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을 알자 576

536. 수정난풀 - 수정란풀

학명 Monotropa uniflora L. ● 노루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0-20cm 정도 자란다. ● 숲속 부식질이 많고 습윤한 곳에 잘 자라는 부생식물이다. ● 비늘 모양의 퇴화된 잎이 어긋나기한다. ● 비늘조각은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약간 톱니가 지기도 한다. ●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종 모양으로 핀다(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는 있으나 기간이 8월에서 10월에 걸쳐짐).● 꽃의 색은 흰색이며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 암술의 색은 누런갈색이다. ● 열매는 장과로 난상 구형이다. ●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 0.5-1mm, 폭 0.5-1mm이며 8-9월에 익는다. ● 줄기는 여러대가 모여나기하며 뿌리 이외에는 순백색이고 윗부분에 흔히 긴 털이 있다..

풀을 알자 2020.01.07

535. 나도수정난풀 - 나도수정초

학명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 노루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부생식물이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빽빽이 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 모양이다. ●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종 모양이다. ● 암술의 색은 암청색이다.●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다. ● 줄기는 곧추서며 굵고 원주형으로 10-30cm 정도 자란다.● 꽃밑에 약간의 털이 있을 뿐 거의 털이 없다. ● 열매는 장과로 타원 모양의 구형이다. ● 보통 백색이나 건조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 보호방안● 예전에는 수정난풀에 통합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분리된 종이며, 부생식물로 숲속에서 자란다. ● 전국적으로 10여..

풀을 알자 2019.12.31

534. 큰구와꼬리풀

학명 Veronica pyrethrina Nakai ●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 우리나라 대구, 경주, 안동 등지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이다.● 키는 30~50cm 정도 자라고 숲가장자리에서 많이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깃꼴 모양 또는 결각상으로 완전히 또는 깊게 갈라진다. ● 열편은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양면에 연한 털이 많다.● 줄기에도 퍼진 털이 있으며 식물체 전체에 연한 흰색 털이 밀생한다. ● 꽃은 8월 푸른 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핀다. ● 열매는 삭과로 납작한 도란상 원형이고 끝이 파지며 길이 5mm 정도의 암술대가 달려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하다. ● 자료 더 보기 ..

풀을 알자 2019.11.18

533. 양미역취

학명 Solidago altissima L.●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북아메카가 원산지인 귀화한 풀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었다. ● 순천을 포함한 남부지방에 분포되고 있었지만 현재 경기도 양평 두물머리에서도 보인다.. ● 여러해살이풀로 100-250cm 정도 자란다. ● 잎은 어긋나로 줄기에 촘촘히 달리며,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 3-10㎝, 폭 3-14㎜, 3맥이 뚜렷하고 양 끝이 뾰족하며 상반부에 소수의 낮은 톱니가 있다. ● 아래쪽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은 잎자루가 없고, 잎 가장자리도 톱니가 없다. ● 꽃은 늦가을(9-11월) 노란색으로 피는데 많은 꽃이 꽃줄기에 달려 꽃이 커다란 원추화서를 이룬다. ● 땅속줄기가 있어 번식에 이용한다. ● 높이 10..

풀을 알자 2019.11.07

532. 유홍초와 둥근잎유홍초

학명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 메꽃과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 ● 줄기는 1-2m 정도 자라며 다른 물체를 왼쪽으로 감으면서 기어 올라간다. ● 잎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있고 빗살처럼 가늘게 갈라지며 열편은 좌우로 퍼진다. ● 꽃은 7-8월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붉은색이나 흰색의 꽃이 한 송이 달린다. ● 주로 관상용으로 심었으나 점차 야생화 되어가고 있다. 등근잎유홍초가 있다>학명 Quamoclit coccinea Moench ●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 유홍초처럼 잎이 갈라지지 않고 잎 모양이 둥글기 때문에 둥근잎유홍초라고 한다. ● 꽃은 8~9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 끝에 3-5개의 깔대기 모..

풀을 알자 2019.11.02

531. 쇠서나물

학명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Kitam.●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자생한다. ● ‘모련채’라 부르기도 한다. ● 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90cm 정도 자란다.● 꽃은 노란색으로 6-9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린다. ● 어린 순을 나물로 먹거나 전초를 한방에 이용한다. ●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이 거칠기 때문에 쇠서나물이라고 한다. ● 뿌리잎은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 자료 더 보기. ※ 감사합니다. 이 풀은 10월 10일 평창 대덕사 가는길 옆에서 본 것입니다.

풀을 알자 2019.11.02

530. 물매화

학명 Parnassia palustris L. ● 범의귀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 산슭의 양지쪽 습지와 부식질이 많은 점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고산식물로 햇빛을 좋아하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하지만 고온은 싫어하는 편이다. ●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꽃줄기잎은 1개로 잎자루가가 없고 원줄기를 감싼다. ● 꽃줄기는 길이 7-45cm 정도로 뿌리에서 올라오고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광채가 있으며 하늘을 향한다. ●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긴 타원형이다. ●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 꽃밥이 달리고 수술대는 처음에는 씨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 헛수술은 5개로 끝이 12-22개로 갈라지고 끝에 황록색의 선..

풀을 알자 2019.10.14

529.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돌나물과 (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 주왕산 계곡의 바위틈이나 절벽의 바위 위에 붙어 생육하거나 전석지의 돌틈에서 자생한다. ● 높이 15-25cm 정도 자라며 줄기가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 정도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 잎자루는 없고 잎은 마주나며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홍자색으로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 정도이다. ● 몇 개의 굵은 뿌리가 있다. ●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한다. ⓵ 실생번식 - 11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

풀을 알자 2019.10.07

528. 주홍서나물과 붉은서나물

●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 원산지는 아프리카로 귀화한 풀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다.● 꽃은 9-10월 주홍색으로 피고 모두 아래를 향해 고개를 숙이고 있다. ●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 많이 보인다. ●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매우 짧아서 없는 것처럼 보인다.● 꽃은 9-10월 가지 끝에 원통형 꽃이삭이 꼿꼿이 서서 핀다. ● 꽃의 색은 연한 노란색(흰색에 가까움)으로 핀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풀이다.●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 비교적 많이 보이는 풀이다. 주홍서나물이나 붉은서나물을 구별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은 꽃의 색깔과 꽃봉오리의 모습을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꽃의 색이 붉은색이면 주홍서나물 연한노란색이면..

풀을 알자 2019.10.06

527. 막실라리아

학명 Maxillaria ● 서양난의 한 종류로 원산지는 중남미 지역이다. ● 항산화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꽃에서 나는 향으로 인해 코코넛난 또는 커피난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꽃의 향을 맡으면 몸과 마음이 안정되고 주의집중력도 높아진다고 한다● 잎 아래쪽에 있는 둥근 모양의 튜브는 물주머니이고, 이 곳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이용한다.● 과습에 주의하고 물주머니가 쭈그러들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고 관리한다. ● 자료 더 보기. (2020년 5월 8일 '안녕 구룡포'에서 찍음) ※ 감사합니다. 이 난은 고산골 수덕사 경내에서 본 자료입니다.

풀을 알자 2019.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