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이야기 44

9. 울진 금강송축제에 가다.

1. 일시 : 2010년 10월 1일 하루2.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한 내용 : 송이따기 체험활동  구수곡자연휴양림 모습  구수곡자연휴양림 안내판   송이체험활동을 위해 구수곡자연휴양림에 도착하였다. 모든 사람들이 현재 울진에 살고 있는 사람이 아닌 타지방 사람들이었다.  송이체험활동을 위해 약 10분 정도 걸리는 장소로 이동하였다.    송이체험활동을 파트별로 나누어 실시하는데 예비조가 대기하고 있다. 앞 조는 체험활동 중이다.    앞 조가 체험활동을 하고 내려오고 있다. 한 사람이 채취하는 양은 한 송이다.   내가 좋아서 찍은 사진 - 송이의 포자가 붙은 부분을 찍는다고 찍었는데 이 모양이 되었다. 그래도 향이 좋았다.   송이가 나는 곳에 싸리버섯이 난다고 했다. 옆에 돋은 싸리버섯 모양.   가..

좋은 이야기 2010.10.02

8. 울진 금강소나무숲길 운영

7월 20일 울진의 금강소나무숲길이 열립니다>  - 국비 투입한 첫 숲길… 보부상길 되살리고 산림과 문화 체험의 장으로 - 경북 울진과 봉화를 연결하던 열두고개, 십이령 옛 보부상길이 되살아납니다.     산림청은 20일 오전 이상길 산림청 차장을 비롯해 울진군, (사)울진숲길 등 지역주민과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울진 십이령에서 금강소나무 숲길 개통식을 갖습니다.  이번에 개통되는 금강소나무숲길은 울진군 북면 두천리부터 서면 쌍전리까지 총 71km의 구간 중 13.5km(두천~소광리)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지리산 둘레길에 이어 산림청이 두번째로 추진하는 숲길입니다.  금강소나무 길은 산림청이 소광리 금강소나무 생태경영림, 통고산, 불영계곡 등 울진 지역의 우수한 산림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숲길을..

좋은 이야기 2010.09.23

7. 가죽나무에 붙은 주홍날개매미를 어떻게 할까?

올해도 자작나무 줄기에 매미가 혀물을 많이 벗었다. 다른 나무들도 많은데 하필이면 자작나무에.     그런데 중국에서 건너왔다는 주홍매미를 올해 처음 보았다. 가죽나무에 점잖게 앉아 있다. 이놈들이 좋아하는 나무가 가죽나무 종류라 한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내가 이놈들을 본 곳이 경주에 있는 경북산림환경연구원이라는 것이다. 이미 이놈들이 경상북도의 남단 경주 까지 왔다.  모조리 잡아야 하는데 참 문제다.         ※  감사합니다.

좋은 이야기 2010.08.09

6. 친환경적으로 모기를 쫓아내는 식물 '로즈 제라늄' !

친환경적으로 여름철에 많은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산림청 블로그 푸르미에 소개된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텔레비젼에서는 구문초라고 소개되었는데, 구문초란        '구문초(驅蚊草)'      몰 구, 모기 문, 풀 초 = 모기를 몰아내는 식물           구문초는 '로즈 제라늄'을 말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라늄은 잎에서 향기로운 '장미향'이 나요.     이 향기를 모기가 아주 싫어해서 가까이 오지 못한다고 해요...    여기서 잠깐 !   사진 몇 장 더 보실래요?   제 블로그 이웃인 '리사'님께서 보내주신 여행 사진인데요,   프랑스의 리보빌레(Ribeauville) 포도주 마을 모습이랍니다.       건물의 창문에 초점을 맞춰 주세요.     외국의 ..

좋은 이야기 2010.08.07

5. 경산 옥산동 7호 토기가마에 대하여

경산 옥산동 7호 토기가마가 국립대구박물관 영내에 복원되어 있다. 옛 조상들이 토기를 어떻게 구워서 이용하고 발전시켰는지 알 수 있게 복원 시켜 학생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보고 생각할 수 있게 해 놓았다.안내된 글에 의하면  ●  이 가마는 산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된 반지하식 굴가마(등요 : 登窯)로 주축 방향은 남북향이다.   ●  가마의 크기는 전체 길이 560cm,  최대너비 170cm, 깊이 70cm 내외이고 바닥의 경사는 13도 정도이다.   ●  우리 나라에서 굴가마로 토기를 굽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후 부터로 알려져 있으나, 실물자료로 조사된 예는 그다지 많지 않다.   ●  대표적인 예로는 충북 진천군 소재 삼룡리 백제 토기가마(사적 졔344호, 원삼국시대)와 경주 손곡동 토기가마(삼국시대)를..

좋은 이야기 201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