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검마산자연휴양림에서 검마산을 오르다(2)>
<사진 1> 큰까치수염풀과 함께 자생하는 말나리꽃이 아름답다.
<사진 2> 메역순나무, 구릿대, 말나리의 어울림.
<사진 3> 동자꽃도 자생하는 풀이다.
<사진 4> 신갈나무와 옆의 노린재나무가 안개 속에 같이 서 있다.
<사진 5> 정상석은 없고 표시판이 사진과 같이 서 있다. 올해가 가기 전 정상석을 세웠으면 좋겠다. 이게 뭔가?
<사진 6> 안개 속의 신갈나무와 메역순나무
<사진 7> 정상임을 말하는 표시리본이 많이 달려 있다. 정상에 있는 물푸레나무에. 안개 낀 정상의 신비로움. 어울린다.
<사진 8> 큰 신갈나무가 오랜 연륜을 자랑하고 있다.
<사진 9> 정상에 펼쳐진 미역줄나무 군락. 그 사이에 말나리와 산원추리가 꽃을 피우고 있다.
<사진 10> 물푸레나무가 정상에 서 있다.
<사진 11> 갈림길에 세워진 표시봉이다. 안개 낀 날이나 흐린 날에는 잘 보아야 한다.
<사진 12> 참좁쌀풀이 곱게 꽃을 피우고 있다.
<사진 13> 백당나무의 모습
<사진 14> 신갈나무 사이로 안개가 끼어서 신비스럽다.
<사진 15> 당단풍나무다. 뒷쪽의 나무 잎이 하얗게 보인다. 사진에 이런 경우도 있는가 보다. 어쨌던 보기는 좋다.
<사진 16> 올라갈 때 없던 안개가 내려올 때 이렇게 많이 끼었다. 휴양림 쪽으로 가는 것이 바른 길이다.
<사진 17> 꽃이 뭉쳐서 피기 때문에 '산옥잠화'라 하는 사람도 있고 '일월비비추'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사진 18> 검마산에도 청괴불나무가 있다. 그런데 열매는 없다. 어려서인가? 이니면?
<사진 19> 내려오는 길의 신갈나무 숲이다.
<사진 20> 짝짜래나무다. 이 나무는 대부분 깨끗하지 않은데 무척산에서 본 것처럼 깨끗하다. 열매가 몇 개 달렸다.
<사진 21> 산에만 가면 보이는 풀인데 이름을 알아보아야할 풀이다.
<사진 22> 피나무의 변형된 모습이다. 끝이 유난히 뾰족하다. 그리고 톱니도 거칠다.
<사진 23> 삽주다. 한약으로 많이 이용되고 또 민방에서도 활용된다.
<사진 24> 임도에 설치된 이정표봉이다. 정상으로 가는 길 맞은 편에 휴양림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사진 25> 산원추리 꽃이다. 깨끗하고 아름답다.
<사진 26> 까치박달나무의 꽃과 잎 모양 모두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 같다.
<사진 27> 자생하는 노루오줌풀이 꽃을 피웠다. 아름다운 풀이다.
<사진 28> 홍자단나무다. 가을에 열매가 빨갛게 익으면 훨씬 아름답다. 자생하는 것은 아니고 심어놓은 것이다.
<사진 29> 머루덩굴이다. 열매는 사람이 먹으며 가정에서 키우기도 하고 농장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사진 30> 이 산에 쪽동백나무가 매우 많다. 큰 나무도 있고 작은 나무도 있다. 모두 열매를 많이 달고 있다.
<사진 31> 자생하는 꼬리조팝나무다. 꼬리조팝나무는 꽃 색이 붉고, 꼬리말발도리는 꽃 색이 희다.
<사진 32> 밭에 재배하고 있는 층층갈고리둥굴레다. 5년근 이상이 되면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우리들이 사용하는 둥굴레 차의 원료도 대부분 이 층층갈고리둥굴레의 뿌리라 한다.
<사진 33> 산돌배나무가 배를 달고 있다. 언제쯤 먹을까? 아니면 약용으로 쓰일까?
<사진 34> 싸리나무가 꽃을 한창 피우고 있다. 흔히 말하는 싸리다.
<사진 35> 참싸리다. 잎의 모양이 잎 끝 부분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고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려 있다.
<사진 36> 물오리나무인것 같은데 잎가의 결각이 너무 심하다. 열매도 축 늘어져있다. 그래도 다른 품종이 없으니 물오리나무다.
<사진 37> 개다래덩굴이다. 아직 혼인색이 없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열매는 하나도 안 보인다.
<사진 38> 두들마을 주차장에 있는 나무다. 개량된 '은청가문비나무'다. 색이 흰색이 많이 비친다. 잎은 매우 거칠지만 고급 수종이다.
<사진 39> 두들마을 안내도. 재령이씨 집성촌이다. 체험한옥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사진 40> 두들마을 표지석 -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다.
<사진 41> 전나무다. 열매를 맺고 있다. 열매 위에 송진이 많이 묻어있다. 솔방울 조각이 그대로 붙어있다.
<사진 42> 예부터 심어져 온 봉선화다. 옛날 그대로 피고 있다. 요즘은 개량된 겹꽃이 피는 봉선화를 많이 심는다.
<사진 43> 백일홍이 꽃을 피우고 있다. 이 역시 오래 전부터 심어져 온 우리 고유의 품종들이다.
<사진 44> 개머루다. 먹을 수 없다.
<사진 45>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다. '큰조롱'과 많이 닮긴 하였으나 잎의 밑 부분이 다르다. 잘 관찰하여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사진 46> 모감주나무가 열매를 맺고 있다. 열매는 겨울에도 아름답게 보인다.
<사진 47> 꽃이 흰색이라 고민했던 나무다. 모든 정황을 종합해 보면 흰해당화에 가장 가깝다. 혹시 다른 이름이 있는지 연구할 나무다. 문학가 이문열 선생 집에 심어 놓은 꽃이다.
<사진 49> 문학가 이문열 선생 집 안 담에 핀 능소화다. 능소화꽃의 꽃가루에 독성이 있다는데.
<사진 50> 오랜만에 보는 과꽃이다. 예전에 피던 꽃처럼 아름답다.
<사진 51> 집 안에 심어두면 큰 인물이 난다고 했던 회화나무다. 이문열 선생 집 마당에 심어져 있다.
<사진 52> 울진군과 영양군의 경계에 있는 경계비다. 혹자는 '구실령'이라고 하나 '구주령'으로 표기되어 있다.
<사진 53> 군경계비 뒷면에 있는 비에 대한 설명문.
※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산이 좋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 달성군 화원자연휴양림을 가다. (0) | 2011.08.06 |
---|---|
69. 보경사가 있는 청하골에 가다. (0) | 2011.08.04 |
67. 영양 검마산휴양림에서 검마산을 오르다(1) (0) | 2011.08.01 |
66. 달비골에서 가창 양지마을 까지. (0) | 2011.07.25 |
65. 전남 장성의 축령산 치유숲길을 가다. (1) | 201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