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 구별

35. 팽나무, 산팽나무, 풍게나무의 연구

죽림, 대숲, 사라미 2010. 7. 22. 15:47

 



  팽나무, 산팽나무, 왕팽나무, 풍게나무는 모두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들이다.
  잎은 어긋나고 둥근 모양의 잎을 가졌으며 잎의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를 갖고 있다.

      1. 팽나무
          ⊙  느릅나뭇과의 갈잎큰키나무로 20m 정도 까지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 잎의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열매는 핵과로 9월 경에 익는다. 열매자루의 길이는 10-15mm 정도이며 열매의 지름은 3mm 정도다.
         ⊙  목재는 건축, 기구재료로 쓰이고, 정자나무로 많이 재배한다.




 
      2. 산팽나무
           ⊙  느릅나뭇과 팽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  측맥은 2-3쌍이며 잎은 어긋난다.
          ⊙  팽나무와는 달리 잎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윗부분은 결각 모양이거나 둥글다.
          ⊙  꽃과 열매는 팽나무와 비슷하다.
          ⊙  다른 종으로 산팽나무가 잎의 윗부분에만 톱니가 있는 반면에 기부 주위를 제외한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톱니가 있는 왕팽나무도
있다.
 


 


      3. 왕팽나무
           ⊙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  잎은  어긋나며 원형이나 넓은 도란형으로 양면에는 털이 없고 잎의 윗부분에 3-5개의 결각이나
               가장자리에 크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산팽나무는 잎의 가장자리의 상반부에만 톱니가 있는데 왕팽나무는 잎의 가장자리 아랫부분 까지 톱니가 있다.
          ⊙  잎의 끝이 길게 뾰족해 지고 잎 끝에 3-5개의 결각을 가지며 열매가 검은색으로 익는다.
          ⊙  꽃은 잡성화로 수꽃은 취산꽃차례로 피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핀다. 열매는 10월 경에 익는다.
          ⊙  우리 나라의 중부 이북, 강원도, 경상북도 지방의 산기슭, 골짜기에 자란다.
          ⊙  열매는 식용으로, 나무는 가구재로 쓴다. 그외 녹음수나 건축재로 쓰기도 한다.

         ※  얼핏 보면 산팽나무와 왕팽나무의 모습이 같아 보이나 자세히 보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4. 풍게나무
           ⊙  풍게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는 10m 이상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며 밑은 둘글거나 다소 좁다.
          ⊙  잎 전체에 걸쳐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에 있는 톱니는 매우 날카롭다.
          ⊙  목재는 가구제, 기구제, 조각재 등에 이용되며 가로수나 정원수로 적당한 나무이다.
          ⊙  열매는 지름 8mm 정도 까지 굵으며, 열매자루는 25mm 정도 까지 길다.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위에서 말한 네 나무들은 모두 각각의 특징을 갖고 있어 모양만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팽나무는 잎이 둥글고 톱니가 잎의 윗부분에만 있다.           
       ⊙ 산팽나무는 톱니가 윗부분에 있고, 잎의 윗부분이 길게 뾰족하다. 
         
       ⊙ 왕팽나무는 톱니가 전체 잎 가장자리에 있으며 잎의 윗부분 모양이 길게 뾰족하다.
         
       ⊙ 풍게나무는 잎의 끝이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잎 전체에 
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