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73

97. 오미자나무와 미역줄나무의 구별

오미자나무와 미역줄나무의 구별 산을 오르다보면 오미자나무와 미역줄나무를 자주 혼돈하곤 한다. 알면서도 그렇게 보이는건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오미자나무는 특용작물로 가정에서 재배하기도 하지만 산에서 자생하는 경우도 있다. '오미자'란 이름은 다섯 가지의 맛을 낸다하여 붙은 이름이다. 즉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가지 맛이다. 오미자나무의 열매가 오미자인데 한방에서는 한약의 약재로 쓰이고 일반 가정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던가 아니면 오미자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요즘은 오미자의 효용이 널리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처지가 되었다. 그리고 미역줄나무는 '메역순나무' 또는' 미역순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어떤 산이든 산의 정상과 정상 부근에 많이 나타나는 나무로 자칫 오미자나무로..

나무들 구별 2010.11.25

96. 새봄을 장식하는 조팝나무들의 구별

조팝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른 봄을 장식해주는 꽃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조팝나무들의 역할은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이들 조팝나무들의 종류는 10여 가지가 넘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가 장미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이다. 그리고 잎은 모두가 어긋나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씩이다. 또 산야에서 자라는 것이 아닌 조팝나무는 생화용이거나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1. 조팝나무 ⊙ 흰꽃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하얗게 보이므로 '조팝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꽃은 작년에 나온 가지에서 산형꽃차례에 달리며 흰꽃이 4월에 핀다. 2. 인가목조팝나무 ⊙ 가지에 능선이 뚜렷하고 털이 없다. ⊙ 잎은 어긋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나무들 구별 2010.11.22

59. 고추나무

⊙ 고추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2-3m 정도 자란다. ⊙ 잎이 고추잎을 닮았다하여 붙은 이름이며 잎은 봄에 나물로 먹는다. ⊙ 산골짜기서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삼출엽이다. ⊙ 5-6월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달린다. ⊙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열매주머니 속에 2-4개의 씨가 들어있다. ※ 감사합니다. 보완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알자 2010.11.21

58. 소태나무

>⊙ 소태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로 높이 9-12m 정도 까지 자란다. ⊙ 산에서 자라며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다. 오래된 나무는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9-15개이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작은잎 앞면은 털이 없고 광택이 있다.⊙ 암수딴그루로 5-6월 산방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 꽃이 달린다.⊙ 달결형 핵과 열매는 9월 경에 검게 익으며 꽃받침이 달려 있다.※ 나무껍질이 소의 태처럼 쓰기 때문에 ‘소태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 감사합니다. 계속 보완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알자 2010.11.21

95. 황칠나무, 황벽나무, 황철나무의 구별

황칠나무, 황벽나무, 황철나무의 구별. 황칠나무, 황벽나무, 황철나무들은 이름이 비슷하다. 황칠나무와 황벽나무는 염색을 하는 염료로 사용하여 그 이름이 황칠, 황벽으로 붙었 다. 그러나 황철나무는 그것도 아니면서 이름이 황철나무로 되었다. 나무가 속한 과도 모두 다르다.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나무이고, 황벽나무는 운향과의 나무이다. 그리고 황철나무는 버드나무과의 나무이다. 오늘은 이 세 나무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1. 황칠나무 ⊙ 두릅나무과 늘푸른큰키나무로 15m 되는 것도 있다. ⊙ 꽃은 8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 경남 남해를 비롯한 제주도, 완도 등 겨울에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 자란다. ⊙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어린 잎은 3-5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가장자..

나무들 구별 2010.11.21

94. 오갈피나무, 가시오갈피나무, 섬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나무, 오가나무.

오갈피나무, 가시오갈피나무, 섬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나무, 오가나무 오갈피나무가 한때 인삼 못지않게 우리 몸에 좋다고들 하였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오갈피나무를 심어 이것을 가정에서 베어 달여서 물을 마시고 또 차로 우려서 마시기도 하였다. 오갈피나무의 잎을 자세히 보면 인삼의 잎과 비슷하게 생겼다. 어쨌던 우리 몸에 좋은 성분이 있고 또 몸의 항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진 나무로는 오갈피나무, 가시오갈피나무, 섬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나무, 오가나무들이다. 이들 나무들의 공통된 특징은 모두가 두릅나무과의 식물이고, 갈잎떨기나무이다. 또 잎은 모두가 어긋나고 손꼴 모양의 겹잎을 가진 나무들이다. 이들 나무의 특징을 살펴보면 1. 오갈피나무 ⊙ 두릅나무과의..

