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산 전망대에서.>
1. 날짜 : 2022년 3월 29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어떤 제목이 좋은지 모른다.
<오도산 전망대>냐 아니면 <kt 오도산 중계소>가 좋은가 나도 모른다.
모두가 <오도산 전망대>라 부르니 따라서 나도 오도산 전망대라 한다.
있는 곳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도리 산 61-2>에 있는데 광주.대구고속도로 거창휴게소에서 보면 왼쪽 저 멀리에 보이는 탑이 있는 산이다. 아침 10시에 집을 나섰는데 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나들목에서 내려 국도로 가야마을 쪽으로 길을 찾아 올랐다
2019년 5월 문재산을 올랐을 때 오도산을 생각하고 후일을 기약하며 발길을 돌렸는데, 오늘 오도산 전망대를 승용차로 올랐다.
승용차로 산을 오른 것은 강원도 태백의 함백산 정상이나 보현산 천문대, 또 경북식물원 등을 오른 일이 있기 때문에 무난히 오를수 있을거라 생각하였다. 그런데 생각보다는 그리 만만하지 않은 길이었다. 더군다나 초행길이라 그런지 앞으로 길을 더 보완해서 안전하게 오르내릴수 있게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오르는 차와 내려오는 차가 만날 때는 서로가 배려해서 교행을 해야 할 만큼 전 구간의 길이 좁고 험하다. 지금은 아직 잎이 피지 않은 때여서 길이 그런대로 잘 보이지만 만약 잎이 우거진 계절에는 더욱 조심해서 다녀야할 것 같았다.
한국통신 kt가 중계소를 이 산 정상에 세우면서 터를 고르고 난후 시설들을 세웠는데, 현재의 높이는 1,120.1m다. 중계소 문을 들어서면 몇 대의 숭용차를 주차할수 있는 공간이 있고 화장실도 있으며 전망대도 있어 주변을 잘 살필수 있어서 좋다. 주차는 반드시 출발이 편하게 하는 것이 좋다. 공간이 그렇게 넉넉하지 않아서다.
오늘은 가족과 같이 올랐는데 이렇게 높은 곳에 길도 험한데 올랐다고 종일 언짢은 기분이다. 그래도 걸어서 오르기 힘든 길을 승용차로 올라서도 볼 수 있도록 배려 하였으면 감사해야 함이 당연한데 사람마다 취향이 다름이 탈이로다. 어쨌던 이 전망대에 올라서면 주변이 모두 눈아래로 펼쳐지는 전망이 아주 좋은 곳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게는 예전부터 인기가 아주 좋았던 곳이었다. 그래서 나도 자꾸 오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아름다움 중에서도 해질 때의 저녁노을과 아침 일출 정경이 너무나도 아름다워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이 찾는 곳이되었다.
여기서 덧붙이고 싶은 이야기는 이왕지사 여기 까지 접근이 가능하게 하였으면 안전과 위생면에 좀 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배려가 있었으면 금상첨화가 아니겠나 하는 생각도 든다.
고맙고 감사한 마음으로 오늘 본 내용들을 올려본다.
<사진 1> 멀리서도 보이는 정상의 모습이다.
<사진 2> 처음 올라가는 도로의 표지판이다. 가야마을로 올라간다.
<사진 3> 이런 길이 있길래 잠시 쉬어간 곳.
<사진 4> 이 곳서는 잠시 사진을 찍었는데, 실제 바위는 보지못했다.
<사진 5> 여기가 우리나라 표범을 마지막으로 본 곳이라한다.
<사진 6> 한국의 마지막 표범 서식지라는 안내.
<사진 7> 한국통신 안으로 들어가서 안전하게 주차를 하고.
<사진 8> 주변의 정경을 모두 살펴보았다.
<사진 9> 전망대에서 살핀 주변의 정경.
<사진 10> 가조의 들판과 광주.대구고속도로도 보인다.
<사진 11>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
<사진 12>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
<사진 13>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
<사진 14> 이 나무는 마가목 같기도하고 함박꽃나무 같기도 하다.
<사진 15> 이 나무는 병꽃나무.
<사진 16> 영산홍으로 본 나무.
<사진 17>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
<사진 18>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인데 미녀봉 같기도 하다.
<사진 19> 전망대에서 본 주변의 정경.
<사진 20> 전망대의 모습.
<사진 21> 전망대에서 본 마지막 도로 모습.
<사진 22> 중계소의 탑.
<사진 23> 이 곳에서 자생하는 신갈나무,
<사진 24> 차도와 인도가 구별된 곳.
<사진 25> 생강나무가 여기서도 자란다.
<사진 26> 전망대와 출입구.
<사진 27> 회양목이 잘 자란다.
<사진 28> 이 나무는 일본잎갈나무로 보인다.
<사진 29> 전망대에서
<사진 30> 마을버스 정류소.
※ 감사합니다. 참고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산이 좋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90. 평창 발왕산(發王山) 정상에서. (0) | 2022.05.28 |
---|---|
589. 비슬산의 신록 (0) | 2022.05.14 |
587. 파계재 - 도각봉(806m) - 성전암 원점회귀. (0) | 2022.03.07 |
586. 대명동 장등산을 살피다. (0) | 2022.02.26 |
585. 2월을 금봉산(金鳳山)에서 ! (0)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