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 구별 174

14. 이름도 선명한 피나무를 살펴보자

우리 나라에 피나무가 많다. 그러나 생활주변에서 피나무의 필요성이 덜해서 그런지 그리 친숙하게 느껴지지 않고 어쩐지 서먹한게 사실이다. 꽃도 그리 화려하게 피지 않는다. 그저 수수하게 피는 편이라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게 사실이다. 그러나 꽃이 한창 필 때는 나무 주위에 은은한 향기가 나고 벌과 곤충들이 많이 모여든다. 꿀을 모으기 위해서다. 밀원식물로서 몫을 단단히 해낸다.    그리고 절에서도 염주를 만드는 나무라하여 한두그루씩 심곤한다. 이번부터 피나무에 대하여 하나씩 찾아 완성해 보고자 한다.  1. 피나무란?    피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 나라, 일본, 중국, 러시아의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지방에 따라서는 피나무를 달피나무, 보리수나무, 단목 등으로 부르기도 ..

나무들 구별 2009.10.18

13.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의 구별은 어떻게 할까?(1)

소나무는 그 종류가 여러 가지이다. 같은 품종이라도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린다.     또한 이름도 일본사람들이 부르던 것을 그대로 부르고 있는가하면 다시 우리 나라 이름으로 고쳐 부르는 경우도 많다.     분명한 것은 이제는 우리에게 맞게 통일되게 나무의 이름을 정하여 불러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에 있는 나무를 우리 나라에 맞게 고쳐 부르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 나무를 구별하는 것도    생활에 접하기 쉬운대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가장 실용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나무를 구별하는 방법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그 방법은 생김새를 중심으로 모양과 색깔을 눈으로 보고 직접 구별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을 소개한다.   1. 잎의 숫자로 구별하는 방법..

나무들 구별 2009.10.14

12. 봄 철의 입맛을 돋우는 두릅나물

봄 철의 입맛을 돋우는 대표적인 산채로 두릅과 개두릅, 땃두릅을 빼놓을수 없다. 향과 맛을 통틀어 단연 좋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재미 있는 점은 두릅나무와 땃두릅, 땃두릅나무는 두릅나무과이고 개두릅나무는 오갈피나무과 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먹는것이니까 별다른 구별을 두지않고 참두릅, 개두릅하고 부른다. 참두릅은 두릅나무의 새순이고 개두릅은 음나무(엄나무)의 새순과 줄기이다. 다시말하면 음나무를 개두릅이라 부른다. 그리고 땃두릅과 땃두릅나무를 구별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같은 두릅나무과이지만 땃두릅과 땃두릅나무는다르다. 땃두릅은 독활이라는 풀이고, 땃두릅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나무이다.두릅나무, 개두릅나무, 땃두릅, 땃두릅나무 모두 약용으로 쓰인다.     여기서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

나무들 구별 2009.09.30

11. 추어탕에 넣는 것은 초피나무(제피나무)의 잎과 열매의 껍질이다.

나는 배추로 담근 익지않은 생김치를 좋아한다.  특히 김치를 담을때 초피나무(제피나무)의 잎이나 열매의 껍질을 넣어서 담은 김치라면 다른 반찬이 없어도 밥 한 그릇 정도는 먹어치운다.  그런데 지금에서야 김치에 넣은 것이 초피나무 잎이라는걸 알았다.  까닭은 사람에 따라 계피, 젠피, 산초, 초피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었으므로나름대로 뚜렷하게 규정 짓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산행을 자주하는 편이지만 흔하게 보이는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를 구별하지 못하였다.차제에 구별하는 방법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 자연을 잘 이용하는 방법이라 생각되어 내용을 새로정리하여 보았다.  1. 계피나무 : 육계나무의 껍질을 계피라 한다.  ①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녹나무과의 열대성 상록활엽 소교목으로 중국남부지방, 스리랑카, ..

나무들 구별 2009.09.24

10. 섞으면 술이 헛 것이 되는 허깨나무

1. 헛개나무는 우리 나라의 중부 이남지방에서 자생합니다.  2.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호깨나무' '호리깨나무' '허리깨나무' 불개나무' '현포리' '백석목' '지구자나무'로도      불립니다. 3. 허깨나무에 대한 기록이 있는 의서들은 본초강목을 비롯하여 여러 의서들이 있습니다.          4. 헛개나무는 이런데 좋습니다.    ◈  술로 생긴 병을 고치는데 효험이 큽니다. - 술로 인해 생긴 다음의 증상에 좋습니다.      숙취, 주독, 입에서 나는 냄새 제거, 변비 해소, 구역질, 알코올 중독 등의 치료  ◈   간의 기능을 높여주고 간에 쌓인 독을 풀어줍니다. 5.  이용 방법      ①  달여서 물을 마시는 방법(차로 마시는 것 포함)       ②  조청 같이 만들어..