나무들 구별 2010.11.21

93. 이름이 비슷한 '말오줌때나무'와 '말오줌나무'의 구별

말오줌때나무와 말오줌나무의 구별. 나무의 이름이 비슷하다. 특히나 '말오줌'이란 말이 들어있어서 구별하기가 더욱 혼란스럽다. 혹시나 이름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도 하게 된다. 그러나 '말오줌때나무'와 '말오줌나무'는 다른 나무로 두 나무 모두 존재한다. '말오줌때나무'는 고추나무과의 나무이고 '말오줌나무'는 인동과의 나무이다. 두 나무의 특징을 살펴보면 1. 말오줌때나무(말오줌대나무) ⊙ 고추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로 3-4m 정도 자란다. ⊙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나 흑갈색이고 주로 남부지방의 산에서 자란다. ⊙ 가지를 꺾으면 역겨운 냄새가 난다(혹은 고무가 타는 냄새) ⊙ 겨울눈은 끝눈이 2개이다(2개가 나란히 우뚝 서 있다) ⊙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5-11개로 긴 달걀형..

나무들 구별 2010.11.20

43. 전라남도 담양의 추월산을 오르다

1. 날 짜 : 2010년  11월  17일 수요일2. 가는 길     88고속국도 → 거창휴게소 → 담양나들목 → 추월산주차장 → 추월산 등산 → 순창 → 대구 도착3. 추월산에서의 등산 순서  추월산주차장 → 제1등산로, 돌탑갈림길 → 동굴 → 철계단 → 보리암 → 보리암 정상 → 제3등산로 → 헬기장 → 전망대 → 추월산정상 → 제4등산로입구(월계리 쪽으로) → 태웅산장 → 월계버스 주차장 → 추월산 주차장(약 6km, 4시간 정도) 4. 추월산에 담긴 내용    해발 731m인 추월산은 전남 당양군 용면과 전북 순창군 복흥면 경계를 이루는 호남정맥 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산은 밑에서 올려다볼 때 바위로   이뤄진 혐준한 봉우리가 달에 닿을 정도로 높게 보인다 해서 이름이 추월산으로 지어졌다는 얘..

산이 좋아서 2010.11.20

57. 두충나무

⊙ 두충나무는 약용식물로 각광을 받던 식물이다.⊙ 두충과 중국 중서부 원산의 갈잎큰키나무로 높이 20 정도 까지 자란다. ⊙ 약용식물로 재배하던가 정원수로 심고 있다.⊙ 잎은 어긋나고 5-6쌍의 측맥이 있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 ⊙ 열매와 잎을 자르면 고무진 같은 액체가 생긴다.⊙ 꽃은 어린 가지 밑 부분에 연녹색으로 달리는데 꽃잎이 없다.⊙ 나무껍질은 한약재로, 잎은 두충차로 이용한다. ※ 감사합니다. 두충나무는 우리 나라의 자생나무는 아니지만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 한 때 특용소득작물로 각광을 받은 적도 있습니다.

나무를 알자 2010.11.16

56. 동백나무

⊙ 차나무과의 늘푸른작은키나무(상록소교목)로 높이 5-7m 정도 자란다. ⊙ 꽃은 12월부터 다음해 4월 까지 피고 열매는 9월에서 11월 사이에 익는다.⊙ 울릉도를 비롯한 남쪽 해안지방과 서해안의 대청도 부근 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톱니가 있다.⊙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붉은색 꽃이 한 송이씩 피는데 꽃받침은 많고 떨어지며 꽃자루가 없다.⊙ 5-7장의 꽃잎은 비스듬히 퍼지고 수술은 꽃잎에 붙어서 떨어질때 함께 떨어진다.⊙ 옛날에는 씨에서 짠 기름을 ‘동백기름’이라하여 식용이나 머릿기름으로 사용하였다. ⊙ 많은 원예 품종이 만들어져 관상수로 심어지고 있다.⊙ 꽃은 송이째 떨어진다.⊙ 번식은 직파하거나 가지삽목 또는 입삽목, 접목으로 번식시킨다.⊙ 겹..

