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규화목(硅化木)에 대하여. 규화목(硅化木)은 나무의 화석이다. 동해안 7번국도를 달리다 보면 영덕군으로 들어서면서 경보화석박물관이라 이름을 붙인 휴게소가 있다. 이 곳에 들리면 화석들을 이용하여 전시도 하고 또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만들어 놓았다. 여기에 전시한 화석들 거의가 규화목들이다. 대구수.. 재밌는 모습들 ! 2014.10.31
28. 도암대의 어울림. 도암대(陶巖臺)를 찾아서. 1. 날 짜 : 2014년 2월 12일 2. 동 행 : 나무 사랑회 회원 3. 이야기 퇴계 이황 선생과 관련이 있는 도암대를 찾았다. 도암대가 있는 곳은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진평1리 산11번지이며, 도로에서 가까운 곳에 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도암대를 보면서 이 건물에 나무나.. 재밌는 모습들 ! 2014.02.13
27. 공생인가 기생인가? 다음 모습은 만항재에서 함께 살고 있는 모습입니다. 꽃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범의꼬리풀로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이 풀은 집단으로 어울려 살아가는 풀입니다. 그런데 이 꽃이 한창 피고 있는 모습을 보면 꽃이 반이요 나비가 반입니다. 꽃 색과 나비의 색이 어울려 보기 좋은 현상을 보.. 재밌는 모습들 ! 2013.07.07
26. 선인장이 나뭇가지에 달려있습니다. 목기린을 이용한 선인장 접목 아래 사진은 대구수목원의 온실에서 자라는 목기린입니다. 열대아메리카지방이 원산인 대극과에 속하는 목기린이 꽃을 피웠습니다. 이 목기린이 선인장을 접목시키는 대목 역할을 단단히 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온실 안에는 선인장을 접목한 선인장이 많.. 재밌는 모습들 ! 2013.01.18
25. 나무도 변하는가 이상하네요. 아래 사진은 두류공원에 있는 때죽나무를 찍은 것입니다. 어디를 봐도 틀림없는 때죽나무입니다. 그런데 이 나무에 핀 꽃을 보세요.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이 나무 뿐아니라 이런 상식을 벗어난 일들이 곧 잘 눈에 띕니다. 이 나무에 둥글게 달린 것은 꽃봉오리가 아니고 벌.. 재밌는 모습들 ! 2012.06.04
24. 꽃시계는 간다. 부산 용두산공원에 장치된 커다란 꽃시계입니다. 쉬지 않고 시각에 맞게 시계의 바늘은 오늘도 움직입니다. 물론 시각도 정확합니다. ※ 감사합니다. 늘 행복하세요. 재밌는 모습들 ! 2012.02.28
23. 졸참나무에도 말벌은 집을 짓는다. 말벌의 덩치는 크다. 그리고 적을 공격하는 무기 또한 전천후다. 이 벌은 적과 싸울 때 입으로 물고 침으로 쏘고 마음대로다. 보통 벌은 적을 쏘면 침이 빠져서 죽게 되지만 말벌은 침이 빠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계속하여 적을 공격할 수 있다. 공격할 때는 입으로는 물어서 죽이고 침으.. 재밌는 모습들 ! 2012.02.25
22. 연리근(連理根)에 대하여 연리근(蓮理根)에 대하여. 두 나무가 한데 붙은 현상을 연리(連理) 한다. 두 나무의 가지가 한데 붙은 현상은 연리지(連理枝) 두 나무의 줄기가 한데 붙은 현상은 연리목(連理木) 두 나무의 뿌리가 한데 붙어 어울려서 살아가는 현상을 연리근(連理根)이라 한다. 우리의 조상들은 이런 현상.. 재밌는 모습들 ! 2012.02.24
21. 참나무를 전지하는 도토리거위벌레.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갈잎참나무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디. 여섯 종류의 참나무가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참나무다. 6월에서 8월 까지 길에다 나뭇잎을 깔아주는 벌레가 있으니 바로 도토리거위벌레다. 이 때쯤 땅에 떨어진 참나무 잔 가.. 재밌는 모습들 ! 2011.11.10
20. 개잎갈나무(히말랴야시다)가 혹을 달았다. 말벌이 지은 집 개잎갈나무가 동화에 나오는 혹부리영감처럼 큰 혹을 달고 있다. 둥근 공 같이 생긴 통에 조그만 구멍이 뚫려 있다. 조그만 구멍은 벌들이 드나드는 문이다. 이 집의 주인은 사람에게 치명적인 공격을 가하는 말벌이다. 이 말벌은 사람이 기르는 양봉을 비롯하여 자기보다.. 재밌는 모습들 ! 201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