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학가산의 국사봉을 오르다>
1. 날 짜 : 2011년 3월 2일
2. 장 소 : 안동의 학가산을 갔는데 사정상 국사봉을 가다.
3. 간 길 : 대구중앙고속국도 → 군위휴게소 → 서안동나들목 → 서후면 자품리 → 광흥사 주차장 도착
4. 산행 순서
광흥사 주차장 → 천추마을 → 마당바위 → 무덤 → 동학가산성 → 중계소 → 애련암 → 천추마을 → 광흥사 주차장 → 중식 → 병산서원 → 하회 겸암정사 → 부용대 → 대구로 출발
5. 이야기
천추마을 까지는 대형 버스가 들어갈 수 없어서 광흥사(廣興寺) 주차장에 주차하였다.
광흥사 주차장에서 천주(天蛛)마을 까지 걸었다. 천주마을로 바로 올라가면 뒷길이 나온다. 뒷길을 이용하여 애련암 올라가는 포장도로로 들어섰다. 포장도로를 조금 올라가다보면 오른쪽으로 산행 들머리 길이 나선다. 길은 조금 가파른 편이나 올라갈만 하였다.
올라가다 보면 길 오른 편에 넓은 바위가 나타나는데 이 바위가 바당바위다. 마당바위를 지나 300m 정도 올라가면 약수터가 나타난다. 약수를 한 컵 마시고 신선대를 오른쪽으로 하고 다시 올랐다. 국사봉 안내판이 몇 군데 있었다. 오르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더 게 느껴졌다. 지난 번에 내린 눈이 아직 소나무 잎에 얼어 붙어 있다. 이 눈이 바람과 햇볕에 녹아서 떨어지는 것을 맞으면서 오르막 길을 올랐다. 산등성이에 오르자 동학가산성이 반갑게 맞았다.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여 성을 쌓았는데 누가 왜 쌓았는지는 알 수가 없다고 한다. 방송국 중계소에 가까워질수록 눈이 녹지 않고 얼어있어서 길이 매우 미끄러웠다. 올라가면서 국사봉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진기에 담았다. 국사봉의 눈과 소나무가 어울려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다. 길은 경사가 심하고 또 눈과 얼음이 있어 매우 미끄러운 길이었다.
내려오는 길은 MBC 송신탑 아래에서 애련암 쪽으로 내려왔다. 경사가 급하여 미끄러워서 아쟁을 한 발에 신고 내려왔다. 애련암은 크기가 조그마하였지만 양지쪽에 자리잡아 조용하고 아담하였다. 산을 오를 때 애련암으로 올라서 국사봉으로 오르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았다. 천주마을과 산비탈 길을 지나면 광흥사(廣興寺) 주차장이 나타난다. 400년된 보호수 은행나무가 반갑게 맞아주었다. 버스를 타고 풍천으로 나와서 점심을 먹었다. 점심후 병산서원(屛山書院)에 들렀다. 이 서원의 전신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고려때부터 사립 교육기관이었다. 1572년(선조 5년)에 西厓 柳成龍 선생이 지금의 병산으로 옮겼다고 한다. 사적 제 26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애 선생의 문집을 비롯하여 각 종 문헌 1000여 종 3000여 책이 소장되어 있는 곳이다. 다음으로 부용대(芙蓉臺)에 들렀다.
부용대는 경상북도 풍천면 하회리 안동하회마을 서북쪽 강 건너 광덕리 소나무 숲 옆에 있는 해발 64m 인 절벽이다. 절벽이 매우 가파르다. 이 절벽을 지나 하회겸암정사(河回 謙菴精舍)를 둘러보았다. 중요 민속자료 89호(1979. 1. 23)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의 맏형인 겸암 류운룡(謙庵 柳雲龍, 1539-1601)이 1567년(명종22년)에 학문 정진과 제자 양성을 목적으로 지은 정사이다.
오늘 여정을 실제 사진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사진 1 > 광흥사 앞에 추차를 하면 바로 앞에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 사진 2 > 대웅전을 지나면 절의 본체가 있다.
< 사진 3 > 광흥사앞에 자리한 학가산 등산 안내도
< 사진 4 > 광흥사 앞에 자리한 학가산 등산 안내도
< 사진 5 > 천주마을 앞에 위치한 학가산 산행 안내도
< 사진 6 > 천주마을 표지석
< 사진 7 > 마당바위 모습
< 사진 8 > 신선바위를 왼쪽으로 끼고 오르는 길 - 마당바위에서 왼쪽으로 가면 2분 정도의 거리에 있다.
< 사진 9 > 약수터 - 물이 매우 시원하다.
< 사진 10 > 약수터에서 왼쪽으로 산등성이에 오르면 굵은 소나무들이 많다.
< 사진 11 > 소나무의 자태
< 사진 12 > 이 산에는 잡목도 많고 바위도 매우 많다.
< 사진 13 > 동학가산성에 대하여
< 사진 14 > 동학가산성의 자취
< 사진 15 > 소나무와 눈
< 사진 16 > 아래를 보면 천주마을이 보인다.
< 사진 17 > 지난번 내린 눈이 소나무 잎에 얼어 있다.
< 사진 18 > 아래에서 본 국사봉 모습
< 사진 19 > MBC 중계탑과 국사봉 모습
< 사진 20 > 국사봉 모습
< 사진 21 > 국사봉 모습
< 사진 22 > 국사봉 모습
< 사진 23 > 국사봉 모습
< 사진 24 > 송신탑 모습
< 사진 25 > 애련사 안내판
< 사진 26 > 애련사 모습
< 사진 27 > 약수암 앞에 있는 은행나무
< 사진 28 > 천주마을 모습
< 사진 29 > 광흥사 주차장에 있는 수령 400년생 보호수 은행나무
< 사진 30 > 보호수
< 사진 31 > 보호수
< 사진 32 > 보호수
< 사진 33 > 병산서원 들어서면 왼쪽에 있는 연못과 배롱나무
< 사진 34 > 문화재 해설사님
< 사진 35 > 서원 앞 건물 - 강의 장소
< 사진 36 > 서원 안에 수령 380년된 배롱나무
< 사진 37 > 서원 안에 수령 380년된 배롱나무
< 사진 38 > 서원 안에 수령 380년된 배롱나무
< 사진 39 > 서원 안에 수령 380년된 배롱나무
< 사진 40 > 서원 앞산 - 이름은 병산(벼풍이 둘러 있는 모양의 산)
< 사진 41 > 서원 안내판
< 사진 42 > 서원 뒷산 - 이름은 화산
< 사진 43 > 부용대에서 바라 본 하회마을 모습
< 사진 44 > 부용대의 절벽
< 사진 45 > 겸암정사에서 본 입암
< 사진 46 > 석양의 겸암정사 풍경
6. 등산지도 살피기
※ 감사합니다.
'산이 좋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9. 밀양 종남산에 오르다. (0) | 2011.04.07 |
---|---|
48. 통영의 벽방산(碧芳山) 탐방 (0) | 2011.03.17 |
46. 2011년 2월에 대구의 산성산을 오르다. (0) | 2011.02.20 |
45. 대전의 보문산 탐방 (0) | 2011.02.17 |
44. 부여에 있는 문화재 탐방 (0) | 201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