나무를 알자 2010.11.16

55. 병아리꽃나무

병아리꽃나무는>⊙ 장미과 갈잎떨기나무로 1-2m 정도 자란다. ⊙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황해도 이남에서 자라고 관상수로 심는다.⊙ 가지가 많이 갈리며 비스듬히 뻗는다.⊙ 어린가지는 녹색 또는 황록색이고 부드러운 흰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주름이 많다.⊙ 어린가지 끝에 4장의 흰색꽃잎을 가진 꽃이 한 송이씩 씩 핀다.⊙ 열매는 2-4개씩 검은색으로 익는다. ※ 감사합니다.

나무를 알자 2010.11.15

54. 까마귀쪽나무

까마귀쪽나무> ⊙ 녹나무과 늘푸른작은키나무로 7m 정도 자란다. ⊙ 꽃은 10월에 피고 열매는 다음해 5-6월에 익는다.⊙ 울릉도와 남쪽 섬에서 자라고 제주도에서는 ‘구롬비’라고 부른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고 두껍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뒤로 뒤틀리며 뒷면에 갈색 털이 많다.⊙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에 겹산형꽃차례에 황백색 꽃이 달린다. ※ 감사합니다.

나무를 알자 2010.11.15

92. 만병초와 굴거리나무의 구별

만병초와 굴거리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나무 이름이 만병을 고친다는데서 유래한 만병초와 굿을 하는데 사용된 나무라하여 굴거리나무라 하였다. 어쨌던 우리 생활과 관계가 있었던 나무들이다. 만 병 초 굴 거 리 나 무 전체의 모양 식물의 특징 ⊙ 잎을 달여 마시면 모든 병을 고칠 수 있다하여 붙은 이름이다. ⊙ 진달래과 늘푸른떨기나무로 높이 1-3m 정도 자란다. ⊙ 꽃은 7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 지리산, 울릉도, 강원도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5-7매가 모여난다. ⊙ 잎몸은 긴 타원형으로 길쭉하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린다. ⊙ 뒷면에는 갈색털이 많이 났다. 잎은 약으로 쓴다. ⊙ 가지 끝에 5-20개 정도의 흰색꽃이 핀다. ⊙ 열매는 갈색으로 익는..

나무들 구별 2010.11.15

91. 쥐똥나무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쥐똥나무, 왕쥐똥나무, 상동잎쥐똥나무, 삼색쥐똥나무, 황금쥐똥나무에 대하여. 열매의 모양과 색이 쥐똥과 비슷하다하여 붙인 이름이다. 1. 쥐똥나무 ⊙ 물푸레나무과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1.5-2m 정도 자란다. ⊙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 들이나 산기슭에 자라고 관상수로 심는다. ⊙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뒷면 잎맥 위에 털이 있다. ⊙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 ⊙ 팥알만한 타원형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는데 모양이 쥐똥처럼 생겨서 ‘쥐똥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2. 왕쥐똥나무 ⊙ 물푸레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또는 갈잎떨기나무로 높이 2-6m 정도 자란다. ⊙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 ⊙ 남부지방..

나무들 구별 2010.11.14

90. 다정큼나무와 정금나무에 대하여.

다정큼나무와 정금나무는 이름이 비슷하여 자칫 혼돈하기 쉬운 나무들이다. 그러나 두 나무는 이름은 비슷하여도 아무 연관이 없는 나무들이다. 두 나무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 다정큼나무 ⊙ 장미과의 늘푸른떨기나무로 높이 2-4m 정도 까지 자란다. ⊙ 꽃은 4-6월에 걸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 남쪽 바닷가에서 자란다. ⊙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 난 것 처럼 보인다. ⊙ 잎 끝은 뾰복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도는 연녹색으로 그물맥이 뚜렷하다. ⊙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향기가 나는 흰색 꽃이 핀다. ⊙ 둥근 핵과 열매는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일부에 톱니가 있는 것을 ‘둥근잎다정금나무’라 한다. 2. ..

나무들 구별 201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