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것 우리것 24

24. 경산 난포 고택을 보다.

1. 날짜 : 2025년 2월 26일 2. 동행 : 나미회 회원 3. 이야기 난포고택(蘭圃古宅) 또는 난포종택이라 하였다. 본문에서는 난포고택으로 사용.난포고택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있는 곳은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운용로 792(용성면 곡란리 526-6)에 있다. 안내에 의하면난포(蘭圃)는 영천 최씨(永川 崔氏) 최한(崔漢)의 14세손인 최철견(崔鐵堅/1525-1594) 선생의 호(號)이다.난포 최철견 선생은 조선시대 문신으로 청주부사, 전라도사를 지냈으며, 임진왜란 당시 70세의 고령에도 손자인 인수, 증손인 준립 등과 함께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아화산성(阿火山城)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난포고택은 난포 최철견 선생이 경상북도 영천 창수(현 영천 금호)에서 현 위치로 이거(移..

내것 우리것 2025.03.06

23. 제천 의림지(義林池) 치유숲길을 걷다.

1. 날짜 : 2025년 2월 19일2. 동행 : 젊음의 청춘팀3. 이야기  제천 제2 의림지라 불리는 비룡담둘레길을 걸어보았다. 요즘은 각 지자체마다 걷기길이 매우 많다. 오늘은 제천 의림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걷기길을 '의림지치유숲길'이 좋은 이름 같아서 불러본다. 의림지가 제천을 상징하는 뜻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다. 오늘 일정은  제천족구장 앞- 솔밭공원 – 비룡담둘레길 – 점심 - 의림지와 제림 살핌 - 의림지역사박물관을 돌아보는 순서로 진행된다. 2016년 8월 13일 용산팀에서 이 곳에 왔을 때는 삼한시대의 유적인 의림지를 돌아본다는 큰 희망을 안고 왔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오늘은 그런 날이 아니고 될수도 없다. 물론 그때 보다 많은 변화가 있긴하다. 그래도 오늘은 웬지모르게 그렇게 마음이 ..

내것 우리것 2025.03.02

22. 동해(東海)는 맑고 푸르다.

동해(東海)는 맑고 푸르다.>1. 날짜 : 2025년 1월 6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대구에서 울진 까지 가는데는 7번 국도를 이용한다.  물론 대구·포항간 고속도로를 이용하지만, 포항 이후에는 개통하는데 20여년이 걸린 7번 국도를 이용한다. 우리나라의 국토에 거미줄 같이 얽힌 고속도로지만 이 곳은 아직이다. 왜 그런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동해안이 자동차의 황금노선이라 그런가? 동서축을 만든다고 겨우 영덕·당진간 고속도로가 전부다. 그러나 그 이상은 언제가 될려는지 멀게만 느껴진다. 그런데 2025년 1월 1일 부터는 동해선 철도가 개통되었다. 천지(天地)가 개벽(開闢)할 일이라 나는 생각한다. 이 또한 몇 십년이 걸려서 만든 작품이다. 앞으로 동해안 시대가 열릴것이라 기대는 해 ..

내것 우리것 2025.01.10

21. 2024년 하반기 목철 인문 문화탐방(3)

주제 3. 구미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관람. >1. 날짜 : 2024년 10월 31일 (13:20 – 14:20) 2. 동행 : 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문화탐방 3. 이야기 ●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이 있는 곳은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23이고 전화는 (054) 480-4940 이다.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사업개요를 살펴보면 ● 위치 : 구미시 상모동 156-1번지 일원 ● 사업시간 : 2014년 – 2020년 ● 대지면적 : 6,164㎡ ● 사업규모 : 연면적 4,358.98㎡(지하 1층, 지상 2층) ● 사업비 : 159억원(국 64억원, 도 15억원, 시 80억원) ● 사업내용 : 전시실(상설 · 기획), 수장고, 세미나실, 아카이브실 등 ● 박정희(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은 아버지 박..

내것 우리것 2024.11.11

20. 2024년 하반기 목철 인문 문화탐방(2)

1. 날짜 : 2024년 10월 31일 (12:20 – 13:20) 2. 동행 : 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문화탐방 3. 이야기 박정희 대통령 생가가 있는 곳은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상모동)  Tel : (054) 461-8600,  민족중흥관 (054) 480-6631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정기 휴관 안내 :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평일) 박정희 대통령 생가보존회   http://www.presidentparkchunghee.or.kr가까운 곳은 가깝다고 뒤로 미루다보니 이렇게 되었다. 반세기의 가난을 해결하신 분이고 현재와 같은 우리 나라를 이룩하신 분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개인적으로는 제일 존경하는 분이다. 우리나라 역사상 이렇게 위대하신 분은 없다고 지금 까지 ..

