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을 알자 576

556. 에틀린케라 엘라티오르(Etlingera elatior) - 횃불생강, 튤립생강

(Tulip Ginger), 토치진저(Torch Ginger), 토치생강 등> 학명 : Etlingera elatior (Jack) R. M. Sm ● 인도네시아 자바섬이 원산지로 알려진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열대아시아 지역에 많이 재배되고 있다.● 횃불생강, 토치진저(Torch Ginger), 토치생강, 생강꽃, 붉은생강백합, 튤립생강(Tulip Ginger), 횃불백합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 생생강 등 여러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외떡잎식물로 보통 3-6m 정도 자라나 20m 이상 자라는 경우도 있다.● 잎은 녹색이고 선형으로 본 blog/풀을 알자/514. 장지베르 스펙타발레 생강과 비슷하다.● 꽃은 6-7월 흰색, 노랑, 분홍, ..

풀을 알자 2020.07.29

555. 작약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1776. 학명이명 Paeonia lactiflora var. hirta Regel, 1980.(호작약)● 적작약 이라고도 부른다.● 산지에 자라거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또는 약재를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 뿌리는 굵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단면은 붉은색이다.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40~90cm, 털은 없다. ● 잎은 어긋나며, 3갈래로 2회 갈라진다, ● 갈래잎은 좁은 도란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가시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 갈래잎의 밑부분은 점차 좁아지면서 날개 모양으로 잎자루에 연결된다. ●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윤기가 나며, 뒷면 잎맥 위에 부드..

풀을 알자 2020.07.06

554. 백작약

학명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작약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 우리나라의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 숲 속 나무그늘,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 노지에서 월동하고 생육한다. ● 키는 40-50cm 정도 자란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길고 2회 3출엽이다. ●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8cm정도이다. ●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4-5cm 흰색이며 원줄기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 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달걀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

풀을 알자 2020.06.25

553. 산작약

학명 Paeonia obovata Maxim.● 작약과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 ‘민산작약’이라 부르기도 한다. ● 습기가 많고 반 그늘진 숲속에 자생한다. ● 키는 40-50cm 정도 곧게 자라고 전체에 흰색가루가 덮여 있다. ● 잎은 3-4장으로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길고 2회 3출엽니다. ●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다. ●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있다(백작약은 털이 없다)● 앞면의 잎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잎맥이 돋아나 있다.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 정도로 빨간색(연한 붉은색도 보임)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 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달걀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

풀을 알자 2020.06.24

552. 잔개자리

학 명 Medicago lupulina L., 1753. ● 콩과에 속하는 한두해살이풀이다. ● 원산지는 유럽이며, 목초 또는 녹비용으로 재배되던 것이 야생화되었다. ● 귀화식물로 이제는 전국의 들판에서 자란다. ●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키는 10~60cm 정도이다. ● 가지들은 땅에 눕거나 위를 향해 자라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 작은잎은 넓은 도란형으로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 턱잎은 긴 난형이다. ● 꽃은 5~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끝부분에 많은 꽃이 달린다. ● 꽃받침은 피침형, 길이 1.5~2.0mm다. ● 꽃부리는 나비 모양, 길이 3~5mm다. ●..

풀을 알자 2020.06.18

551. 개소시랑개비

학명 Potentilla supina L., 1753. ● 장미과에 속하는 한두해살이풀이다. ● 저지대의 하천가나 습기 있는 곳에 자라는 풀이다. ● 식물체 전체에 털이 많다. ● 뿌리는 가늘고 길다. ●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7~9장의 깃꼴겹잎이다. ● 끝의 작은잎은 도란형이다. ●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누운털이 난다.● 꽃은 5~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로 피며, 노란색, 지름 6~8mm 정도이다. ● 꽃잎은 5장, 도란형..

풀을 알자 2020.06.18

550. 질경이

학명 Plantago asiatica L., 1753. ● 질경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뿌리는 수염뿌리 형태로 자라며, 줄기가 없다. ● 잎과 꽃줄기가 뿌리에서 모여난다.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15cm, 폭 1~8cm, 끝이 뭉툭하다. ● 꽃은 5~9월에 10~50cm의 꽃줄기 위쪽에 이삭꽃차례로 피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 꽃차례는 길이 4~20cm다. ● 꽃받침은 4갈래, 갈래는 도란상 타원형, 길이 2mm쯤, 흰색 막질이다. ●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 끝이 4갈래로 갈라진다. ● 수술은 꽃부리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심장 모양이다. ● 열매는 삭과이며, 난상 타원형, 8월에 결실하며, 씨가 6~8개 들어 있다. ● 우리나라 전역에 나..

풀을 알자 2020.06.14

549. 개감수

학명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대극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20-40cm 정도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좁고 긴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다. ● 잎끝은 둔하고 밑이 좁으며 주맥이 뒷면으로 튀어나온다. ● 잎 가에 톱니가 없으며 포는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난상의 넓은타원모양이다. ● 줄기 끝에서는 5개의 피침형 잎이 돌려나기하며 그 윗부분에서 5개의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높이 20-40cm이며 털이 없고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꽃은 녹황색으로 7월에 핀다. ● 열매는 삭과로 구형(球形)이고 광택이 난다. ● 뿌리는 수염뿌리로 옆으로 뻗는다.●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번식은 종자 번식에 ..

풀을 알자 2020.06.14

548. 갯질경 - 갯길경

학 명 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1948. 학명이명 Statice tetragona Thunb., 1794. ● 갯질경(갯길경)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갯길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 바닷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높이 30~60cm 정도 자란다. ●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긴 타원상 주걱 모양이다. ● 잎 끝은 둥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에 3맥이 있다. ● 꽃은 9~10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 꽃차례 길이는 2~4cm이고 꽃싸개잎은 녹색이며 타원형이고 몇 개의 꽃이 들어 있다. ● 윗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꽃부리는 황색이며 5개로 깊게 갈라..

풀을 알자 2020.06.11

547. 개질경이

학명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1821. ● 질경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란다. ● 갯질경이 라고도 부른다. ● 줄기는 없고, 잎은 뿌리에서 바로 모여난다.● 잎 모양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2~4cm 정도된다. ● 잎끝은 둔하며 밑부분은 좁아져서 잎자루가 된다. ●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 잎 전체에 흰 털이 있다. ●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길이 15~30cm의 꽃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린다. ●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 길이 약 3mm, 4개의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온다. ● 열매는 삭과로 좁은 난형이다. ● 씨는 4개, 진한 갈색이다. ●..

풀을 알자 202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