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배추로 담근 익지않은 생김치를 좋아한다. 특히 김치를 담을때 초피나무(제피나무)의 잎이나 열매의 껍질을 넣어서 담은 김치라면 다른 반찬이 없어도 밥 한 그릇 정도는 먹어치운다. 그런데 지금에서야 김치에 넣은 것이 초피나무 잎이라는걸 알았다. 까닭은 사람에 따라 계피, 젠피, 산초, 초피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었으므로 나름대로 뚜렷하게 규정 짓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산행을 자주하는 편이지만 흔하게 보이는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를 구별하지 못하였다. 차제에 구별하는 방법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 자연을 잘 이용하는 방법이라 생각되어 내용을 새로 정리하여 보았다. |
1. 계피나무 : 육계나무의 껍질을 계피라 한다.
①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녹나무과의 열대성 상록활엽 소교목으로 중국남부지방, 스리랑카, 인도차이나반도 등에 분포한다. ② 나무의 높이 9 - 12 m 까지 자라며 육계나무(계피나무)의 가지와 껍질의 약용 이름이 계피이다. ③ 잎자루가 긴편이며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녹색이다. ④ 좋은 품질의 계피는 지름 0.8 - 1.5 cm 정도 굵기의 나무껍질이다. ⑤ 계피의 이용
|
< 사진 1 > 계피나무의 모양
※ 육계나무는 대구수목원 열대과일원에 자라고 있습니다.
2. 산초나무
①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② 구별하는 방법
③ 이용 - 주로 열매를 이용한다. 익기전에는 열매를 따서 식용으로 이용한다. 다 익은 열매는 기름을 짜서 이용한다. |
3. 초피나무(제피나무, 젠피나무, 조피나무 등)
①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② 지방에 따라 제피나무(경상도 지방), 젠피나무(전라도 지방), 조피나무(북한 지방), 지피나무, 남추나무, 진초나무, 젬피나무 등으로 불린다. ③ 구별하는 방법
추어탕, 김치, 나물, 횟감 등으로 이용한다. (이때 씨앗은 먹지않고 씨앗의 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쓰거나 생잎을 쓴다. 또 잎을 말려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4. 개산초나무
①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 3-4m 까지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도 분포한다. ② 잎자루의 시작 부분이나 새가지가 돋아나는 근처에 길이 1-2cm 되는 한 쌍의 가시가 있다. ③ 잎은 어긋나고 기수우상복엽으로 5-7개의 작은 잎이 있다. ④ 잎의 가운데 주맥과 작은 잎 사이에 넓은 날개가 있다. ⑤ 암수다른나무로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로 담황색의 작은 꽃이 6월에 핀다. ⑥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는다. 속의 씨앗은 검은색이다. ⊙ 동해안 쪽으로는 경북 울진군 소재 성류굴의 암벽에 까지 자란다. |
※ 감사합니다.
'나무들 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의 구별은 어떻게 할까?(1) (0) | 2009.10.14 |
---|---|
12. 봄 철의 입맛을 돋우는 두릅나물 (0) | 2009.09.30 |
10. 섞으면 술이 헛 것이 되는 허깨나무 (0) | 2009.09.15 |
9. 개암나무와 가막살나무 이야기 (0) | 2009.09.06 |
8. 층을 이루며 사는 나무들 (0) | 200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