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부산광역시 대연수목전시원을 찾아서(2) 부산광역시 대연수목전시원을 찾아서(1)에서 계속 <사진 1> 산겨릅나무다. 단풍나무과의 갈잎나무로 잎몸은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 밑부분에서 5개의 주맥이 발달하며 잎은 마주나고 줄기는 녹색이다. 민간에서는 벌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진 2>.. 나무를 찾아 2012.03.17
56. 부산광역시 대연수목전시원을 찾아서(1) 2012년 3월 14일 부산광역시 대연수목전시원을 찾았다. 대연수목전시원의 위치는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713번지 일원이다. 이 수목전시원이 이루어지기 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1978년 - 2002년 까지는 양묘장 조성 및 운영 2002년 8월 - 대연수목전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민들에게 개방.. 나무를 찾아 2012.03.17
55. 난대림 완도수목원에서 난대림 수종이 많은 전라남도 완도수목원을 찾아서 1. 날짜 : 2012년 2월 15일 2. 수목원의 규모(안내서의 자료 참조) 완도수목원은 전라남도에서 운영하는 공립수목원으로 1991년에 개원하였으며 국토의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어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조건을 간직하고 있는 국.. 나무를 찾아 2012.02.19
54. 경주 양동(良洞)마을과 나무들 경주 양동(良洞)마을과 나무들 양동마을은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6번지에 있으며 현재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 양동마을은 설창산(雪蒼山)을 주봉으로 하여 ‘물(勿)’자 모양으로 뻗어내린 세 구릉과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마을은 상류층 양반들이 대대로 살아온 곳.. 나무를 찾아 2012.01.20
53. 영해 원구리의 난고종가(蘭皐宗家)를 찾아 2012년 1월 6일 경북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의 난고정종가(蘭皐亭宗家)를 가다. 조선 중기에 위대한 일을 하고 짧은 생애를 살았던 의병장, 집안의 효자, 문학의 학자로서 영원한 불멸의 혼을 남긴 난고(蘭皐) 남경훈(南慶薰, 1572-1612)의 종가로 아들인 안분당(安分堂) 남길(南佶, 1595-1654)이 조.. 나무를 찾아 2012.01.09
52. 영해 경수당종택(慶壽堂宗宅)의 나무들.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경수당(慶壽堂) 향나무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경수당을 찾았다. 이 향나무는 경수당(慶壽堂) 박세순(朴世淳,- 1539-1612)의 종택에 있는 나무로 박세순이 울릉도에서 자라던 300년생 향나무를 이 곳에 옮겨 심었다고 하니 이 나무의 나이가 지금은 700년이 .. 나무를 찾아 2012.01.09
51. 영해의 새천년 숲 2012년 1월 6일 영해의 새천년기념마을숲을 가다. 2000년 4월 17일에 조성된 새천년기념마을숲은 경북 영덕군 영해면 원구1리에 있으며 원구1리 마을추진협의회에서 조성한것이다. 새천년이란 서기 2000년이 된 해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여 쓰인 용어로 보면 될 것 같다. 이 숲 나무의 수종은 .. 나무를 찾아 2012.01.08
50. 겨우살이를 찾아 팔공산을 가다. 겨우살이를 찾아 팔공산을 가다. 1. 날 짜 : 2011년 12월 12일 2. 이야기 지금 까지 팔공산을 여러번 갔었지만 주로 경치와 식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실 팔공산은 불교의 자취를 빼고 생각하기란 쉽지 않을 정도로 불교와 깊은 관계가 있는 산으로 서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동화사 .. 나무를 찾아 2011.12.23
49. 작품 같은 향나무를 보다. 작품 같은 향나무를 보다. 1. 날 짜 : 2011년 12월 15일 2. 동 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겨울인데도 오늘은 날씨가 무척 따뜻하다. 꼭 산행을 하기에 알맞은 날씨다. 이 향나무는 동해안의 바닷가의 절벽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나무의 나이가 오래된 나무라기 보다는 하나의 .. 나무를 찾아 2011.12.17
48. 안동 석수암 뚝향나무를 찾다. 안동 석수암 뚝향나나무를 찾다. 1. 날 짜 : 2011년 12월 5일 2. 동 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석수암에 있는 이 향나무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 106호로 지정되어 있고, 소재지는 안동시 안기동 276번지에 있다. 이 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 정도이며 높이는 12m, 밑둥치 둘레는 4m 이다. 옆으로 뻗은 가.. 나무를 찾아 201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