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풍경들. 89

19. 솔내음 짙은 팔공산의 북지장사.

솔내음 짙은 북지장사(北地藏寺) 1. 찾은 날짜 : 2015년 12월 12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되어 있지만 한 때 절의 세력이 융성했을 때는 동화사를 말사로 거느렸던 역사가 깊은 절이다. 북지장사는 1192년(명종 22)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창건 이후 애석하게도 절의 역사가 전해오지 않고 있다. 북지장사에는 보물 제805호로 지정된 지장전, 대구광역시유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2기와 대구광역시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석조지장보살좌상이 있다. 대웅전의 동편에 남쪽을 향하여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된다. 지금 까지 북지장사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다. 그러나 실제로 찾은 일은 오늘이..

18. 포항 오어사(吾魚寺)

포항 오어사(吾魚寺) 1. 날 짜 : 2015년 11월 15일 2. 동 행 : 가족 나들이 3. 이야기 원효대사와 혜공스님의 신통한 도력이 깃든 포항의 오어사를 찾았다. 이 곳에도 어김없이 가을은 찾아와 있었다. 오어사 앞에 위치한 오어지에는 현수교가 놓여져 있고 이를 통하여 걷는 길도 조성되어 있었다. 경내에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불심이 깃들고 평화로운 곳이었으면 좋으련만. 절의 건물들이 절의 세를 가름하는 잣대인지는 모르겠는데 하여튼 절 마다 공사를 많이 하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절은 절다운게 가장 좋다는 생각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오어사에 대하여. 오어사도 가을에 둘러싸였다. 경내에 핀 꽃이다. 여름에 피는 꽃 같은데? 오어사 대웅전에 대하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에 ..

15. 함양의 벽송사와 서암정사

함양의 벽송사(碧松寺)와 서암정사(瑞岩精舍) 1. 날 짜 : 2015년 2월 4일 2. 동 행 : 예임회 회원 3. 이야기 벽송사는 조선 중종 15년 벽송(碧松) 지엄(智嚴)이 중창한 뒤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1950년 6.25전쟁때 불에 탔으나 바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은 경상남도 전통사찰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로는 고려 초기의 것으로 보이는 벽송사삼층석탑과 목장승 2 기가 전한다. 삼층석탑은 2층 가단 위에 세운 것으로 보물 제474호로 지정되어 있다. 두 기의 목장승은 본래 높이가 4m 였으나 절반이 땅에 묻혀 있어 본래의 높이 보다 낮다. 목장승은 왼쪽이 금호장군(禁護將軍), 오른쪽이 호법대장군(護法大將軍)인데 재질은 밤나무이다. 이 중 금호장군..

14. 포항 보경사의 풍경

포항 보경사의 풍경 언제 부터인가 '청하 보경사'라 불렀다. 보경사가 한창 부처님의 가르침이 성할 당시 청하는 현으로 되어 있어서 '청하 보경사'라 불렀을 것 같다. 그런데 또 어느날 부턴가 '포항 보경사'란다. 행정구역이 포항시로 되어 있어서 그렇게 고쳤을 것이다. 그래도 사람들은 청하 보경사라고 많이 알고 있을 것 같다. 어쨋던 보경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시작할까 한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보경사 소유의 땅이 많다는 사실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을것 같다. 그런 까닭에 보경사를 중심으로한 일대에는 아름드리 나무들이 잘 자라고 있다. 모두가 보경사에서 관심을 갖고 지켜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김천 직지사 경내에도 큰 나무들이 잘 자라고 있다. 사찰의 역사가 깊은 절은 모두가 나무들이 잘 자라고..

13. 승보사찰(僧寶寺刹) 조계산 송광사

승보사찰(僧寶寺刹) 조계산 송광사(松廣寺) 1. 송광사에 대하여 알아야할 기본 지식. 송광사는 우리 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에 해당하는 큰 절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천자암을 떠나 16시 10분 송광사 주차장에 도착하였다. 여기서 잠깐 송광사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불교에서 말하는 삼보(三寶)란 부처, 경전, 스님을 말하는 것으로 양산의 통도사, 가야산의 해인사, 순천의 송광사를 일컬어 삼보사찰(三寶寺刹)이라 한다. 즉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영취산 통도사는 불보사찰(佛寶寺刹), 부처님의 가르침인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가야산 해인사는 법보사찰(法寶寺刹), 부처님의 가르침을 행하여 16국사를 배출한 조계산 송광사는 승보사찰(僧寶寺刹) 이 세 절을 우리 나라의 삼보사찰이라 말하고 있다. 2. 송광..

12. 비슬산 소재사

소재사(消災寺) 소재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봉리 4번지에 있는 절로 비슬산(琵瑟山) 조화봉 남서 중턱 430m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최초 창건연대는 신라시대로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개산연대(開山年代)는 알 수 없다. 사기(寺記)에 따르면 1358년(고려 공민왕 7년)에 진보(進寶)법사가 중창했고 1457년(조선 세조 3년)에 활륜(活輪)선사가 중건하였으며, 1510년(조선 중종 5년) 선주외암(善珠外巖)이 중수하였다. 현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형 건물로 1673년에 지었으며, 1857년(조선 철종 8년)에 법로(法盧)화상이 중수하였고 그 후 몇 차례 보수 흔적이 있다. 대웅전에는 본존불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로 약사불과 연등불이 협시하고 있..

11. 비슬산 대견사

비슬산 대견사 2014년 10월 11일 비슬산자연휴양림을 통하여 대견봉에 올랐다. 올해들어서 두 번째인데 처음은 비슬산에 천왕봉 정상석을 세웠는데 그것을 확인하면서 대견사를 찾았고, 오늘은 대견사 까지 산을 오르고 싶어서 였다. 물론 행사가 있어 하루를 자연휴양림에서 지냈는데, 이 산에 참나무가 많아서 몇 시간을 도토리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 날이기도 하였지만. 해마다 진달래가 필때면 비슬산 참꽃축제에 오면서 대견사지를 보곤하였는데 이제는 어엿한 절로서의 위치를 찾았는데 누군들 그 모습을 다시 보고 싶지 않겠는가? 대견사의 모습을 모든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싶어서 여기에 올린다. 안내문에 의하면. 대견사(大見寺) 대견사는 크게 보고,크게 느끼고, 크게 깨우친다는 뜻으로 중국에서 보았던 절터라 하여 ‘대..

10. 남산제일봉의 청량사

남산제일봉(매화산)에 오르는 길에 청량사를 찾다. 1. 날 짜 : 2012년 9월 19일 2. 산사의 모습 여기서 말하는 청량사는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매화산에 있는 청량사를 말한다. 청량사(淸凉寺)는 해인사 산내 암자로 창건 연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전해오는 말로는 해인사(AD802 창건)보다 먼저 창건되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의 최치원조에 이 절은 최치원(857-?)이 즐겨 찾던 곳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요 문화재로는 9세기 초 부터 이 절을 지켜온 돌부처님 청량사석조여래좌상(淸凉寺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265호), 신라석탑의 대표적인 양식을 지닌 석탑(石塔 - 보물 제266호), 9세기 끝 무렵의 치레수법이 아름다운 석등(石燈 - 보물 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