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를 알자 27

27. 초석잠과 쉽싸리(택란-澤蘭)에 대하여.

澤蘭)> 쉽싸리는 우리 나라 산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연한 부분은 나물로 먹고 성숙하면 약으로 이용한다. 야생에서 자생하는 쉽싸리, 애기쉽싸리, 개쉽싸리 등의 줄기와 잎을 택란(澤蘭), 뿌리줄기를 지순(地荀)이라 하며 약으로 이용한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잎이 무성할때 거두어 잎과 줄기를 이용하며 뿌리는 가을에 거두어 이용한다.. 오늘 특별히 이 풀에 대하여 이야기 하는 까닭은 우리 주변에 있지만 잘 알지못하는 풀들이 많고, 또 초석잠과 쉽싸리(택란)이 같은 풀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쟁이 많아서 두 풀에 대하여 분명히 해둘 필요가 있어서다. 쉽싸리는 우리 나라 산야에서 자생하기도 하지만 약용으로 이용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밭에 많이 재배되고 있고 또 종묘사에서도 모종을 구할..

약초를 알자 2017.08.17

26. 단삼(丹蔘)

(丹蔘)> 학명 : Salvia miltiorrhiza Bunge●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원산지는 중국으로 약재로 재배하는 식물이다.● 잎은 마주나고 홑잎 또는 2회깃꼴겹잎으로 잎자루가 길고 작은잎은 1-3쌍.● 잎의 모양은 난형(卵形) 또는 피침형이고, 끝은 날카로우며 뒷면에 털이 많고 둔한 톱니가 있다.● 번식은 덩이뿌리나 씨로 번식한다.● 뿌리는 붉은색으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간 쓰다.● 뿌리가 붉어서 단삼(丹蔘)이라 하고 약용식물, 밀원식물(養蜂), 관상용으로 심는다. ● 뿌리(根)를 단삼(丹蔘)이라 하여 약용한다.● 단삼, 산단삼, 지단삼, 자삼, 활혈근, 극선초, 목양유, 분마초, 산삼, 적삼, 측마, 홍근, 대홍포 등으로 불린다.● 뿌리..

약초를 알자 2017.01.08

25. 부자(附子)

(附子)> 부자를 알려면 천오(川烏)라는 풀을 알아야 한다. 천오(川烏)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려해살이풀로 독성이 강한 풀이다. 이 풀은 우리나라에서는 잘 자라지 않고 기후가 고온다습(高溫多濕)한 중국의 사천성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풀이다. 부자는 이 풀의 덩이뿌리에 달리므로 부자 역시 중국의 사천성에서 많이 생산되는 약재이다. 이 풀의 원뿌리에 달린 덩이뿌리를 모근(母根)이라 하는데 이 덩이뿌리의 모양이 까마귀의 머리를 닮았다하여 오두(烏頭)라 한다. 따라서 풀 이름도 오두(烏頭)라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이름을 천오(川烏) 또는 오두(烏頭)라 부른다. 천오의 모근 덩이뿌리인 오두 곁에 다른 덩이뿌리인 자근(子根)이 생기는데 이 덩이뿌리가 약재로 쓰이는 부자(附子)이다. 또 부자에 다..

약초를 알자 2017.01.07

24. 향부자(香附子)

(香附子) - 갯뿌리방동사니> 학명 : Cyperus rotundus L. ● 사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및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분포한다.● 바닷가나 냇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모래땅, 해안지대, 논두렁이나 길가 등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란다.● 크기는 70cm 정도 자란다.● 잎은 모여나기 하고 길이 30-60cm, 폭 2-6mm로서 선형이며 진한 녹색으로 광택이 있다. ● 잎의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꽃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7-8월 산형꽃차례로 피고 정생(頂生)하며 산경은 성기게 난다.● 잎 사이에서 높이 30-6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꽃이 피고 포는 2-3개이며 꽃차례의 가지는 1-7개로서 길이가 서..

약초를 알자 2016.12.12

23. 백부자(白附子)

(白附子) - 노랑돌쩌귀> 학명 : Aconitum coreanum.●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분포 : 한국(함북, 평남, 황해도, 경기도, 강원도, 정선군, 평창군, 충북제천시)● 크기는 1m 정도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10cm 정도 되는 긴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잎면은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이 다시 잘게 갈라져 취종열편은 피침형으로 잎이 뾰족하다.● 꽃은 7-8월 황색 또는 황색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줄기 위쪽 또는 그 부근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핀다. ● 꽃자루는 0.5-4mm로 짧고 짧은 털이 많이 나고 중부에 선상포가 2개, 꽃받침조각은 5개로 위쪽의 것은 고깔 모양이다.● 열매는 골돌로 3개이며 길이 1-2cm..

