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수나무들에 대하여. 내가 어렸을적 추수를 마치고 좋은 날을 잡아 할아버지, 할머니의 산소에 갈라치면 산기슭에 빨갛게 익어 달려있는 열매를 나는 ‘멧부리’라 불렀다. 손으로 한 움큼, 주머니에 가득 따서 먹었던 기억이 난다. 그러던 그 나무를 지금은 보리수나무로 부른다. 이 이름이 맞으니 이제라도 바르게 찾아야 한다.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하던 보리수나무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보리수나무와는 전혀 다른 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던 보리수나무는 보리수나무과의 낙엽지는 키작은나무로 영동지방에서는 보리똥나무라고도 불리는 나무다. 그런데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보리수(菩提樹 - Ficus rwligiosa Linn)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큰키나무이다. 이 나무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추워서 월동하기 힘이든다. 2010년 8월 포항시 청하에 있는 기청산 식물원에서 석가와 관계 있는 보리수나무를 한 그루 보았다. 역시 겨울에는 난방을 시킨다는 이야기였다. 그러고보니 이름에 ‘보리’라는 말이 들어간 나무들이 몇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보리수나무, 석가와 관련이 있는 보리수나무, 가을과 겨울에 꽃을 피우고 따뜻한 봄에 열매를 익히는 보리장나무와 보리밥나무, 일본 원산인 뜰보리수나무 등이다. 오늘은 이런 나무들에 대하여 분명히 해 두고 싶다(이하 글에서는 석가와 관계 있는 보리수나무를 '인도보리수나무'로 한다). 1. 보리수나무 ⊙ 보리수나무과의 잎이떨어지는 키작은나무로 높이 3-4m 정도 까지 자라며 황해도 이남에 분포하고 있다. ⊙ 작은 가지가 흔히 가시로 변하며, 잎은 어긋나고 잎 가에 톱니가 없다. ⊙ 꽃은 5-6월에 피고 꽃색은 백색에서 연한 노란색으로 변하며 향이 있다. ⊙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7개 정도가 모여 달린다. 뜰보리수나무 보다 달리는 꽃의 수는 많지만 열매의 크기는 작다. ⊙ 보리수나무에 비하여 잎 표면에 털이 없는 민보리수나무, 잎의 넓이가 넓은 왕보리수나무, 열매의 길이가 긴 긴보리수나무 등이 있다. ⊙ 번식은 열매의 살을 제거한 후 직파하거나 3-4월, 6-7월, 9월 경에 가지삽목이나 포기나누기를 한다. 2. 인도보리수나무(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나무) ⊙ 뽕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큰키나무로 높이는 20-30m 정도 자란다. ⊙ 열매는 도토리 정도의 크기로 붉은 색으로 익으며 사람이 먹을 수 있다. ⊙ 잎을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온다. ⊙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열대지방에 자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큰 줄기로 자란다. ⊙ 연중 푸른 넓은잎나무로 겨울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월동하기가 어려우며 이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었다하여 보리수(菩提樹)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3. 보리장나무 ⊙ 보리수나무과의 늘푸른덩굴나무로 2-3m 정도 까지 자라고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도 분포한다. ⊙ 줄기가 덩굴처럼 길게 뻗으면서 자라나 다른 물체를 감지는 않는다. ⊙ 잎은 어긋나며 잎 가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파상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 꽃은 9-12월에 피고 열매로 겨울을 지낸다. ⊙ 열매는 다음 해 4-6월에 익는데 먹을 수 있다 . ⊙ 제주도에 자라는 잎보리장나무와 흑산도와 완도에 자라는 녹보리장나무가 있다. 4. 보리밥나무 ⊙ 보리수나무과의 늘푸른덩굴나무로 높이 2-4m 정도 까지 자란다. ⊙ 작은 가지에 은백색 또는 연한 갈색의 털이 있고 일본, 대만 등지에도 분포한다. ⊙ 잎은 어긋나며 모양은 원형, 타원형으로 잎 가에 톱니가 없다. 잎의 뒷면은 은백색으로 희게 보인다. ⊙ 꽃은 9-10월에 피고 열매는 다음 해 4-5월에 익는데 먹을 수 있다. ⊙ 서해의 섬지방과 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자란다. 5. 뜰보리수나무 ⊙ 보리수나무과의 나무로 원산지는 일본이다. ⊙ 낙엽지는 키작은나무로 높이 2-4m 까지 자란다. ⊙ 잎은 마주나며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의 비늘 때문에 희게 보인다. ⊙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3개 씩 모여 4-5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붉게 익으며 먹을 수 있다. ⊙ 뜰보리수나무의 꽃 |
※ 감사합니다. 보완하고 있습니다.
'나무들 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 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은백양나무, 은사시나무(현사시나무) (0) | 2010.10.22 |
---|---|
70. 병꽃나무의 몇 종류에 대하여. (0) | 2010.10.18 |
68. 구상나무, 솔송나무, 분비나무의 구별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0) | 2010.10.08 |
67. 굴피나무와 중국굴피나무의 구별 (0) | 2010.10.07 |
66. 양버들, 미류나무, 이태리포플러에 대하여. (0) | 201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