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생약 36

16. 붉나무의 신비한 상식

우리 나라에서는 별로 선택 받지 못하는 나무로 붉나무가 있다. 단풍이 곱게, 붉게 든다하여 붉나무로 불리고 있다. 예부터 우리 나라에서는 복사나무처럼 귀신과 관계 있는나무로 알려져 있기도 한 나무이다.쌍떡잎식물/무환자나무목/옻나무과 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붉나무, 염부목, 염부자, 불나무, 뿔나무, 굴나무, 북나무, 오배자나무, 백충창,  문합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붉나무는 가을에 단풍이 붉게 아름답게 든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옻나무과에 속하며 높이 7m까지 자라며 잎은 7-13장의 홀수로된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되어있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잔잎과 잔잎 사이에(잔 잎이 달린 축에) 날개가 달렸다. 열매는 핵과로 붉게 익으면 표면에 흰가루 같은 것이 덮혀 있는데 이 가루의 맛..

좋은 생약 2009.12.09

15. 다시 보아야할 느릅나무의 가치

1. 느릅나무의 생김새 ⊙  느릅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춘유 또는 가유 라고도 부른다. ⊙  나무가 분포되고 있는 지역은 우리 나라, 일본, 사할린, 쿠릴열도, 중국 북부, 동시베리아 등지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맥이 12 - 18쌍으로 잎의 앞면은 털이 많아 아주 거칠고 뒷면은 잎맥이 불룩하게 튀어나오고 앞면보다 매끄러운 편이다.⊙  잎가의 톱니는 일정하기 않고 불규칙하게 나 있다.⊙  꽃은 3-5월경에 잎이 피기 전에 피며 취산꽃차례로 피며 7-15개 정도가 모여서 핀다.           2.  느릅나무의 이용  봄에 돋아난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또 잎은 그늘에 말려서 가루를 낸 다음 소금물로 반죽하여 여러 가지 음식에 양념으로 넣어 먹으면 부종과 소변을..

좋은 생약 2009.08.31

14. 마가목이 약나무로는 으뜸이라고 하는데,

1. 마가목이란 어떤 나무인가 ?     열매가 익지 않았을 때의 마가목    ⊙  마가목은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으로 소엽이 달린 잎자루는 서로 어긋나고 우상복엽(예:아까시나무처럼)의 작은잎은 9~13개가 달리고 그 작은 잎의 모양은  긴타원형이며 뾰족한 편입니다.⊙  잎 둘레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그리고 줄기는 갈색입니다.⊙  5~6월에 백색꽃이 피어 10월경에 붉은 열매가 익습니다.⊙  마가목의 종류는 몇가지가 있는데, 마가목, 당마가목, 산마가목, 잔털마가목, 차빛당마가목, 서양마가목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두 가지 구별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마가목은 작은 잎의 수가 9~!3개이고, 당마가목은 13개 이상입니다.  울릉도에 자라는 것은 대개 당마가목이고 가로수나 정원수로 더러 심는 것은 서양..

좋은 생약 2009.07.07

13. 나무의 수액에 대하여 알아본다.

'나무의 생체 속에 들어있는 물인 수액은 생명체에 가장 이로운 물' 1. 수액을 이용할 수 있는 나무의 종류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층층나무, 혓개나무, 노각나무, 머루덩굴, 다래덩굴, 으름덩굴,자작나무, 단풍나무, 서어나무, 피나무, 삼나무, 대나무 등에서 약효가 좋은 수액을 얻을수 있다.   2. 수액의 특성● 박달나무의 수액 - 맛이 담담하고 시원하다.          ● 층층나무의 수액 - 수액의 양이 많고 독특한 향이 있다.         ● 헛개나무의 수액 - 맛과 향이 일품일 뿐아니라 간 기능을 회복하고 술독을 푸는데 최고의 음료가 된다.         ● 대나무의 수액 - 중풍이나 고혈압, 심장병에 좋은 효과가 있다.         ● 머루덩굴 수액 - 간장의 질병이나 신장..

좋은 생약 2009.07.05

12. 감기는 아닌데 기침이 심했는데 고쳤습니다

감기는 아닌데 기침이 매우 심하였습니다. 물론 감기에 걸렸을 때는 매우 심하였습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가 제일 심했고, 평시 시간을 보낼 때도 기침이 매우 심했으며 병원에  다니기는 하였으나 나이 탓인지 몸이 개운하지 않았습니다. 기침은 시도 때도 없이 났습니다.   민간에서 쓰는 처방들  !     1.은행을 먹고 기침을 멎게 하였습니다.        은행을 구워서 3-4알을 하루 3-4회 나누어 복용한 결과 제일 많은 효험을 보았고, 거짓말 같이 기침이 멎었습니다.        은행을 먹을 수 있도록 가공하는 과정을 소개하면10월 하순경 은행이 나무에 달렸거나, 떨어진 것을 비닐주머니에 넣고 입구를 봉합니다. 약 한 달정도 그대로 썪힙니다(은행의 껍데기를 벗기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 맑은 ..

