 잘 자랐다. 여러 그루가 있다.
<사진 2> 서원 주변에 있는 산팽나무다. 싱싱하다.
<사진 3> 쉬나무도 자라고 있다. 이 나무의 열매로 기름을 짜서 등불을 밝히는데 사용하였다 한다.
<사진 4> 팽나무다. 이상하게도 잎 가에 톱니가 잘 보이질 않는 것도 있다.
<사진 5> 서원 옆에 자리한 계곡의 암반이다. 넓고 깨끗하고 시원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고 한다.
<사진 6> 향나무의 모습이다. 여름에 쉴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다.
<사진 7> 서원 안에 있는 향나무.
<사진 8> 서원 옆 계곡의 암반에 늘어진 팽나무.
<사진 9> 팽나무의 어린 열매.
<사진 10> 말채나무가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
<사진 11> 말채나무의 꽃을 자세히 보면 이렇게 생겼다.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키가 큰 나무다.
<사진 12> 독락당 마당에서 자라고 있는 중국 주엽나무다. 우리 나라의 조각자나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는 공사 관계로 보질
못했다.
<사진 13> 독락당 마당의 향나무.
<사진 14> 독락당 뒤편의 숲에서 본 나무다. 팥배나무가 열매를 달고 있다.
<사진 15> 작살나무도 꽃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16> 느릅나무다. 잎이 매우 넓다.
<사진 17> 물푸레나무의 모습.
<사진 18> 숲의 한 편에 분꽃나무가 자라고 있다.
<사진 19>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나무다. 줄기에 가시가 있다. 잎의 모양이 매끈해졌다. 꾸지뽕나무다. 세월이 지나면 나무의 형태도
변하는지 궁금하다.
<사진 20> 꾸지뽕나무의 다른 모습.
<사진 21> 까마귀밥여름나무도 자라고 있다. 내년에는 꽃이 필려는지?
<사진 22> 숲 가의 살구나무 - 살구가 달렸다.
<사진 23> 호두나무다. 심어서 가꾼 것이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