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를 알자 27

7.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ㅈ부)

1. 자귀나무 - 한약명 : 합환피나무의 껍질을 약용으로 쓰며, 맛은 달고 약성은 평하다.7-8월에 꽃이 피는 다년생 활엽수로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심어 가꾼다.나무의 특징은 해가 지면 잎이 마주 붙을 정도로 오무라 들고 다음 날 해가 뜨면 잎이 다시 펴지는 일종의 신경초적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우울증을 풀어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타박상으로 인한 골절상 등을 치료 하는데 사용된다. 2. 질경이 - 한약명 : 차전자질경이의 종자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맛은 달고 약성은 차다.소변을 잘 보게하는데, 신우신염, 요도염, 방광염, 간 기능 활성화, 눈을 밝게 하는데 사용된다.민간에서는 질경이의 잎이 부드러울 때 나물로 식용한다. 3. 진득찰 - 한약명 : 회렴초잎과 꽃망울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맛은 쓰고 성..

약초를 알자 2009.05.12

6.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ㅂ부)

1. 부들 - 한약명 : 포황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풀로 땅속줄기로 번식한다.꽃가루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수렴과 지혈작용이 있어 각혈, 토혈, 코피, 소변에 출혈이 있을 때나 자궁출혈이 있을 때 사용한다. 2. 분꽃 - 한약명 : 자말리자1년생 화초로 많이 재배하며, 생장력이 매우 강하다.종자를 약용으로 쓰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종자의 속은 흰 가루로 되어 있어 옛날 화장품이 없을 때는 백분으로 사용하였다.창상에 바르든가 피부 미용에 사용한다. 3. 붓꽃, 노랑무늬붓꽃, 금붓꽃, 각시붓꽃, 흰각시붓꽃 - 한약명 : 마린자 --- 모두 붓꽃과에 속함붓꽃 - 다년초로 5-6월에 보라색의 꽃이 핀다. 씨앗을 지혈(코피, 토혈)약으로 사용한다.금붓꽃 - 다년초로 5-..

약초를 알자 2009.05.08

5.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ㅁ부)

1. 마 - 한약명 : 산약뿌리와 줄기를 약용으로 쓰며, 땅속줄기와 씨앗으로 번식한다. 땅속줄기를 심을 때는 여러 토막을 내어 심으면 한포기씩 된다.맛은 달고 약성은 평하다.비위가 약하여 권태감, 무력감, 설사를 막는데 사용한다. 또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연약한 증상과 정력을 강하게 만들어 주는데도 복용한다.민간에서는 주로 위 기능의 강화제로, 건강식품으로 가루를 만들어 꿀과 함께 복용하기도 한다. 2. 매실 - 한약명 : 오매 매화나무의 덜 익은 열매(녹색일 때 - 6월 하순경 수확)를 약용으로 쓰며, 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오래된 기침과 설사를 멎게하는데, 진액이 부족하여 가슴이 답답할 때 복용한다.설사나 복통에 매실액을 짜서 마시거나, 설탕에 절이면 물이 생기는데 그 즙을 복용한다. 또 소화..

약초를 알자 2009.05.05

4. 쑥에 대한 모든 것(1)

1. 쑥은 어떤 식물인가 ? 쑥은 우리 나라의 어디서나 자라고 있는 여러 해 살이 풀로 생명력이 무척이나 강하다. 땅이 아무리 메마른 곳이라도 기후에 잘 적응하며 생명력을 이어간다. 다시 말하면 우리 조상들과 함께 이 땅에 같이 살아온 식물이기에 조상들이 무척이나 잘 이용하면서 살아온 삶을 함께 한 친숙한 우리의 풀이다. 식량을 보충하기 위해 국을 끓이고 죽을 끓여서 또 떡을 해 먹었으며 민간요법에서는 갖가지 병에 좋다하여 약재로 쓰였고 도특한 냄새를 이용하여 해충을 물리치는데 그리고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데 널리 쓰였다. 이 외에 민간신앙에서 까지 이용되어 그야말로 우리 나라 방방곡곡에 널리 퍼져서 자라는 식물 만큼이나 널리 이용되었던 식물이고 현재도 쑥의 성분을 이용하..

약초를 알자 2009.05.05

3.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ㄷ부)

1. 달개비 - 한약명 : 압척초 닭의 장풀과에 속하는 일년초로 6-8월에 꽃이 피며, 일명 닭의장풀이라 부르기도 한다꽃의 색은 흰색, 푸른색, 붉은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잎, 줄기, 꽃을 약용으로 이용하며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열을 내리고 소변이 붉고 몸이 부으며 소변을 잘 못보면서 열을 동반할시 복용하며, 또 당뇨병에 쓰기도 한다. 2. 달맞이꽃 - 한약명 : 월견초일년초로 해가 지면 꽃이 핀다는 이치에서 달맞이꽃이라 부르며, 토성을 가리지 않고 우리 나라의 곳곳에 잘 자란다.종자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맛은 맵고 약성은 따뜻하다.목구멍이 붓고 열이 나며 아픈데 복용하고, 씨앗을 모아 기름을 짜서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해 식용으로 사용한다.여름 날 해가 서산에 기울기 시작하면 꽃이 피기 시작하여 다..

약초를 알자 2009.05.05

2.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ㄴ부)

1. 나무딸기 - 한약명 : 복분자다년생의 관목으로 나무딸기의 덜 익은 열매(약간 붉은색)를 약용으로 쓴다.약의 맛은 달고 시며 약성은 따뜻하다.신장 기능의 허약으로 유정몽정, 오줌싸개,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을 조절하는데 쓴다.구전으로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등과 같이 남자의 정력을 강하게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2. 나팔꽃 - 한약명 : 흑축1년생 풀로 씨앗으로 번식하며, 씨앗을 약용으로 사용한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설사를 멎게하고 이뇨작용에 효능이 있어 몸이 붓거나 복수가 찰 때, 해수천식이나 변비가 있을 때 씨앗을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3. 능소화 - 한약명 : 능소화 줄기로 다른 물체를 감아올라가는 덩굴식물이며 다년생이다꽃을 약용으로 쓰며 약성은 맵고 조금 차다.어혈로 인한 생리불순, ..

약초를 알자 2009.05.05

1. 식물을 이롭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ㄱ부)

우리 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풀이나 나무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기로 하였다. 귀한 것도 아니면서 무심코 넘길 수 있는 풀이나 나무들. 어떤면에서는 아주 흔한, 그러면서도 귀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기로 한다. 1. 감초 - 한약명 : 감초 약성은 중성, 맛은 달다. 약방에 감초라는 말이 있듯이 다른 약과 어울려 효능을 더욱 보태어 주고 독극성 물질을 해독시키는 작용이 강하다.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비위를 강하게 만들어 주거나 정신을 안정시켜는데도 효험이 있다. 뿌리를 달여서 물을 마신다. 2. 강아지풀 - 한약명 : 구미초 1년초의 외떡잎식물로 7-8월에 꽃을 피우며, 전체 이삭의 모양이 여우의 꼬리와 비슷하다. 맛은 담백하고 성질은 서늘하다. 잎과 줄기를 약용으로 쓰며, 이뇨..

약초를 알자 200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