나무들 구별 2009.09.15

9. 개암나무와 가막살나무 이야기

대구 주위에는 아름다운 산들이 매우 많다. 전국의 산악인들에게 다시 가고 싶은 산을 택하라고 한 결과 대구의 팔공산이 단연 으뜸으로 꼽혔다는 이야기는 팔공산 뿐아니라 대구에 있는 산들이 매우 아름답다는 이야기가 된다. 알프스산처럼 험하고 높은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마을의 동산처럼 가벼운것도 아닌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고루 갖춘 산이 팔공산이다. 그리고 대구의 남쪽을 아담하게 감싸고 있는 비슬산의 한 부분이 대구의 시민들이 즐겨 찾는 앞산이다. 앞산 또한 시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을 만큼 많은 나무들이 자란다. 오늘은 이 산을 오르면서 늘 구별하기가 까다로웠던 개암나무와 가막살나무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싶다. 우선 이들 나무의 생김새를 살펴보면 사진 ①..

나무들 구별 2009.09.06

8. 층을 이루며 사는 나무들

아래 나무의 모양을 살표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나무의 원 줄기에 작은 가지들이 빙 돌려나서 층을 이루고 자라고 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도 또 빙 돌려나서 한 층을 이룹니다. 이 나무가 바로 사진과 같은 충층나무 입니다. 이렇게 층을 이루고 자라는 나무로 말채나무, 곰말채나무, 흰말채나무, 노랑말채나무, 산수유나무, 산딸나무 들이 있습니다. 이 나무들 모두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입니다.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의 공통된 특징은 모두 층을 이루고 자랍니다. 층층나무를 제외하고 모든 나무의 잎과 잔줄기가 마주나 있습니다. 다만 층층나무만 어긋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나무 하나 하나를 살펴보겠습니다. ..

나무들 구별 2009.09.04

7. 간 질환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오리나무

우리 조상들이 거리를 알기 위해 오리(五里)에 한 그루 씩 심었다는 오리나무!세계적으로 그 종을 살표보면 약 30여 종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는 7종 가량이 식생하고 있다. 해방이후 헐벗은 산을 푸르게 만들기 위해 전국적으로 심었던 오리나무들. 요즘들어 나무의 수액이 몸에 좋다고하여 사람들의 관심이 잡중되고 있는 실정인바 오리나무 역시 예외일수는 없다. 오리나무의 수액도 약용이나 음료용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문제는 오리나무 수액이 좋기는 한데 모든 오리나무의 수액이 다 좋은것은 아니고 우리나라의 토종오리나무라야 약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그래서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오리나무에 대하여 생태와 구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Ⅰ. 오리나무의 종류 오리..

나무들 구별 2009.09.04

6. 참나무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모든 식물이 그러하지만 특히 참나무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먼 옛날부터 우리들의 생활에 많이 이용되어왔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요즈음에는 숯의 과학적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밝혀지면서 더욱 많은 연관을 맺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었던 숯을 만드는 원료는 참나무다. 그러나 우리가 참나무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오늘은 참나무의 기초적이고 상식적인 정도만이라도 알아보고자 한다. 1. 참나무에 대하여참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10속 600여 종이 있는데 우리 한반도에는 4속 26종이 분포되어 있다. 너도밤나무속, 밤나무속, 모밀잣밤나무속, 참나무속 중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나무인 갈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나무들 구별 2009.07.04

5. 자작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까치박달나무, 개박달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외

2009년 5월 30일 울진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에 갔다. 길이 반 정도는 포장이 되지않아서 승용차가 가는데 꽤 힘이 들었다. 맑은 물이 흐르는 물가에 보이는 나무. 이게 내가 처음 보는 멋있는 열매를 달고있는 나무.이 나무가 자작나무과의 서어나무속에 속하는 까치박달나무. 어쨌던 꽃인지 열매인지 달린채로 본건 처음이라 김박사님께 지도를 부탁드렸더니 이름을 '까치박달나무'라고 일러 주신다.이 차제에 자작나무과의 나무들에 대하여 정리해 보는 것도 재미 있을것 같아 탐구하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 쌍떡잎식물 갈래꽃류의 한 과. ●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 꽃은 단성화이며 열매는 견과이다. ●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남반구 일부에 70 여 종이 분포하며, ● 우리 나라에는 자작나무, 박달나무류, 서어나무류,..

나무들 구별 2009.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