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의 선시골(신선계곡)을 가다>
1. 날 짜 : 2013년 4월 3일
2. 동 행 : 예임회 회원
3. 탐방계획 : 선시골의 독실마을 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중간 지점인 3km에서 마침
4. 선시골에 대한 이야기
이 곳의 위치는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내선미)이다. 쉽게 말하면 백암온천 뒷 고개를 넘으면 내선미 마을이 나타나는데 이 마을에서 서북쪽으로 보이는 계곡이다. 이 계곡은 선시곡, 신선계곡, 신선골 등으로 부르고 있다. 이 골짜기에 1960년 무렵에는 30여호의가옥이 독실마을을 이루고 살고 있었으나 나라의 시책에 의해 이주하고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입구에서 독실마을 까지는 약 6km 거리인데 당시에는 마을 사람들이 임산물을 팔아서 해산물을 바꾸어 다니던 길이었는데, 그 흔적을 찾아 울진군과 남부지방산림청에서 다시 복원한 길이 오늘 걷는 길이다. 이 계곡은 한 마디로 깨끗하고 기암괴석으로 아름다우며 흐르는 물 또한 거울 같이 맑다. 그리고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더욱 계곡을 돋보이게 만들어 주고 있다. 사람이 걸을 수 있는 곳을 길을 보존하고 험한 곳은 나무데크로 길을 만들었다. 그늘을 만들어 주는 소나무와 활엽수들이 오염되지 않은 청정지역을 만들어 주고 있는 곳으로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로 거듭나리라 보았다.
이 곳은 국유림을 군민의 휴식 공간 제공을 위하여 울진군과 남부지방산림청이 공동으로 협약하여 추진하고 있는 선구리 생태탐방로 공동산림사업 구역이다.
● 사업명은 선구리 생태탐방로 공동산림사업
● 위치는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 산157, 산159
● 면적은 1.05ha
● 사업기간은 2008년 12월 부터 2017년 11월 까지이다.
<사진 1> 선시골 안내도
<사진 2> 진입하는 지점에 고인 물이 저수지 같다.
<사진 3> 금장광산 광해방지 시설물 벽화 조성 사업을 마친곳 - 이 곳은 광산을 하던 곳으로 지금 까지 회색의 시멘트 옹벽이었으나 주위 환경과 어울리지 않아 금강송을 배경으로 한 벽화를 그려 주변경관을 가꾸고 있다.
<사진 4> 아름다운 계곡 모습(1)
<사진 5> 아름다운 계곡 모습(2)
<사진 6> 아름다운 계곡 모습(3)
<사진 7> 아름다운 계곡 모습(4)
<사진 8> 계곡에 놓인 다리(1)
<사진 9> 아름다운 계곡 모습(5)
<사진 10> 역암이 물에 의해 닳아서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고 있다. 이 계곡의 바위와 돌은 모두 역암이다.
<사진 11> 자연이 만든 작품(1)
<사진 12> 자연이 만든 작품(2)
<사진 13> 자연이 만든 작품(3)
<사진 14> 자연이 만든 작품(4)
<사진 15> 자연이 만든 작품(5)
<사진 16> 자연이 만든 작품(6)
<사진 17> 자연이 만든 작품(7)
<사진 18> 바위 틈에 자라고 있는 매화말발도리 모습
<사진 19> 매화말발도리가 꽃망울을 달고 있다.
<사진 20> 산조팝나무도 봄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21> 박달나무의 피눈이 독특하다.
<사진 22> 어린 금강소나무의 모습
<사진 23> 바위 틈에 작품이 되어 있는 진달래
<사진 24> 계곡의 아름다운 모습(6)
<사진 25> 남산제비꽃이 이 곳에도 있다.
<사진 26> 자연과 나무데크의 어울림
<사진 27> 산조팝나무가 제법 잎을 피우고 있다.
<사진 28> 아름다운 계곡 모습(7)
<사진 29> 다시 확인할 나무도 있다.
<사진 30> 양지쪽의 산조팝나무는 잎을 많이 피웠다.
<사진 31> 매화말발도리가 꽃을 피우고 있다.
<사진 32> 매화말발도리꽃을 자세히 보면.
<사진 33> 각시붓꽃의 수줍은 모습
<사진 34> 봄에 나물로 먹는 회잎나무의 모습.
<사진 35> 말채나무가 보인다. 심은 것인지 자생인지 궁금하다.
<사진 36> 진달래가 온 산에 한창이다.
※ 본 내용을 차례로 소개하였습니다. 이 계곡은 정말 장래가 촉망되는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산이 좋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2. 동구의 초례봉을 오르다. (0) | 2013.04.11 |
---|---|
161. 부산 태종대에서 (0) | 2013.04.09 |
159. 앞산 골짜기를 가다. (0) | 2013.03.11 |
158. 마산 무학둘레길을 걷다. (0) | 2013.03.07 |
157. 명마산을 중심으로 (0) | 201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