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을 알자
448. 산각시취
죽림, 대숲, 사라미
2015. 9. 25. 17:18
<산각시취>
학명은 Saussurea umbros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의 함경남북도, 중국 북동부,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키는 60∼75cm 정도 자란다.
◈ 원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날개와 줄이 있으며 털이 난다.
◈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지고,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0cm 정도 이다.
◈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잎자루와 원줄기로 흘러내린다.
◈ 잎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 꽃은 8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지름 17mm 정도 되는 꽃이 가지 끝에 몇 개씩 달린다. 사진의 검은 알맹이가 꽃봉오리다.
◈ 총포는 종 모양이며 지름 약 12mm, 길이 11∼13mm이다.
◈ 포에는 거미줄과 돌기 같은 털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포조각은 4줄로 늘어선다.
◈ 포의 바깥조각은 달걀 모양으로 점점 좁아지고 끝이 젖혀지며, 안조각은 줄 모양이다.
◈ 열매는 수과이다.
◈ 다른 이름으로 골분취, 그늘취라고도 부른다.
※ 감사합니다. 사진은 백두산 초원에서 자라는 산각시취입니다. 그리고 내용은 백과사전의 내용을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