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70

39. 가시가 날카로운 매발톱나무

⊙ 매자나무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로 높이 3m 정도 자란다. ⊙ 작은가지는 각이져 있으며 2년된 가지는 회황색이다.⊙ 가시가 세 방향으로 갈라졌고 길이는 3cm 정도 된다. ⊙ 잎은 새가지에는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뭉쳐서 난 것처럼 보인다.⊙ 잎은 길이 3-8cm 정도 되고 잎가에는 불규칙한 뾰족한 톱니가 있다. ※ 아래 자료는 2012년 7월 제주도 한라산에서 본 섬매발톱나무다. ※ 왕매발톱나무 - 잎이 원형 또는 난원형인 것으로 강원도와 울릉도에 자란다. ※ 더 좋은 자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알자 2010.10.30

38. 해당화와 총각선생님.

해당화 피고지는 섬마을에 철새 따라 찾아온 총각선생님> 노래의 해당화!>⊙ 장미과의 떨기나무(낙엽관목)로 높이 1.5m 정도 자란다. ⊙ 줄기에 가늘고 곧은 가시가 무수히 많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5-9매의 작은잎으로 된 깃모양겹잎(우상복엽)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알 모양 타원형이다. 표면은 주름이 많고 뒷면과 잎자루에 털이 많다.⊙ 꽃은 5-7월 새가지 끝에 1-3개씩 피며 열매는 8-9월에 붉게 익는다. ⊙ 관상용, 약용, 염료로 쓰이며 꽃은 향수 원료가 된다.⊙ 번식은 종자 파종, 꺽꽂이, 포기나누기로 한다. 바닷가, 냇가의 모래밭에 잘 자란다.※ 개해당화 - 줄기에 가시 같은 털이 적든가 짧으며 잎에 주름이 적고 꽃과 열매도 작은것※ 노랑해당화 - 꽃이 만첩이며 황색인것과 ..

나무를 알자 2010.10.29

36. 자귀나무는 부부 금실이 좋아지는 나무

⊙ 자귀나무 !⊙ 콩과의 갈잎작은키나무(낙엽활엽관목) ⊙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 여설목(女舌木) 등으로 부른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모양겹잎(2회우상복엽)이다. 작은잎은 5-15쌍이 마주난다.⊙ 꼬투리는 녹색에서 갈색으로 익는다. ⊙ 밤이 되면 마주난 잎이 서로 포개지는 성질이 있고, 부부 금실을 좋게 하는 나무라하여 집 안에 심기도 한다. ※ 감사합니다.

나무를 알자 2010.10.29

35. 족제비싸리에 대하여

⊙ 콩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낙엽활엽관목)⊙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사방용이나 꿀을 얻기 위해 심기도 한다. ⊙ 잎은 어긋나고 깃모양겹잎(기수우상복엽)이다. 작은 잎은 11-27개로 뒷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가지끝에서 나오는 이삭 모양의 꽃차례에 흑자색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작은 꼬투리 열매가 많이 달리는데 각 꼬투리는 한 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다. ※ 감사합니다.

나무를 알자 2010.10.29

34. 박태기나무의 봄맞이

⊙ 원산지는 중국.⊙ 콩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낙엽활엽관목)로 높이 3-4m 정도 자란다. ⊙ 꽃은 잎보다 먼저 핀 ⊙ 콩꼬투리와 같은 꼬투리 모양의 열매가 달린다. ⊙ 꽃자루가 짧아서 가지에 거의 달라붙은 채로 핀것 같이 보인다. ⊙ 꽃에 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콩과식물에서는 드물게 보는 단엽식물이다. ⊙ 아래 것은 자색이 나는 '자엽박태기나무'다.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전시포에 있는 나무다. ※ 감사합니다.

나무를 알자 2010.10.29

38. 염불암을 오르다.

2010년  10월  29일  금요일팔공산단풍이 올해는 예년 보다 더 아름답게 물들고 있었다. 단풍이 아름다우냐 아니냐는 자연이 맞춰주는 여건에 따라 결정된다고 봄이 올바르다.올해는 여름에 비가 오지않아서 많이 메말랐지만 가을에 접어들면서 몇 번의 비가 단풍이 아름답게 들기에 알맞았던것 같다. 팔공산일주도로를 따라 가보면 단풍이 깨끗하고 선명하다. 햇빛에 반사될 때의 광경은 정말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여기서 백 번을 아름답다고한들 뭐하겠는가마는 한 번 쯤 시간을 짜서 돌아봄이 어떨런지 권하고 싶다.오늘은 팔공산관리사무소 앞 쉼터에 있는 서양산딸나무가 어떻게 되었는가 궁금하기도하고 또 다른 일도 있어서 염불암 까지 갔다가 왔다.숲 속을 걸으면 항상 생각을 새롭게 하고 생활의 활력소를 넣어주는 것 같은 ..

산이 좋아서 2010.10.29

75. 대만풍나무, 미국풍나무, 중국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대만풍나무, 미국풍나무, 중국단풍나무, 고로쇠나무. ● 나무 잎의 모양이 비슷한 나무들이 매우 많다. ● 대개 나무잎이 갈라지는 형태에 따라 비슷한 무리들로 모으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대만풍나무와 중국단풍나무가 그렇고, 미국풍나무와 고로쇠나무가 그러하다. ● 대만풍나무와 미국풍나무는 조록나무과의 식물이고 중국단풍나무와 고로쇠나무는 단풍나무과의 식물이다. ● 과가 다르면서도 잎의 모양이 비슷하여 구별에 혼돈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이 네 나무들에 대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나무종류 나 무 의 모 양 잎 열 매 대만풍나무 ⊙ 잎이 어긋나고 잎몸이 3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의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 3갈래의 각 조각에 주맥과 결맥이 있다. ⊙ 잎이 곡선형으로 갈라졌다. ⊙ 잎의 기부..

