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을 알자 576

526. 나래가막사리

학명 Verbesinaalternifolia (L.) Britton ex Kearney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귀화식물이다. ● 풀밭이나 빈터, 습기가 많은 나무 그늘이나 산기슭, 골짜기 계곡 등 전국 어디서나 잘 자란다.● 크기는 높이 1~ 2.5m 정도 자라고 바로 서서 무리지어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간혹 마주나는 것도 보임) 긴타원형으로 잎맥이 뚜렷하고 양면이 거칠다.●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이 좁아지면서 줄기에 붙는다. ● 잎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큰 것은 길이 28cm, 너비 8c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잎 모양은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 부분은 쐐기 모양이다. ● 꽃은 7~8월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송이가 한 개씩 달린다. ● ..

풀을 알자 2019.07.15

525. 유럽 나도냉이

학명 Barbarea vulgaris W. T. Aiton ● 십자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하천변 또는 개간지 등에 많이 자란다. ●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일본, 중국 등지의 고랭지에서도 자란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높이 30-80cm로 자라고,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 뿌리잎은 모여 나며 깃꼴 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맨 위쪽의 작은잎은 난형이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없다. ●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귓불 모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 열매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길이 2-3cm, 18-20개의 씨가 들어 있다.● 1993년에 강원도 대관령에..

풀을 알자 2019.05.23

524. 갯강활

학명 Angelica japonica A. Gray ● 산형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여러해살로 제주도와 거문도 등지에서 자란다. ● 해안지방에 많이 볼 수 있으며 높이 50-100cm 정도 자란다. ● 뿌리에서 나는 잎(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다.● 잎 모양은 넓은 난상 삼각형이고 1-2회 3출우상복엽이며 털이 없다. ● 작은잎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7~10cm, 폭 2-5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는데 겹산형꽃차례로 핀다. ● 열매는 분과로 납작한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6-7mm로서 옆에는 두꺼운 날개모양의 능선이 있다. ● 줄기 속에 황백색의 유액이 있고, 곁에 암자색의 줄이 있으며 윗..

풀을 알자 2019.05.06

523. 산쪽풀

학명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우리 나라 남부지방 섬의 산지에서 자라는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 잎은 마주나기하고 밑부분의 2-3마디에는 잎이 없으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7~12cm, 폭 2.5-5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잎자루는 길이 1.5-3cm 정도이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젖혀지고 길이 3-4mm로서 막질이다. ● 꽃은 암수한그루로 5월 잎겨드랑이에서 이삭꽃차례에 작은 꽃이 2-3개씩 모여 핀다.● 열매는 삭과로 다소 둥글며 겉에 돌기가 있고, 2개로 갈라진다. ● 키가 25-50cm 정도 자라고 줄기는 네모지고 ..

풀을 알자 2019.05.01

522. 번행초

학명 :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 석류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바닷가 모래땅에서 많이 자라며 키는 60cm 정도 자란다.● 줄기 아랫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줄기에 사마귀 맡은 돌기가 있고 식물체 전체가 통통한 다육질이다.● 줄기에 어긋나는 세모 모양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끝이 둔하다.● 봄부터 가을 까지 잎겨드랑이에 노란색 꽃이 1-2 송이씩 핀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 자료 더 보기. 참고사이트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사이트 http://www.nature.go.kr/kbi/idx/searchIndex.do ※ 감사합니다. 이 자료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

풀을 알자 2018.08.09

521. 아피오스, 인디언 감자, 콩감자.

학명 Apios americana Medik. ●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카가 원산지다. ●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 산청, 충청북도 청양과 옥천, 경기도 고양과 이천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인디언 감자, 콩감자라고도 불리운다. ● 덩굴색이 붉은색인 것과 녹색인 것이 있다.● 줄기 끝에 콩과식물들의 꽃 특징을 지닌 칡꽃과 비슷한 자주색 꽃이 핀다. ● 지하부에는 덩이줄기(塊莖)가 생기는데 이를 식용한다. ● 11월에서 3월 초 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꽃은 향이 아주 강해 말려서 차로 이용한다. ● 고구마, 감자 보다 단백질, 섬유소, 칼슘, 인 등의 함량이 높다.● 아피오스를 감자와 비교하면, 칼슘이 30배, 철분이 4배, 섬유가 5배, 단백질이 6배, 에..

풀을 알자 2018.07.20

520. 둥근배암차즈기(추천명)

학 명 : Salvia japonica Thunb. ● 개배암배추, 개뱀배추, 둥근잎배암차즈기, 둥근잎뱀차조기, 여름배암배추, 둥근잎뱀차조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약 30cm 정도 자란다.●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 등 남부 지방의 산지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단엽 또는 복엽이고 작은잎은 3개이거나 1~2회 우상복엽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생기고 연한 자주색 꽃이 층층으로 달리며 밑부분이 갈라지는 것도 있고 털이 많다. ● 꽃부리는 길이 1-1.3cm로서 입술 모양이며 겉에 긴 털이 있고 아랫 입술이 넓다. .● 줄기는 네모지고 키는 약 30cm 정도이며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열매는 길이 1..

풀을 알자 2018.07.06

519. 산제비란

학명 Platanthera mandarinorum Rchb. f. ● 산제비란은 우리나라 각 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난초과의 자생란이다. ● 5~7월에 줄기 위쪽의 꽃대에 연녹색의 꽃이 10 개 정도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 줄기는 곧게 20-40cm 정도 자라며 좁은 날개가 있다. ●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아래 잎은 1-3장으로 어긋난다.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잎의 크기가 작아진다. ●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 유기질 함량이 높으며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란다. ● 지름 0.7-1cm 크기의 타원형 덩이줄기가 있다. ※ 감사합니다. 이 자료는 2018년 6월 12일 울진 평해 오곡 마을 묘지 옆에서 자라는 것을 이용하였습니다..

풀을 알자 2018.06.17

518. 징지베르 스펙타빌레 생강(Zingiber spectabile) - 벌집징가

(Zingiber spectabile)/벌집징가> 학명 : Zingiber spectabile영명 : Beehive Ginger(벌집생강) 또는 Pinecone Ginger(솔방울생강) ●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 태국 등지)다.● 키는 1.8~2.5m 정도로 곧게 자라며 꽃대는 다육질의 뿌리줄기에서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좁은 타원 모양으로 30~45cm 정도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은 긴 잎집이 된다.● 포엽은 처음에는 꽃차례에 연노랑색으로 벌집 혹은 솔방울 모양으로 달리며 충분한 햇빛을 받고 성장하게 되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 꽃은 7월~12월 중에 포엽사이에서 흰색으로 핀다.● 포엽과 꽃이 아름다워 절화로 인기가 높다.● 번식..

풀을 알자 2018.06.16

517. 주름잎

학명 Mazus pumilus (Burm.f.) Steenis ● 현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 밭이나 집 둘레의 약간 습한 곳에 흔하게 보인다.● 키는 15cm 정도 자라고 줄기는 밑에서 여러대로 갈라져 비스듬히 서거나 곧게 자란다.● 줄기에 마주나는 도란형(거꾸로된 달걀형) 잎은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의 옆면에 주름이 지는 특색이 있다.● 5-8월 줄기 윗 부분에 연한 자주색 꽃이 몇 개 씩 핀다.● 아랫입술꽃잎 가운데에 두 개의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 봄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데 나물 보다는 잡초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 자료 더 보기. ※ 감사합니다.

풀을 알자 2018.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