좋은 생약 2009.05.18

11. 탈모를 막는데 사용되는 음식도 있는가?

탈모의 원인과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예방과 치료도 여러 가지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탈모에 대한 상식적인 면을 살펴보면 탈모에는 연령에 따라 노인성, 장년성의 구별이 있고 비듬에 의한 탈모,  원형탈모와 같은 흔한 탈모도 있다. 또 위축성 탈모도 있고 성병에 의한 탈모도 있으므로 치료에 앞서 탈모의 원인을 정확히 아는 일이 중요하다.      요즈음 민간에서 탈모의 방지와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사례를 들어보면검은콩과 검은 참깨를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아침 공복과 저녁에 한 컵 씩 타서 마십니다. 이웃집에 사는 육십대 남자의 경우 매일 아침 생두부를 두 모 씩 먹었더니 검은 머리카락이 다시 난다고 나에게도 열심히 권하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검은콩 1되, 참깨 1홉, 율무 1..

좋은 생약 2009.05.18

10. '경옥고'는 황제가 복용하던 장수약이라는데'

경옥고는 장수의 묘약으로 황제가 오래 살기 위하여 먹었던 약으로 전해져 오고 있으며, 그 약의 구성은                     생지황  9,600 g,  백복령  1,800 g,  인삼  900 g,  꿀  6,000 g이다.   경옥고는      정액, 진액을 늘리고          골수를 보하여             모발을 검게 하고                 치아를 소생시키며,                    온몸이 두루 충족되어 모든 병을 제거한다고 전해져 온다.    또 만성 실혈성 빈혈을 일으키는 동물실험에서        적혈구와 혈색소 증가,            체중 증가,               추위와 산소, 기아를 이겨내는 힘의  증가,                  피로..

좋은 생약 2009.05.17

9. 여성의 생리복통에 이용했던 익모초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2년생 짜리도 있음) 풀로써 6월이나 7월에 접어들면 꽃이 피기 시작한다. 익모초를 채취하기 좋은 때는 꽃이 필 무렵이며 생즙을 만들어 마시던가 햇볕에 말리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 다시 달이거나 가루로 만들어 환을 지어 먹는다. 맛은 많이 쓰고 맵다. 그러나 독성이 없고 성질은 약간 찬 편이다.     4.  쓰이는 곳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을 푸는데 효력이 있다. 여성의 월경, 임신, 출산시 당귀와 함께 사용되므로 어미에게 이로운 풀이라하여 '익모초'라고 부른다. 월경불순, 월경전 복통, 타박상, 어혈로 인한 여러 가지 통증을 없애주는데 사용된다. 또 어혈을 제거하여 지혈시키는 효능이 있어 하혈과 출혈을 억제시키는데도 사용하였다.     5. 민간에서는 여..

좋은 생약 2009.05.17

8. 말 그대로 감초는 감초

1. '약방의 감초'라는 말로 널리 알려진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약으로 사용하는 부위는 뿌리로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채취하는데 가을에 채취한 것이 상품으로 거래된다.    2. 제조 과정은 채취하여 절편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리거나 약하게 불을 지펴 그 위에 널어서 말린다.보통 껍질을 벗기지 않고 물에 깨끗이 씻어서 말린다.     3.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홍갈색 혹은 암갈색을 띤다. 우리 나라에서 많이 재배하며 중국,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쓰이는 곳은해독작용을 주로 하고 비위가 약한 것을 보강해주며,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여 줌과 동시에 여러 가지 약의 성분을 고르게 조화시켜 약의 효능을 증진시킨다. 한약을 조제..

좋은 생약 2009.05.17

7. 쇠약해진 몸에 기운을 주는데는 구기자가.

1. 구기자에 얽힌 이런저런 이야기  구기자는 '구기자나무' 또는 '피좆나무'라 부르는 나무의 열매를 '구기자'라 하는데 지금부터 2,000여년 전에 나온 약방서에 실려있을 정도로 약재로 사용된 것은 오래입니다. 본초학 - 허약한 것을 통제하고 정기를 도우며 풍을 없앤다. 양도를 왕성하게 하고 허리와 다리를 튼튼하게 하며, 가쁜숨을 고르게 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한다. 꾸준히 먹으면 오래 살 수 있으며 정액과 피를 보충하고 눈을 밝게 합니다.  정력을 기르는 일은 예로부터 유명하여 집을 떠나 있을 때 구기자를 먹으면 강해지는 정력을 감당하기 힘드니 먹지말라고 하였고 중국에서는 승려가 구기자를 먹으면 수행에 방해가 되니 피하라는 가르침이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구기자는 옛날부터 늙지않고 오래 ..

좋은 생약 2009.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