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포항시 청하에 있는 기청산식물원의 6월(1) 2010년 8월 이 식물원에 왔다가 2011년 6월 9일 다시 들렀다. 그 때도 그랬듯이 아늑함이 깃든 운치 있는 식물원 그대로였다. 더구나 오늘은 아침 이른 시간이었는데도 원장님과 직원들의 식물 보살핌은 여전하였다. 특히 자연 사랑과 식물종의 보전에 대한 원장님의 손길을 실감하면서 울릉.. 나무를 찾아 2011.06.11
36. 수밭골 마을에 있는 느티나무 청룡산 정상에서 수밭골로 내려오면 수령 200년이 더 된 느티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준다. 이 나무는 수령도 오래 되었고 나무의 크기도 크며 또한 마을과 인연이 깊은 나무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지정된 해 1982년 10월 30일 지정 품격 보호수 7-(4) 소재지 대.. 나무를 찾아 2011.06.08
35. 달성군 논공면 노이리(蘆耳里)를 찾아서. 행정구역 상으로 달성군 논공면 노이리를 찾았다. 이름이 특이하다. 자체가 새롭고 신선하였다. 옥포에서 왼쪽 골짜기로 들어가는 동네로 입구에서 볼 때와는 다르게 마을 자체가 매우 넓게 자리하고 있었다. 전에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고 현재는 농공이 함께 자리 잡아가는 동네로 .. 나무를 찾아 2011.05.26
34. 울릉도 저동에 있는 나무들을 찾아서 울릉군 저동항을 중심으로 자생하고 있는 나무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저동(苧洞)이란 지명이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알아보자. 개척 당시 이곳 갯벌에 '모시'가 많이 자생하고 있었는데, '모시가 많은 갯벌'이란 뜻으로 '모시개'라 부르다가 지명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부터 모시저(苧).. 나무를 찾아 2011.05.22
33. 울릉도를 가다(1 - 나무) 울릉도를 가다(1 - 나무) 2011년 5월 14일부터 5월 16일 까지 동해의 보물섬 울릉도를 탐방하였다. 울릉도를 오가는 여객선은 포항, 후포, 강릉 세 곳에서 운항하는데 후포에서 출발하였다. 배는 5월 14일 오전 9시 30분 후포항을 출발하여 오후 1시 30분에 저동항에 입항하였다. 다행히 날씨가 .. 나무를 찾아 2011.05.22
32. 기후가 변한 탓인가? 이런 나무가 여기서. 2011년 4월 23일 토요일 2010년 백양나무를 확인하고자 수소문해 본 결과 대구아양초등학교 울타리 부근에 백양나무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지하철1호선 아양교역에서 내려 200m 정도 걸으면 학교 교문에 들어서게 된다. 오늘 아양학교에서 알게된 사실은 첫째는 겨울에 얼어 죽을까하.. 나무를 찾아 2011.04.23
31.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병산서원의 배롱나무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번지 병산서원에 있는 보호수 배롱나무 고유번호 : 08. 04. 1 지정일자 : 2008년 4월 7일 수종 : 배롱나무 수령 : 지정 당시 380년이며 지금도 잘 자라고 있다. 둘레 : 지정 당시 85cm <사진 1> 병산서원에 자라고 있는 배롱나무를 시 보호수로 지정하였다는 안내문 <.. 나무를 찾아 2011.03.17
30.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의 보호수 은행나무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에 있는 보호수 은행나무 고유번호 11-14-4-3 수 종 : 은행나무 지정일자 : 1982년 10월 20일 수령 : 지정 당시 약 400년 이 나무는 광흥사 주차장에 위치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나무를 찾아 2011.03.17
29.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에 있는 만귀정(晩歸亭)에 가다. 2011년 3월 11일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에 있는 만귀정(晩歸亭)을 찾았다. 가야산 자락에 위치하여 고로쇠물이 많이 나는 곳이다. 날씨가 추웠던 탓으로 아직 풀은 돋아나지 않았다. 그래도 새봄을 맞기 위해 나무들은 움을 틔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성주 출신 응와(凝窩) 이원조(李源.. 나무를 찾아 2011.03.11
28. 우리 나라에서 가장 굵은 나무는 용계리 은행나무! 우리 나라에서 가장 굵은 나무인 천연기념물 제175호 은행나무를 찾아 나섰다. 1. 있는 곳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 2. 날 짜 : 2010년 10월 19일 3. 동행인 : 가족 탐방 4. 경 로 : 오전 8시에 집을 나섰다. 중앙고속국도 안동방향으로 차를 달렸다. 의성나들목에서 내려 35번 국도를 이용하.. 나무를 찾아 2010.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