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에 있는 문화재 탐방>
< 백제문화의 중심지 부여에 가다. >
1. 일 시 : 2010년 12월 1일
2. 간 길 : 경부고속국도 → 추풍령휴게소 → 대전당진고속국도 → 공주서천고속국도 → 부여IC → 부여 → 부소산 및 부소산성 → 백제문화단지
3. 탐방내용 : 부소산성 탐방 , 백제문화단지 탐방
4. 있었던 일과 들은 이야기
가. 부소산성을 돌아보았다. 그리고 부소산성을 안내된 길대로 걸었다. 그 내용을 순서대로 소개한다.
< 자료 1 > 부여 부소산성의 안내도 - 출입문 입구에 있었다.
< 자료 2 > 부소산성에 대한 역사적인 안내문
< 자료 3 > 삼충사의 모습 - 백제의 충신 성충, 흥수, 계백장군을 모신 사당
< 자료 4 > 영일루 - 해맞이 누각
< 자료 5 > 군창터의 모습 - 불에 탄 곡식은 조선시대의 것으로 확인 되었다고 함
< 자료 6 > 이 산에는 리기다소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다.
< 자료 7 > 반월루의 모습
< 자료 8 > 산책로에 심어진 복자기나무 - 처음서 끝 까지 심어져 있다. 그 외 자연생인 참나무들이 많았다. 소나무도 있었지만 리기다소나무가 너무 많았다. 길은 모두 시멘트블럭길이다.
< 자료 9 > 백화정 - 1929년에 삼천궁녀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백화정 - 아래에 낙화암이 있다.
< 자료 10 > 백화정에서 바라본 백마강 - 날씨가 맑지 않아서 사진이 흐리다.
< 자료 11 > 낙화암에서 바라 본 백마강 - 사진 아래쪽에 고란사와 배 선착장이 보인다.
< 자료 12 > 연리지 - 두 나무의 가지가 붙어서 자라고 있다.
< 자료 13 > 산책로에 심어진 복자기나무
< 자료 14 > 부소산의 서복사 절터
나. 백제문화단지를 둘러 보았다.
< 자료 15 > 정양문 - 백제문화단지에 입장하는 정문 모습
< 자료 16 > 백제문화단지의 정문인 '정양문'
< 자료 17 > 백제문화단지에 대한 소개문
< 자료 18 > 백제문화단지에 대한 안내판
< 자료 19 > 백제문화단지에 입장하니 소나무가 많이 심어져있고 지금도 심고 있다.
< 자료 20 > 천정전 - 왕이 집무를 하던 곳
< 자료 21 > 동궁으로 왕이 평소 집무를 보던 장소 - 문신에 관계된 일을 보았다고 한다.
< 자료 22 > 능사 - 능사는 백제때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백제 왕실의 절 - 절에 있는 나무로된 5층탑 - 높이가 38m나 된다.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었던 절로 '능산리사지'를 줄여서 부르는 이름이다.
< 자료 23 > 고분공원에 있는 백제의 횡혈식 석실분 모습
< 자료 24 > 횡혈식 석실 무덤에 대한 설명(18호분)
< 자료 25 > 고분공원의 모습
< 자료 26 > 제향루 - 사비성 전체를 볼 수 있게 만든 전망대 - 고분공원을 살필 수 있는 곳이다.
< 자료 27 > 제향루에서 본 능사 모습
< 자료 28 > 제향루에서 본 생활문화마을 - 귀족, 평민, 노비들이 살던 집들을 복원하여 놓았다.
< 자료 29 > 생활문화마을 모습 - 둘레에는 성을 쌓고 그 둘레에 도랑을 깊이 파서 적을 막고 방어물을 설치해 놓았다.
< 자료 30 > 위례궁에 대한 설명
< 자료 31 > 위례궁의 모습
< 자료 32 > 움막집
< 자료 33 > 위례궁 옆에 당시의 집들을 재현해 놓았다.
< 자료 34 > 당시에 사용하던 나무로 된 수레 - 바퀴도 나무로 되었다.
< 자료 35 > 백제문화단지의 전경 - 정문을 들어서면 이런 모습이다.
< 자료 36 > 정양문을 들어가서 정양문으로 나온다. 다음 옆에 있는 백제역사문화관으로 간다.
※ 감사합니다.
'산이 좋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 2011년 2월에 대구의 산성산을 오르다. (0) | 2011.02.20 |
---|---|
45. 대전의 보문산 탐방 (0) | 2011.02.17 |
43. 전라남도 담양의 추월산을 오르다 (0) | 2010.11.20 |
42. 다시 보면 보인다. (0) | 2010.11.10 |
41. 자락길을 통하여 산성산 정상에 가다. (0) | 201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