약초를 알자 2016.12.12

22. 나도하수오

◆ 마디풀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평안북도의 산지에 야생한다.◆ 생육환경은 산의 능선을 따라 풀밭에서 자란다.◆ 덩이뿌리를 홍약자(紅藥子)라 하며 약용한다. ◆ 희귀 및 멸동위기식물로 보호되어야 하는 풀로 우리나라에 저생하는 특산식물이다.◆ 꽃이 피는 모습. ◆ 잎의 모양이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게 달린다. ※ 나도하수오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료를 옮겨왔습니다. 속히 보완하겠습니다.

약초를 알자 2016.01.13

21. 하수오

(何首烏)> ◆ 마디풀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야생하고 재배도 한다. ◆ 줄기는 가늘며 전체에 털이 없고 매끈하며 깨끗하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면서 덩이뿌리가 달리는데, 덩이뿌리는 여러개의 가는 줄기로 연결되고 이 덩이뿌리가 하수오다. ◆ 붉은색을 띤 짙은 갈색으로 한방에서는 '적하수오'라 한다.◆ 덩이뿌리는 하수오(何首烏), 줄기는 야교등(夜交藤), 잎은 하수오엽(何首烏葉)이라하여 약용한다.◆ 하수오 - 심은지 3-4년 된것을 이용한다. 봄에는 발아전, 가을에는 잎이 마른뒤 캐서 큰 것은 몇 조각으로 나누어 햇볕에 말리거나 열로 건조시킨다. 강정(强精), 강장(强壯), 완하약(緩下藥 - 補肝, 益腎, 養血, 祛風)◆ 야교등 - 잎이 달린 덩굴을 ..

약초를 알자 2016.01.12

20. 큰조롱(은조롱)

◆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백수오(백하수오)라 부르는 풀이다. ◆ 뿌리줄기가 땅속 깊이 뻗는데, 감자 같은 암갈색의 덩이뿌리가 생긴다. 덩이뿌리를 백수오(白首烏)라 하여 약용으로 쓴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야생하고 있으며 농가에서 인공적으로 재배도 한다.◆ 이른 봄 싹이 올라오기 전이나 11월 잎이 떨어진후 캐서 사용하는데 이른 봄의 것이 품질이 좋다.◆ 자양강장(滋養强壯), 보혈약(補血藥)으로 정기(精氣)를 맑게하고 몸의 털을 검게한다. 오랜 기간 병으로 인한 쇠약, 빈혈, 머리카락이 빨리 희게되는데, 만성적인 바람을 막는데 사용한다. 4-12g 을 달이거나 환(丸),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잎, 줄기, 뿌리 모두를 약용한다. ◆ 잎 끝이 뾰족하고 잎밑은 심장모양이다...

약초를 알자 2016.01.12

19. 박주가리의 이용

◆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에 야생한다. ◆ 잎, 줄기, 뿌리는 나마로 부르며 7-8월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15-60g 정도 달여서 사용한다. ◆ 열매는 '나마자'라 하는데 가을에 성숙한것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9-18g을 달여서 사용한다. ◆ 열매껍질은 천장각(天漿殼)이라 하며 잘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6-9g 달여서 마신다.◆ 열매의 털은 인주를 만드는데 샤용한다. ◆ 그리고 잎, 줄기, 열매는 혈액순환, 어혈, 고혈압, 변비, 생리통, 냉증, 자궁염, 콩팥과방광염, 강정강장의 해독, 혀약증, 발기부전,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 잎은 마주나고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올라오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 ..

약초를 알자 2016.01.12

18. 개똥쑥에 대하여

요즘 개똥쑥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흔하게 길가나 냇가의 모래땅에 자라던 쑥으로 개똥과 같이 흔하게 보인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 개똥쑥입니다. 그것도 전 이야기 입니다. 개똥쑥이 좋다는 내용이 보도되자 너도나도 개똥쑥을 찾으니 이를 보는 사람들은 너나할 것 없이 모두 자기 집으로 캐서 가져간 다음이라 지금은 정말 보기 힘든 형편입니다. 한 때는 더위지기가 간 질환을 치료하는데 좋다고 하여 그걸 찾느라고 야단일 때도 있었고, 또 두충나무가 농가의 소득증대에 큰 보탬이 된다고하여 집집마다 두충나무를 심은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이젠 평상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개똥쑥입니다. 문제는 개똥쑥이란 이름은 알아도 실물을 모르니 찾은 풀이 개똥쑥인지 돼지풀인지를 모르니 문제입니다. 알고 물건을 사..

약초를 알자 201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