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나무, 황벽나무, 황철나무의 구별.
황칠나무, 황벽나무, 황철나무들은 이름이 비슷하다. 황칠나무와 황벽나무는 염색을 하는 염료로 사용하여 그 이름이 황칠, 황벽으로 붙었 다. 그러나 황철나무는 그것도 아니면서 이름이 황철나무로 되었다. 나무가 속한 과도 모두 다르다.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나무이고, 황벽나무는 운향과의 나무이다. 그리고 황철나무는 버드나무과의 나무이다. 오늘은 이 세 나무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1. 황칠나무
⊙ 두릅나무과 늘푸른큰키나무로 15m 되는 것도 있다.
⊙ 꽃은 8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 경남 남해를 비롯한 제주도, 완도 등 겨울에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어린 잎은 3-5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 꽃이 모여 핀다.
⊙ 열매는 핵과로 10월에 검게 익으며 종자 끝에 암술대가 붙어있다.
⊙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황칠’이라고 하는 노란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을 가구에 칠한다.
2. 황벽나무
⊙ 청경피나무라고도 한다.
⊙ 운향과 갈잎큰키나무로 높이 10-15m 정도 자란다.
⊙ 각 지역의 산지에 자생하거나 뜰에 심기도 한다.
⊙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게 갈라지고 수피를 벗기면 내부는 노란색이다.
⊙ 잎은 마주나고 기수1회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은 5-13개이다.
⊙ 잎 뒷면은 흰빛을 띤다.
⊙ 암수딴그루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가 달리며 황백색의 꽃이 5-6월 피며 꽃차례에 털이 있다.
⊙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핵과로 겨울 동안에도 달려 있다. 종자로 증식시킨다.
⊙ 내피는 약으로 쓰며 속껍질은 노란색 물감을 만드는데 쓰인다. 목재는 건축재료로 쓰고 수피는 코르크용으로 사용한다.
※ 잎 뒷면에 털이 있는 것을 털황벽나무
※ 작은잎이 3-5개인 것을 섬황벽나무
※ 황벽나무에 비해 잎의 폭이 넓고 코르크층이 얕은 것을 '넓은잎황벽나무' 또는 '화태황벽나무'라 한다.
3. 황철나무
⊙ 버드나무과 갈잎큰키나무
⊙ 강원도 및 평안도 지방의 냇가에 많이 자란다.
⊙ 수피는 회갈색에서 점차 흑갈색으로 변한다.
⊙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자잘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흰빛이 돌고 전면 또는 잎맥에 털이 있다. 표면에는 잔주름이 많다.
⊙ 암수딴그루로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6월에 익는다.
⊙ 목재는 펄프의 원료나 기구재, 판재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 종자와 삽목으로 번식시킨다.
※ 감사합니다. 계속 보완중입니다.
'나무들 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 오미자나무와 미역줄나무의 구별 (0) | 2010.11.25 |
---|---|
96. 새봄을 장식하는 조팝나무들의 구별 (0) | 2010.11.22 |
94. 오갈피나무, 가시오갈피나무, 섬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나무, 오가나무. (0) | 2010.11.21 |
93. 이름이 비슷한 '말오줌때나무'와 '말오줌나무'의 구별 (0) | 2010.11.20 |
92. 만병초와 굴거리나무의 구별 (0) | 201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