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름나물
학명 Menyanthes trifoliata L.
●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 물풀(수초-水草)
● 연못, 개울가, 습지, 도랑 등에서 사는 북방계 식물로서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 현재 몇 군데 자생지만이 있다(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강원도(양구군, 평창군), 경상북도 울진군 자생지는 북방계식물의 남방한계선으로 의의가 컸으
나 현재 자생지가 멸절됨)
● 높이가 20-35cm정도로 자란다.
● 잎자루가 길고 3출엽으로 작은잎은 긴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사각상 타원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 꽃은 7-8월 백색 혹은 드물게 엷은 자색으로 핀다.
● 화경은 길이 20-40cm 정도로 잎 사이에서 나오며 끝부분에 꽃이 총상꽃차례로서 정생한다.
● 포는 길이 3-8mm로서 넓은 달걀모양이며 꽃자루는 길이 1-2.5cm이다.
● 꽃받침은 짧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꽃부리는 짧은 깔때기모양이며 5개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열편 안쪽에 긴 털이 밀생한다.
● 5개의 수술은 화통에 붙어 있고 1개의 암술이 있으나 포기에 따라 긴 수술에 짧은 암술의 꽃과 긴 암술에 짧은 수술의 꽃이 있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2-3.5mm 정도, 원형이며, 종자도 원형이다.
● 뿌리는 녹색으로 길게 옆으로 자라고 지름 7-10mm 정도이며 끝에서 잎자루가 긴 3출엽이 5-6개씩 나온다.
(아래 자료들은 2020년 포항 기청산식물원에서 번식하기 위해 캐우는 자료들임)
● 종자 번식한다.
●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취약종(VU)으로 평가되어 있다.
● 보호방안
고산 습지에 자라며 자생지는 10곳 미만으로 개체수도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아래 자료는 2015년 백두산 연변지역 야생화 탐사에서 찍은 자료임)
참고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37523 국가생물존지식정보시스템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294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감사합니다. 포항기청산식물원에서 재배하는 자료와 이해를 위한 참고자료도 이용하였습니다.
'풀을 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1. 솔잎난(松葉蘭) (0) | 2020.10.12 |
---|---|
560. 가는잎왕고들빼기 (0) | 2020.10.05 |
558. 전주물꼬리풀 (0) | 2020.08.31 |
557. 분홍장구채 (0) | 2020.08.31 |
556. 에틀린케라 엘라티오르(Etlingera elatior) - 횃불생강, 튤립생강 (1)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