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살이'하면 우선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식물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던중 제천에 있는 산을 등산하다가 ‘참꽃나무겨우살이’를 알게 되었다. 여기서 나는 식물 모양과 기생하는 자체만 생각하였다. 참꽃나무겨우살이는 기생하는 식물이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겨우살이와는 과가 다른 식물이었다. 겨울 동안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수란 사실도 새로 알게 되었다. 산행을 마치고 돌아와 차제에 겨우살이에 대해 분명히 해 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꽃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등이 있어 정리해 보았다. 1. 참꽃나무겨우살이 ⊙ 진달래과의 늘푸른떨기나무로 '꼬리진달래'라고도 부른다. ⊙ 경북, 충북, 강원도의 산록 양지쪽에 자라는 상록떨기나무로 높이 2m까지 자란다. ⊙ 잎은 길이 1-2cm로 타원형 또는 달걀형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 앞면은 녹색으로 흰점이 있고 뒷면은 갈색 비늘 조직이 있다. ⊙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에 20개 정도의 흰꽃이 5-7월에 피며 열매는 삭과로 긴타원형으로 가을에 익는다. (참꽃나무겨우살이는 아래의 다른 겨우살이들과는 과가 다른 식물이므로 같이 취급할 수 없는 식물이다.) 2. 참나무겨우살이 ⊙ 겨우살이과 ⊙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 주로 상록활엽수의 나무 위에 기생하는 상록성의 기생성 작은키나무이다. ⊙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넓은 타원형, 달걀 모양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3-6cm 이다. ⊙ 잎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과 새로 난 가지에 적갈색 털이 있다. ⊙ 꽃은 양성화이며 잎겨드랑이에 10월경 1-4개의 꽃자루 있는 꽃이 피며, 열매는 겨울을 지나 익는다. 3. 겨우살이 ⊙ 겨우살이과 ⊙ 밤나무, 참나무류, 팽나무, 자작나무 등의 나무 위에 기생하는 상록성작은키나무이다. ⊙ 가지는 둥글고 녹색, 갈녹색으로 2-3개로 갈라진다. ⊙ 잎은 가지끝에 마주나며 거꾸로피침형으로 끝은 둥글고 길이 3-7cm, 너비 6-12cm 정도이다. ⊙ 꽃은 암수다른나무로 가지 끝에 맺혀 2-3월에 피고 10-12월에 익는다. ⊙ 열매가 붉은 색으로 익는것은 붉은겨우살이 이다. ⊙ 종자가 새들에 의해 나무에 부착되거나 새의 배설물로 종자가 나무에 붙어 자연적으로 증식된다. ⊙ 종자는 발아후 5년이 지나야 본잎이 나온다. 4. 꼬리겨우살이 ⊙ 겨우살이과 ⊙ 밤나무, 벚나무, 배나무, 매실나무, 오리나무 등의 나무 위에 기생하는 낙엽성작은키나무이다. ⊙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겨우살이과 식물 중 유일하게 낙엽성작은키나무이다. ⊙ 가지는 두 갈래로 갈라진다. ⊙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고 밋밋하다. ⊙ 새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꽃이 달리며 길이 3-4cm로 6월경 황녹색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5. 동백나무겨우살이 ⊙ 겨우살이과 ⊙ 동백나무류, 사스레피나무, 감탕나무 등의 나무 위에 기생하는 상록성작은키나무이다. ⊙ 줄기는 6-30cm 까지 자란다. 녹색으로 마지가 많고 많이 갈라져 있다. ⊙ 마디 사이는 편평하고 마디 사이에서 가지가 마주 난다. ⊙ 잎은 퇴화하여 비늘처럼 되어 마디의 윗쪽 끝에 돌기처럼 달린다. ※ 감사합니다. 계속 보완하고 있습니다. |
※ 본 자료는 계속 자료를 확보하면서 완성하겠습니다.
'나무들 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잎의 수가 많은 소나무과의 나무들) (0) | 2010.09.09 |
---|---|
54. 이나무(의나무)와 먼나무에 대하여. (0) | 2010.09.04 |
52. 분꽃나무와 산분꽃나무의 구별 (0) | 2010.08.31 |
51. 굴거리나무와 실거리나무는 서로 가까운 사이인가? (0) | 2010.08.31 |
50. 잎의 측맥이 아름다운 히어리나무, 분단나무, 설구화나무의 구별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