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류배수지는 올해도 화원(花園)>
1. 날짜 : 2024년 3월 24일
2. 이야기
두류공원 금봉산 기슭에 두류배수지가 있다.
해마다 이때쯤이면 화원이다. 변덕이 많은 날씨에도 변함없이 花園을 이룬다. 봄을 즐기는 상춘객들이 벌써부터 이 곳을 찾아 봄을 즐긴다. 그런데 이상한 일은 봄이면 언제든지 찾아와 꽃에서 꿀을 찾던 벌들이 보이지 않는다. 작년부터 벌뿐아니라 나비 까지도 보이지 않는다. 이번이 일어난 것인지도 모른다. 지구상에는 있어야할 것들은 모두 있어야한다. 모두 제들이 할 일은 있는 법인데 무슨 재난인지 아니면 재앙인지 알수가 없다. 두류배수지가 비교적 따스한 곳이어서 그런지 꽃이 일찍 핀다. 작년에 이 곳에서 자라던 중국굴피나무를 싹뚝 잘라서 올해는 뿌리에서 새싹도 올라오지 않는다. 그러나 꽃은 제철을 알고 있다. 제일 먼저 꽃을 피운 것은 진달래다. 이어서 조팝나무가 꽃망울을 열기 시작한다. 이어서 산철쭉이 화원을 꾸밀 것 같다. 그 다음은 영산홍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산벚나무도 빈자리를 메울것으로 생각된다. 두류배수지를 이렇게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조성해준 처사 정말 고맙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지금 까지 봄을 장식했던 매화들은 결실을 맺고 다음차례의 나무들에게 할 일을 넘겼다. 지금은 살구나무가 화원을 장식하고 있다. 성당못 부근은 화사한 봄날이다.
가수 이찬원의 노래 18세 순이가 생각난다.
살구꽃이 필 때면 돌아온다던
내 사랑 순이는 돌아올 줄 모르고
서쪽하늘 물 틈새로 새어드는 바람에
딸어진 꽃 냄새가 나를 울리네.(이하 략)
참으로 신기하고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자연의 현상들이 계속된다.
그래서 올해도 두류공원의 봄화원은 시작되었다.
혼자서 보기에는 너무 아까워 같이 보자고 여기에 올려본다.
정해진 사람은 없지만 꽃을 사랑하는 사람은 아름다움을 잃지않으니.
언제나 있으리라 믿으면서 여기에 올린다.
<사진 1> 적막한 거리에 꽃단풍나무가 정적을 깬다.

<사진 2> 이 새가 직박구리인가? 꽃에서 무엇을 구하려는지 꽃송이가 떨어진다.

<사진 3> 직박구리가 앉아서 무엇인가 하던 살구꽃.

<사진 4> 꽃단풍나무의 꽃과 백목련이 피우려는 꽃송이가 잘 어울린다.

<사진 5> 산철쭉도 꽃망울을 부지런히 만들고 있다.

<사진 6> 찔래나무도 봄을 맞고 있다.

<사진 7> 조팝나무의 봄맞이.

<사진 8> 영산홍들도 푸짐하게 꽃을 피우겠지?

<사진 9> 진달래의 향연.

<사진 10> 개량된 원예종 철쭉으로 보이는 나무.

<사진 11> 봄의 전령 개나리.

<사진 12> 조팝나무의 꽃송이들.

<사진 13> 산벚나무가 될지 개벚나무가 될지 지금은 아무도 모른다.

<사진 14> 자두나무가 화사하게 꽃잔치를 벌였다.

<사진 15> 모과나무는 언제쯤 꽃송이를 보여줄까?

<사진 16> 성당못과 어울린 살구나무의 담백한 꽃송이들.

<사진 17> 성당못의 섬에도 봄은 왔는데?

<사진 18> 앵두나무도 꽃을!

<사진 19> 이 살구나무는 벌써 꽃을 마무리하였다.

<사진 20> 깨끗하고 탐스럽게 핀 백목련의 꽃.

<사진 21> 명자나무의 아름다움인지 산당화의 아름다움인지?

※ 감사합니다. 꾸며가는 쪽입니다.
'꽃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 12월의 온실은 봄이다. (3) | 2024.12.17 |
---|---|
87. 블루 사파이어 세이지(Blue Sapphire Sage) (1) | 2024.11.01 |
85. 꽃 루피너스에 대하여. (0) | 2023.05.08 |
84. 금봉산 두류배수지는 천상의 화원. (0) | 2023.04.04 |
83. 엔젤 카랑코에(Kalanchoe)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