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 구별 174

64. 앵두나무(앵도나무)와 산앵도나무.

지금까지 우리는 앵두나무라고 많이 불렀다. 그러나 앵도나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여기서는 앵두나무로 부르기로 한다. 앵두나무는 집에서 키우고, 산앵도나무는 높은 산에서 자생한다. 앵두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이고, 산앵도나무는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두 나무 모두 비슷한 말이 들어가서 이웃한 나무로 보기 쉬운데, 이 두 나무는 전혀 관계가 없는 다른 나무다.앵두나무는 장미과의 식물이고, 산앵도나무는 진달래과의 식물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인 기록을 살펴보면 앵두나무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집에서 관상용이나 먹는 과일로 심어진것으로 여겨진다.      어찌보면 혼돈하기 쉬운 나무들이라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1. 앵두나무 - 중국 원산    ⊙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3m 정도 까지 자란다..

나무들 구별 2010.09.27

63.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 서양매자나무에 대하여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 서양매자나무에 대하여.>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 서양매자나무는 모두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로 꽃은 양성화이고 암수한그루다. 잎은 새로 돋는 가지에선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다.  1. 매자나무    ⊙  우리 나라의 특산식물이다.    ⊙  경기 이북지방에 자라는 낙엽지는 키작은 나무로 높이 2m 정도 자란다.        ⊙  작은 가지에 능선이 있고 가시가 있다(당매자나무는 세개의 가시가 있다).  2년된 가지는 붉은 색이다.    ⊙  잎은 두껍고 잎가에는 일정하지 않은 톱니가 있다(당매자나무는 톱니가 없다).     ⊙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회록색이다.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황색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 ..

나무들 구별 2010.09.26

62.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에 대하여.

능소화란 이름이 정답다.⊙  능소화과에 속하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작은키나무⊙  중국 원산이고 관상용으로 공원이나 정원에 많이 심는다.  ⊙  잎은 마주나고 1회깃꼴 모양으로 작은 잎은 5-9장이다.⊙  꽃의 지름이 큰 것을 능소화라하고 원추꽃차례로 핀다.⊙  미국 능소화는 꽃부리의 대롱 부분이 길고 꽃이 아래쪽에 모여 핀다.      ※  감사합니다.

나무들 구별 2010.09.22

61. 대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리들에게 친숙하고 또 자주 보아왔던 나무가 대나무이다.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늘 푸른나무로 우리 생활에 많이 이용되었던 나무. 그러던 것이 요즘은 웰빙제품으로 각광을 받는 나무가 되었다.내가 살던 고향에 왕대나무밭이 있었는데 언젠가 꽃이 피더니 지상부가 다 말라 죽어버렸다.그런데 땅속에 있던 뿌리들은 죽지 않고 다시 살아나 4-5년이 지나자 예전보다는 못하지만 그런대로 왕대나무밭이 형성되는걸 보았다.여기서는 대나무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왕대(늦죽)    ⊙  벼과 식물이다.             ⊙  중국 원산이고 남부지방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청록색으로 높이는 10-20m 까지 자란다.    ⊙  줄기 마디는 이륜상(2개의 고리)인데 윗마디가 더 불거진다.      ..

나무들 구별 2010.09.22

58. 개암나무의 종류와 구별

개암나무는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의 대부분 산에서 볼 수 있는 나무이다.      그런데 그 모양들이 조금씩 달라서 구별하기가 까다롭다. 즉 난티잎개암나무, 개암나무, 물개암나무, 참개암나무, 병개암나무들로 모두 암수한그루,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나무들의 구별은 잎 모양이 비슷하여 잎으로는 구별하기가 힘든다. 가장 쉬운 방법은 열매 모양 모양으로 구별하는 것인즉 그 방법을 소개한다.1. 난티잎개암나무    ⊙  나무의 잎이 난티나무의 잎 모양과 비슷하여 난티잎개암나무로 분류하였다.     ⊙  잎은 난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잎의 가운데 끝이 특별히 뾰족하게 튀어나왔다.      ⊙  총포는 종처럼 생기고 타원형으로 생긴 열매를 둘러싸고 있다.    ⊙  어린잎 표..

나무들 구별 2010.09.13

57. 싸리나무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싸리나무는 모두 콩과에 속하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어긋나고 3출엽이다. 그리고 산에서 쉽게 발견되는 나무이다. 옛날 건물의 큰 기둥은 싸리나무로 만든 기둥이라고 하는데 지금 이야기 하는 싸리는 아닌것으로 생각된다.키도 그리 크지 않고 옛 글방에서 학동들을 훈계하면서 종아리를 쳤던 홰초리를 만들었던 나무가 싸리나무다.       조선시대 어사 박문수가 산길을 가다가 산속 외딴집에서 있었던 싸리나무 홰초리에 얽힌 이야기는 지금도 간간히 이어져 내려온다. 산길을 가노라면 옆에 보이는것 모두가 똑 같은 싸리인것 같았는데, 싸리나무도 특징에 따라 조록싸리, 싸리, 참싸리, 좀싸리, 풀싸리 등으로 나누고 있다. 1. 조록싸리나무    ⊙  잎끝이 뾰족하고 열매에 암술머리가 길게 남는다.      ⊙ ..

나무들 구별 2010.09.09

56.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잎의 수가 2-5개인 소나무과의 나무들)

소나무(1)에서는 대강 우리들이 눈으로 직접 보고 직감적으로 수종을 구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여기서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에 대하여 대강의 특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잎의 모양과 수를 중심으로 원산지와 자라는 곳, 꽃이 피는 시기와 결실하는 시기 등을 중심으로 정리해 본다.따라서 아래에 소개한 나무들은 모두 소나무과의 나무들이므로 나무마다 따로 과를 밝히지 않았다. 그리고 갈잎나무 두 종을 제외한 모든 나무들은 늘푸른바늘잎 큰키나무들이다. 이런 특성을 가진 나무들을 하나씩 알아보기로 하자.  1. 소나무             ⊙  우리 나라 전역에 걸쳐서 가장 넓은 면적에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  잎은 바늘 모양으로 2개가 뭉쳐 한 묶음으로 가지에 촘촘히 난다.      ⊙ ..

나무들 구별 2010.09.09

55.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잎의 수가 많은 소나무과의 나무들)

앞 장에 이어서 소나무과에 속하면서 잎의 모양이 선형이고 잎이 많이 모여서 붙는 나무들에 대하여 펼칩니다. 1. 잎갈나무 - 우리 나라 자생종 - 갈잎바늘잎큰키나무    ⊙  우리 나라 북부지방과 만주지역에 분포한다.    ⊙  잎의 모양은 선형으로, 20개 이상 무더기로 나고 부드럽다.    ⊙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  솔방울조각이 25-40개로 조각의 끝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2. 일본잎갈나무(낙엽송 - 落葉松) - 갈잎바늘잎큰키나무    ⊙  일본 원산으로 조림용으로 심어 기른다.        ⊙  잎이 긴 가지에는 나사 모양으로 돌려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20-30개가 무더기로 모여 달린다.      ⊙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 ..

나무들 구별 201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