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바위수국, 등수국에 대하여.> 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바위수국, 등수국은 모두 범의귀과에 속하는 나무들로 꽃은 장식꽃(무성화 또는 중성화라 부른다)과 양성화 모두를 갖고 있는 공통점이 있다. 이 나무들은 갈잎떨기나무나 갈잎덩굴나무로 키가 작은 나무들이다. 또 잎은 모두가 마주나고 잎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톱니를 갖고 있는 공통점도 있다. 오늘은 수국들만 모아서 구별해 보기로 한다. 1. 수국 ⊙ 범의귀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1m 정도 까지 자란다. ⊙ 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며 겨울에는 나무의 윗부분이 말라죽는다. 다음해 뿌리나 줄기 밑둥치에서 새싹이 돋아나 자란다. ⊙ 잎은 마주나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다. ⊙ 가지 끝에 달린 산방꽃차례로 둥근 공 모양으로 생긴 꽃이 핀다. 이것은 모두 꽃받침 조각이다. 꽃받침 조각은 4-5개이며 꽃은 연한 보라색에서 하늘색으로 다시 연한 홍색으로 변한다. 수국은 모두 열매를 맺지 못하는 장식꽃 뿐이다. 2. 산수국 ⊙ 범의귀과, 갈잎떨기나무로 1m 정도 까지 성장한다. ⊙ 경기도와 강원도 이남의 산골이나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은 산 골짜기에는 많이 자라고 있다. ⊙ 잎은 마주나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가 달리며 연한 남색 꽃이 둥글게 모여서 핀다. ⊙ 꽃의 가장자리는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 조각인 장식꽃이 둘러피고 가운데는 양성화가 핀다. 장식꽃은 처음 모서리에서 피기 시작한다. (양성화 : 꽃받침조각, 꽃잎이 각각 5개, 수술은 10개 암술은 3-4개) ※ 둘레에 있는 장식꽃이 무성화가 아니고 양성화인 것은 탐라수국인데 한라산에서 자란다. ※ 장식꽃의 꽃받침 조각에 톱니가 있는 것은 꽃산수국이다. 3. 나무수국 ⊙ 범의귀과,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2-3m 까지 자란다. ⊙ 원산지는 일본이고 관상수로 심는다. 원산지를 따라 일본수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잎은 마주 나지만 3장씩 돌려 나는 것도 있다. ⊙ 잎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가지 끝에 커다란 원추꽃차례로 장식꽃과 양성화가 섞여서 달린다. ⊙ 장식꽃은 꽃받침 조각은 3-5개이고 흰색이다. 양성화는 꽃잎과 꽃받침 조각이 각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 삭과인 열매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 장식꽃만 있는 나무수국도 있는데 이것은 '큰나무수국'이다. 4. 바위수국 ⊙ 범의귀과, 갈잎덩굴나무로 길이 10m 정도 까지 자란다. ⊙ 울릉도와 제주도 및 남쪽지방의 섬에서 자란다. ⊙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나무 나 바위에 붙어서 기어오르며 산다. ⊙ 잎은 마주나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삼장 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크고 날카롭다. 잎의 뒷면은 백녹색이다. ⊙ 가지 끝에 지름 20cm 정도의 취산꽃차례가 달리며 가장자리의 장식꽃은 꽃받침조각이 1개이고 흰색이다. ⊙ 열매는 거꾸로된 원추형이며 여러개의 모서리가 있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 잎자루는 붉은 빛이 돌고 길이가 3-11cm로 잎몸의 길이와 비슷하다. ⊙ 가운데에는 꽃잎이 5개인 양성화가 핀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5. 등수국 ⊙ 범의귀과, 낙엽덩굴식물로 10m 이상 자란다. ⊙ 줄기에서 기근이 나와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란다. ⊙ 잎은 마주나고 잎의 밑은 예저 또는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레에 바위수국보다 잔잔한 예리한 톱니가 있다. ⊙ 잎자루와 잎의 양면 맥에는 털이 있다. ⊙ 울릉도와 제주도, 남쪽지방의 섬에서 자란다(줄기로 다른 사물에 붙어서 오르는 수국은 바위수국과 등수국이 있다) ⊙ 꽃은 가지 끝 취산화서에 달리며 꽃의 지름은 10-17cm이고 주위에 장식화가 있다. ⊙ 등수국의 장식꽃받침 조각은 3-4개이다(바위수국은 1개) ⊙ 양성화의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 수술은 15-20개, 화주는 2-3개이다. ⊙ 장식꽃은 가에 피고 양성화는 가운데 부분에 핀다. ⊙ 바위수국보다 꽃이 약간 빨리 핀다. ※ 감사합니다. |
'나무들 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 굴거리나무와 실거리나무는 서로 가까운 사이인가? (0) | 2010.08.31 |
---|---|
50. 잎의 측맥이 아름다운 히어리나무, 분단나무, 설구화나무의 구별 (0) | 2010.08.30 |
48. 밤나무, 나도밤나무, 너도밤나무. (0) | 2010.08.26 |
47. 계수나무와 월계수나무. (0) | 2010.08.26 |
46. 덩굴식물, 다래나무, 개다래나무, 쥐다래나무, 양다래나무의 구별. (0) |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