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식물원(거제정글돔)에서>
1. 날짜 : 2025년 2월 14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이제 하룻밤을 자는 여행의 마지막 날이다. 오늘은 일반 산악회 프로그램에서 자주 소개되는 거제식물원인 정글돔을 살피기로 한다.
거제식물원이 있는 곳은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 거제남서로 3595. 055-639-6997(매표소)
에 있는데 네비게이션에 ‘거재식물원’으로 검색하면 더 편리하다.

거제식물원은 식물생태계를 비롯하여 열대, 난대, 온대환경의 식물들을 한눈에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체험, 연구, 전시, 교육, 휴식공간으로 어린이는 물론 어르신들에게도 신비롭고 환상적인 테마 탐험공간과 식물문화체험 교육의 장을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식물원이다(안내자료에서).
지금은 겨울이라 추운 밖에서 활동하기가 어려운 시기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따스한 온실 같은 곳에서 식물들의생장을 살피는 것이 훨씬 좋은 편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살필수 있는 시설로 2013년 11월 27일 찾았던 경주 동궁원이 있다. 그리고 지난1월에 찾았던 거창 열대식물원 그리고 이보다 더 크고 자료가 풍부한 국립수목원도 있지만 국립수목원은 아직 찾은 일이 없다. 평소에는 대구수목원의 온실인 선인장이 있는 온실, 종교 관련 식물원, 열대과일원 그리고 일반 온실이 있다. 오늘 거제수목원을 찾은 것은 식물을 살피고 익히는데 취미를 가진 나로서는 평생 기억에 남는 일이라 생각한다. 우선 규모가 커서 키가 큰 식물들도 성장할수 있다는 점 대단한 일이라 생각한다. 물론 어디를 보나 알고있는 식물들도 있고 모르는 식물들도 있다. 우리나라의 난대림에서 자라는 식물들도 처음 접하는 식물들이 많다. 늘 생활 가까이서 보는 나무나 풀들은 어느 정도 익히고 있지만 난대림 열대림의 나무들은 모르는 것들이 부지기수다. 베트남과 캄보디아 그리고 유럽여행에서 많은 초목들을 보았지만 그 이름과 생태를 알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지금은 나무나 풀들도 국제화가 되어 밤사이에도 새로운 종이 나타나곤 한다. 이런 경우는 당연히 모르기 일쑤다. 그래서 배움은 끝이 없고 세계는 넓다는 신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오늘 살펴본 거제식물원은 그래도 식물들에게 이름표를 많이 붙여주어서 문외한인 나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오늘 본 알다가 모르다가 하는 이름들을 올려볼까 한다. 모두를 알고있는 식물들이 아닌것들이 많지만 한 번이라도 이름을 되새기는 시간이 될 것을 기대해서다. 거제식물원은 관람료가 있는데 경로인 경우에는 무료 입장이 된다. 이 난을 빌어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한다.
<사진 1> 거제식물원과 농업개발원 위치 안내

<사진 2> 거제정글돔 모습

<사진 3> 사자라는 모습이 보기 좋은 나무 꽝꽝나무

<사진 4> 종려나무

<사진 5> 식물원 내부 안내

<사진 6> 기린각

<사진 7> 알라만다

<사진 8> 가운데에 버티고 선 흑판수.

<사진 9> 인공폭포

<사진 10> 시서스 버티실라타.



<사진 13> 이름을 확인중

<사진 14> 공작야자.


<사진 16> 용혈수.

<사진 17> 가시판다누스

<사진 18> 케인베고니아

<사진 19> 두란타

<사진 20> 가시 없는 판다누스

<사진 21> 말바비스커스

<사진 22> 판다누스

<사진 23> 유카

<사진 24> 얼룩자주달개비

<사진 25> 무늬벤자민고무나무

<사진 26> 대만고무나무

<사진 27> 마셍기아나

<사진 28> 움벨라타고무나무

<사진 29> 나무알로에

<사진 30> 인도고무나무

<사진 31> 칼로데아 마로야나

<사진 32> 돔베아 발리키이(웨딩벨)

<사진 33> 떡갈잎고무나무

<사진 34> 드라세나 리플렉스

<사진 35> 금엽목

<사진 36> 대엽홍콩야자

<사진 37> 판다고무나무

<사진 38> 대만황근

<사진 39> 여인초

<사진 40> 후라

<사진 41> 대만담팔수

<사진 42> 세르베라망가스

<사진 43> 대왕야자

<사진 44> 파파야

<사진 45> 망고

<사진 46> 세이브리찌야자

<사진 47> 드라세나 '레몬스트라이트'

<사진 48> 카나리야자

<사진 49> 아레카야자

<사진 50> 성탄야자

<사진 51> 빈낭

<사진 52> 왜성빈낭

<사진 57> 곤봉야자

<사진 53> 뷰티아야자

<사진 54> 여우꼬리야자

<사진 55> 호주바오밥나무

<사진 56> 연화수

<사진 57> 하와이무궁화

<사진 58> 캐리안드라수리남

<사진 59> 캐리안드라

<사진 60> 우의목

<사진 61> 아칼리마

<사진 62> 미인수

<사진 63> 워터자스민

<사진 64> 거제정글돔의 다른 모습


<사진 66> 캐모양이 아담한 후박나무.

※ 참고 : http://www.geoje.go.kr/gbg/
https://www.geoje.go.kr/gbg/
www.geoje.go.kr
※ 감사합니다. 공간 과다로 식물원의 모든 식물들을 올릴수 없었습니다.
돈나무, 비파나무, 곰솔, 후박나무, 종려나무, 꽝꽝나무, 부겐빌레아, 기전각, 용설란, 알라만다, 소란드라, 아칼리파 메쿠로필라, 흑판수, 시세스 버티실라타, 공작야자, 엔젤왕자스민, 용혈수, 가시판다누스, 케인베르나아, 두란타, 가시없는 판다누스, 말바비스커스, 판다누스, 유카, 얼룩자주달개비, 무늬벤자민고무나무, 대만고무나무, 마셍기아나, 움벨라타고무나무, 나무알로에, 인도고무나무, 칼라데아 마로야나, 돔베아 발리키이(별명 - 웨딩벨), 떡갈잎고무나무, 드라세나 피플렉스, 금엽목, 대엽홍콩야자, 판다고무나무, 자메이카, 대만황근, 여인초, 후라, 대만담팔수, 세르베라망가스, 홍피초, 대왕야자, 파파야, 스타푸르츠, 망고, 분홍협죽도, 안스리움, 세이브리찌야자, 드라세나 레몬스트라이트, 카나리야자, 아레카야자, 성탄야자, 빈낭, 왜성빈낭, 곤봉야자, 방동산이파피루스, 뷰티아야자, 여우꼬리야자, 코클로스페리움, 호주바오밥나무, 하와이무궁화, 연화수, 캐리안드라수리남, 케리안드라, 케리모아, 모리자스민, 거미백합, 나비목, 화염수, 우의목, 아칼리파 호즈만, 메디넬라, 부룬펜시아, 무늬벵갈고무나무, 미인수, 워터자스민, 씨타렉시움 등.
'나무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5. 통도사의 매화향에 빠지다 (0) | 2025.03.16 |
---|---|
404.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의 봄. (0) | 2025.03.11 |
402. 봄은 남쪽으로 부터(1) (3) | 2025.02.17 |
401. 고려동 자미화(紫微花)를 찾다. (0) | 2024.10.28 |
400. 나무 찾아 삼만리(2) (7)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