나무들 구별 2010.10.28

74. 팽나무와 비슷한 나무들의 구별

팽나무와 비슷한 나무들의 구별 팽나무, 산팽나무, 왕팽나무, 검팽나무, 폭나무(좀왕팽나무), 풍게나무, 푸조나무, 난티나무 등의 나무들은 모두 느릅나무과의 나무들로 대부분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키가 큰 나무들이다. 그리고 모두가 암수한나무로 강풍과 해풍에 강하고 바다의 염분에도 강한 나무들이다. 이들 나무들의 두드러진 특징만 알면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여 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나무 종류 나 무 의 모 양 잎 의 생 김 새 열 매 의 생 김 새 팽 나 무 ⊙ 잎의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 잎의 앞면이 거칠다.⊙ 3-4쌍의 측맥이 있다. ⊙ 등황색으로 익는다.⊙ 열매자루 길이가 짧아서 열매가 길게 늘어지지 않는다. ⊙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 자주팽나무 - 충무 ※ ..

나무들 구별 2010.10.27

33. 꽝꽝 소리를 내는 꽝꽝나무

꽝꽝나무는⊙ 우리 나라 원산인 자생나무다. ⊙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떨기나무로 높이 3m 정도 까지 자란다. ⊙ 남쪽 섬지역에서 잘 자라지만 변산반도 이남에서는 잘 자란다.⊙ 잎은 촘촘히 어긋나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약간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졌다.⊙ 잎은 막으로 싸여 불에 태우면 잎 속의 공기가 부풀어 ‘꽝’하는 소리를 내면서 터진다. 소리의 크기는 70db이상이다. ⊙ 잎의 길이는 15-30mm, 너비는 6-20mm 정도로 잎 가에는 작은 톱니가 있다.⊙ 암수다른나무로 암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흰색의 꽃이 피고, 수꽃은 짧은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로 꽃이 달린다. ( 사진은 수꽃 모양입니다)⊙ 꽃은 5-6월에 피고..

나무를 알자 2010.10.26

37. 팔공산의 단풍 !

2010년 10월 25일 월요일.  가을이 깊어지길래 팔공산의 변화한 모습을 보고 싶어 비로봉에 올랐다. 수태골을 택하여 올랐다. 아침 뉴스에 오후부터 바람이 강하게 불고 기온이 내려간다는 말을 듣고 집을 나섰다.수태골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등산복장을 점검하고 산에 들었다. 그런데 땀이 비오듯 쏟아졌다.그런데 비로봉 정상에 도착하니 안개가 자욱하고 기온이 급강하하여 벗었던 옷을 다시 입어야 했다. 산 위에서의 안개인데이게 어느 나라에 왔는지 착각할 정도로 안개 낀 경치가 신비스러웠다.살피려는 나무의 잎은 거의 다 떨어지고 없었다. 가을을 꾸며주는 단풍이 아름답게 산을 장식하고 있었다.여기에 오신 손님! 오늘은 단풍이나 감상하십시다. 수태골을 통하여 비로봉 까지의 경치를.   비로봉정상 모습 - 안개가 자욱..

산이 좋아서 2010.10.25

73. 나무딸기 나무들의 종류.

나무딸기 나무들의 종류. 나무딸기는 사람들이 먹을 수 있다. 이들 딸기나무들은 모두 장미과에 속하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들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몇 종류를 중심으로 하고 점차 그 범위를 넓힐까 한다. 1. 멍석딸기 ⊙ 줄기껍질은 적갈색이고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자란다. ⊙ 어린가지는 녹색이고 가시와 함께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고 3출엽이다. 작은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뒷면에 흰털이 많아서 잎이 흰색으로 보인다. ⊙ 꽃이 분홍색이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 5장으로 꽃자루에도 가시가 있다. ⊙ 멍석딸기의 모양 2. 복분자딸기 ⊙ 줄기껍질은 검붉은색이고 가시가 있다. ⊙ 1년생 줄기는 백색을 띤 녹색으로 보이며 1년이 지난 다음해 부터 줄기의 색..

나무들 구별 2010.10.24

72. 양버즘나무, 버즘나무, 단풍버즘나무의 구별

양버즘나무, 버즘나무, 단풍버즘나무의 구별. 나무의 줄기가 얼룩덜룩하여 사람의 몸에 나는 버즘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과거 살기가 어려웠던 시절 영양결핍과 위생생활의 부족으로으로 많이 퍼졌던 피부병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 심어진 가로수나 녹음수, 공원수 중에는 버즘나무들이 꽤 많았다고 알고 있다. 이 나무들의 특징이 좋지 않는 땅, 메마른 토양에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녹화에 중점을 두었던 당시에는 많이 심었던 나무다. 그러나 열매가 익고 겨울에 잎이 떨어질때 쯤이면 이 나무에서 떨어지는 털이 사람들의 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서인지 사람들의 원성을 많이 산 나무다. 요즘은 가로수로는 많이 심지 않고 있다. 그래도 잎이 넓고 공해에 강한 좋은 점은 부인할 수 없다. 1. 양버즘나무 ⊙ 버..

나무들 구별 201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