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을 알자

529. 둥근잎꿩의비름

죽림, 대숲, 사라미 2019. 10. 7. 20:53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돌나물과 (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주왕산 계곡의 바위틈이나 절벽의 바위 위에 붙어 생육하거나 전석지의 돌틈에서 자생한다. 
  높이 15-25cm 정도 자라며 줄기가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 정도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자루는 없고 잎은 마주나며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홍자색으로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열매는 골돌로서 5개 정도이다. 
  몇 개의 굵은 뿌리가 있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한다.
   ⓵ 실생번식 - 11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하며 1년동안 적절히 관리한 후 다음해에 이식한다.
   ⓶ 삽목번식 - 겨울철의 고사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잎꽂이가 가능하다. 
  배수가 잘되고 햇볕이 잘 드는 양지가 자라는 환경으로 좋으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경상북도에 한정되어 자라는 종으로 5~10곳의 자생지가 있다. 
  한국의 특산종으로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하다.  
  잎과 꽃차례가 둥글고 꽃이 자홍색인 것이 큰꿩의비름과 다르다. 
  속명 Sedum은 라틴어 sedere(앉는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위겉에 붙어서 자라는 형태에서 기인한 것이다.

 


  유사종으로는
   자주꿩의비름(S. telephium var. purpurem L.)
   큰꿩의비름(S. spectabile Boreau)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Miq.)
   세잎꿩의비름(S. verticillatum L.) 등이 있다.

 

참고 사이트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39748

 

 

※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특산종입니다. 아끼고 보존하여 우세에 보전하는데 힘을 보태야겠습니다.   

'풀을 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1. 쇠서나물  (0) 2019.11.02
530. 물매화  (0) 2019.10.14
528. 주홍서나물과 붉은서나물  (0) 2019.10.06
527. 막실라리아  (0) 2019.07.17
526. 나래가막사리  (0)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