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 구별

49. 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바위수국, 등수국에 대하여

죽림, 대숲, 사라미 2010. 8. 29. 21:36

 


 <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바위수국, 등수국에 대하여.>

    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바위수국, 등수국은 모두 범의귀과에 속하는 나무들로 꽃은 장식꽃(무성화 또는 중성화라 부른다)과 양성화 모두를 갖고 있는 공통점이 있다. 이 나무들은 갈잎떨기나무나 갈잎덩굴나무로 키가 작은 나무들이다. 또 잎은 모두가 마주나고 잎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톱니를 갖고 있는 공통점도 있다.
오늘은 수국들만 모아서 구별해 보기로 한다.

1. 수국 
 범의귀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1m 정도 까지 자란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며 겨울에는 나무의 윗부분이 말라죽는다. 다음해 뿌리나 줄기 밑둥치에서 새싹이 돋아나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다.


 

가지 끝에 달린 산방꽃차례로 둥근 공 모양으로 생긴 꽃이 핀다. 이것은 모두 꽃받침 조각이다. 꽃받침 조각은 4-5개이며 꽃은 연한 보라색에서 하늘색으로 다시 연한 홍색으로 변한다.

수국은 모두 열매를 맺지 못하는 장식꽃 뿐이다.


 2. 산수국
범의귀과,  갈잎떨기나무로 1m 정도 까지 성장한다.

 

경기도와 강원도 이남의 산골이나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은 산 골짜기에는 많이 자라고 있다.
잎은 마주나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가 달리며 연한 남색 꽃이 둥글게 모여서 핀다.
꽃의 가장자리는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 조각인 장식꽃이 둘러피고 가운데는 양성화가 핀다. 장식꽃은 처음 모서리에서 피기
시작한다.
(양성화 : 꽃받침조각, 꽃잎이 각각 5개, 수술은 10개 암술은 3-4개)

  둘레에 있는 장식꽃이 무성화가 아니고 양성화인 것은 탐라수국인데 한라산에서 자란다.



※ 
장식꽃의 꽃받침 조각에 톱니가 있는 것은 꽃산수국이다.


3. 나무수국  
범의귀과,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2-3m 까지 자란다.
 

 

원산지는 일본이고 관상수로 심는다. 원산지를 따라 일본수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은 마주 나지만 3장씩 돌려 나는 것도 있다.
잎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가지 끝에 커다란 원추꽃차례로 장식꽃과 양성화가 섞여서 달린다.
장식꽃은 꽃받침 조각은 3-5개이고 흰색이다. 양성화는 꽃잎과 꽃받침 조각이 각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삭과인 열매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  장식꽃만 있는 나무수국도 있는데 이것은 '큰나무수국'이다.


 
4. 바위수국
범의귀과,  갈잎덩굴나무로 길이 10m 정도 까지 자란다.

 

울릉도와 제주도 및 남쪽지방의 섬에서 자란다.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나무 나 바위에 붙어서 기어오르며 산다.
잎은 마주나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삼장 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크고 날카롭다. 잎의 뒷면은 백녹색이다.
가지 끝에 지름 20cm 정도의 취산꽃차례가 달리며 가장자리의 장식꽃은 꽃받침조각이 1개이고 흰색이다.
 




열매는 거꾸로된 원추형이며 여러개의 모서리가 있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잎자루는 붉은 빛이 돌고 길이가 3-11cm로 잎몸의 길이와 비슷하다.
가운데에는 꽃잎이 5개인 양성화가 핀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5. 등수국
범의귀과, 낙엽덩굴식물로 10m 이상 자란다.
줄기에서 기근이 나와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잎의 밑은 예저 또는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레에 바위수국보다 잔잔한 예리한 톱니가 있다.
      ⊙ 잎자루와 잎의 양면 맥에는 털이 있다.
울릉도와 제주도, 남쪽지방의 섬에서 자란다(줄기로 다른 사물에 붙어서 오르는 수국은 바위수국과 등수국이 있다)
꽃은 가지 끝 취산화서에 달리며 꽃의 지름은 10-17cm이고 주위에 장식화가 있다.
        
등수국의 장식꽃받침 조각은 3-4개이다(바위수국은 1개)


 

양성화의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 수술은 15-20개, 화주는 2-3개이다.
장식꽃은 가에 피고 양성화는 가운데 부분에 핀다.
바위수국보다 꽃이 약간 빨리 핀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