내것 우리것 2024.11.09

19. 2024년 하반기 목철 인문 문화탐방(1)

주제 1. 구미 왕산 허위(旺山 許蔿) 기념관 탐방>1. 날짜 : 2024년 10월 31일2. 동행 : 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문화탐방3. 이야기 2024년 하반기 대구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문화탐방에 함께 하였다. 전반기에는 사정에 의해서 참여하지 못했다. 늘 그러했듯이 가까운 곳은 언제든지 기회가 있으니 뒤로 미루다보니 늦어지고 먼 곳은 멀어서 시간을 맞추기 어려워 실행에 옮기는 일이 허다하다. 이번 하반기 현장연수 또한 그러하였다. 가는 곳은 대구에서 한 시간 남짓 걸리는 경상북도 구미지역이다. 8시 45분 까지 도시철도 2호선 용산역 중소기업명품관 앞에 모인다. 그리고 인원 점검과 이름표를 배부받고 9시에 구미로 출발한다. 구미에 있는 왕산 허위 기념관 탐방과 특강을 듣고 점식식사를 한다. 점심을 먹..

내것 우리것 2024.11.09

18. 아양루((峨洋樓))에서.

(峨洋樓) 에서>1. 날짜 : 2024년 8월 28일2. 동행 : 나미회 회원3. 이야기  날씨가 너무 여름다워서 시원한 골짜기인 치산계곡을 간다. 치산계곡은 2016년 8월에 갔던 곳이다. 당시에는 7월이 나무 더워서 여름을 나기가 힘들었다고 했는데, 올해는 여름이 8월이다. 어쨌던 더워야 여름인가 보다하면서 지내는 것이 상책이라 생각된다.   9시 30분 아양교역에서 만나기로 하였는데, 시간 관념이 더위에 엉망이 되었는지 8시 20분에 약속된 장소에 도착했다. 생각해봐도 너무 이른 시각이다. 오랜만에 온 곳이라 아양루를 돌아본다. 아양루는 멀리 가지않고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아양루에는 아무도 없다. 다만 짝을 만난 고양이 두 마리가 철망 곁에서 사람을 피한다. 아양루 밑에는 철망을 둘러처서 들어갈..

내것 우리것 2024.08.31

17. 대구 상동 지석묘(上洞 支石墓)에 대하여.

1. 살핀 날 : 2024년 5월  9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대구 상동지역에는 오래전 잘 자란 은행나무가 있었는데 이 지역이 개발지역에 해당되어 이 나무가 현재 범어로타리 지하철역 출입구 부근에 옮겨심어져 자라고 있다.  인근에서는 보기 힘들게 잘 자란 나무여서 이 곳을 지나는 사람들이 자주 둘러보곤 한다.  이 은행나무는 나무보호단체와 주민들의 도움으로 지금의 자리에 옮겨져  활착하고 창공으로 가지를 뻗으며 잘 자라고 있다.  이 상동지역에 있었던 지석묘도 현재 대구광역시문화예술회관 마당에 옮겨져 있어 이를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이 지석묘에 대한 안내는 다음과 같다.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대구지역은 신천을 비롯한 여러 하천의 ..

내것 우리것 2024.05.14

16.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가다.

1. 날짜 : 2024년 2월 28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오전 일정으로 납월설중매가 있는 금전산 금둔사를 돌아보았다. 생각한 것에 못지않게 많은 것을 보고 배운다.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일찍 꽃을 피운 납월홍매는 한창이었고 토종 차나무는 말없이 지나는 길손을 맞고 보낸다. 이제 이 곳을 찾았으니 주변에서 이름난 맛집으로 ‘벌교 꼬막정식 남도사또밥상‘식당으로 간다. 한 마디로 식탁은 풍성하다. 원래는 ’최대감 벌교 꼬막정식‘으로 가려했으나 하필 최대감이 오늘은 정기 휴무라 대신 ’남도사또밥상‘으로 한다. 특징은 정식이고 꼬막을 주제로한 식단으로 반찬이 30가지가 넘는다. 그래서 한 상 가득이라 풍성하다고 했다. 오후 일정으로 우리나라 3대읍성의 하나로 알려진 낙안읍성민속마을을 돌아보기로 한..

내것 우리것 2024.03.06

15. 평해 북천교비(平海 北川橋碑)를 찾다.

1. 날짜 : 2023년 7월 21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이 비각을 본 것은 오늘 보다 이른 때이다. 이 곳은 월송정을 마주보는 옛 7번국도변에 있는 비각인데 늘 평해황씨 입향조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주변에 다른 것은 없고 도로변에 나지막한 비각만 서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위치가 월송정이 있는 북편 끝자락 군무봉을 akwnw보고 있는 곳이고 또 평해황씨 입향조의 묘가 있는 아래쪽이라 이 문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오늘은 어쩐 일인지 이 곳을 살펴보고 싶은 생각이 있어 살펴보니 아주 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비석이다. 내용인즉 바닷물로 인해 사람들의 통행이 어려운곳을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평해군수의 승인을 받고 다리를 놓았다. 이 때 같이 힘을 합하여 일한 사람들..

내것 우리것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