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46

641. 산청(山淸)에 백운(白雲)이라.

1. 날짜 : 2024년 7월 18일 2. 동행 : 젊음의 청춘 3. 이야기   산청(山淸)에 백운(白雲)이라서 더욱 빛나는 백운계곡이다.  올해는 장마가 시작도 끝도 없이 오래 계속이다. 어제도 장대비가 쏟아졌다. 비가 오려는 준비도 없이 갑자기 쏟아지는 일이 다반사다. 그런데 다행히 젊음의 행진은 날씨 궂은 일 없으니 복받은 모임이다. 오늘도 장마중이지만 날씨는 그런대로 괜찮으니 젊음의 행진은 영원하리.   오늘 찾은 곳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의 산청 백운계곡이다. 이름만 들어도 바위를 두드리는 맑은 물소리와 시원함이 있는 곳임을 암시한다.  그리고 남명 조식 선생의 자취가 많이 남아있는 곳 또한 산청(山淸)의 백운계곡(白雲溪谷)이다. 남명선생이 지리산의 경관중에서 가장 뛰어난 곳이 백운동이라 세 ..

산이 좋아서 2024.07.19

217. 울진 북면 덕구저수지에서.

1. 날짜 : 2024년 5월 24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 불렀다. 산천이 수려하고 이에 맞게 자라는 초목들도 환경에 맞추어 제 자리에서 제 구실을 하니 그 아름다움이야 무엇에 비유할까? 그 이름 금수강산이다.  5월하면 초목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한껏 켜고난 다음이다. 돋아날 초목들의 눈은 모두가 제자리를 잡고 제 일을 시작했을 때다.   울진군 북면 덕구온천을 갔다. 언제 부터인가 덕구온천 못미쳐 덕구온천원탕이 있는데 이 곳에서 온천욕을 한다. 사람들의 이야기로는 이 곳이 더 온천욕의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다. 과학적인 이야기도 아니고 전부터 있었던 곳이기에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2023년 여름 이 곳에서 온천욕을..

견문은 넓게 2024.07.15

65. 안심(安心) 연꽃단지에서.

1. 날짜 : 2024년 7월 6일2. 동행 : 둘째네와3. 이야기  2019년 8월 먼 곳 까지 가지않고 안심 가남지에서도 가시연꽃을 볼수있다기에 가시연꽃과 연밭을 돌아보았던 곳을 이번에는 둘째네와 함께 가족나들이를 한다. 불교에서 연꽃은 아주 인연이 깊은 꽃이다. 연을 이야기할 때 잎과 줄기가 크고 높게 자라는 것은 연이고, 잎과 꽃이 물위에 떠있는 수련이 있는데 요즘에는 연이나 수련이나 모두 불가에서는 구별하지않고 좋아한다.   아침 9시 30분 집을 출발하여 안심 연밭이 있는 곳 까지 가는데 거리가 멀다보니 시간도 많이 걸린다. 전에 이곳을 찾았을때는 지하철을 이용하여 안심역 까지 가서 다시 1.7km 정도를 걸어서 연꽃단지를 찾았다. 올해는 연이 아주 잘 자란 것 같다. 꽃은 이제 막 피기 시작..

풀을 찾아서 2024.07.08

457. 세잎종덩굴을 알자.

노랗게 핀 꽃은 2024년 6월 5일 지리산 노고단에서 본 덩굴성나무의 꽃이다. 그리고 할미꽃처럼 둥글게 늘어뜨린 열매는 2024년 6월 21일 팔공산 비로봉 아래에서 본 열매다. 꽃과 열매를 다른 곳에서 본 같은 식물이다.   꽃잎처럼 노랗게 보이는 것은 꽃잎이 아니고 꽃받침조각이며 꽃잎은 따로 있다. 꽃받침조각의 색이 노란색이라서 이 나무는 전 같으면 '누른종덩굴'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는 작은잎의 형태와 털의 유무, 꽃받침조각의 색과 형태에 따라 종덩굴의 종류를 달리하여 구분하였는데, 이렇게 분류되는 형질들이 모두 세잎종덩굴(C. koreana Kom.) 형질에 포함되므로 이들 모두를 세잎종덩굴에 통합하였다.이렇게 이야기하면서 세잎종덩굴에 대한 특징을 덧붙인다.  국명  :        [비추천명 ..

나무를 알자 2024.07.06

640. 6월의 금수암(金水巖)을 찾다.

(金水巖) 을 찾다>1. 날짜 : 2024년 6월 26일 2. 동행 : 나미회 3. 이야기  6월의 금수암(金水巖)은 가는 길도 푸르다.  보통 ‘금수암’이라하면 무슨 암자(庵子)가 있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그도 그럴것이 일정한 바위를 두고 이름을 붙인 경우라고는 생각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설악산의 울산암은 울산바위를 뜻한다. 주왕산의 기암하면 역시 바위를 뜻한다. 그러나 보통 '무슨산 무슨 암'이라면 어떤 본절에 딸린 작은 암자를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오늘 오르는 금수암은 바위에서 금빛을 띠는 물이 솟는 바위를 말한다. 그래서 붙인 이름이 '금수암(金水巖)'이다.  금수암을 생각하면 몇 년 전 비슬산 암괴류가 있는 곳에서 멀지않는 곳에 외롭게 서있는 석불이 있었다. 이 곳에는 석불을 돌보는 한 스님..

산이 좋아서 2024.06.30

64. 팔공산에서 국화방망이를 찾다.

팔공산에서 국화방망이를 찾다>1. 날짜 : 2024년 6월 21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전국 국립공원중에서 23번째다.  지난 5월 22일 팔공산 명품철쭉을 찾아 갔을 때는 너무 이른 때여서 꽃이 피는 시기를 맞추느라 이렇게 늦었다. 올해는 왜 그런지 계획한 일들이 자연의 이치와 맞는 일이 거의 없다. 늘 기다리다보니 지각이다.   일기예보에 6월 22일과 23일에는 비가 내린다고 하니 비가 오기전에 자료를 찾아야겠다고 집을 나선다. 찾고자하는 나무는 두 종이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깃대종으로 담비와 국화방망이를 선정하였는데 담비는 살아있는 동물이니 눈에 띄지는 않을 것이고 식물인 국화방망이는 꽃이 활찍 피었을 것이라 예상하고 찾는다. 그리..

풀을 찾아서 2024.06.24

639. 비진도(比珍島)는 난대림수목원

(比珍島) 는 난대림수목원> 1. 날짜 : 2024년 6월 19일 2. 동행 : 젊음의 청춘들 3. 이야기   한 번은 꼭 가고 싶었던 섬 비진도(比珍島)를 간다.  비진도는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에 속하는 섬으로 면적은 약 2,766㎢로 통영항에서 14km의 거리에 있다. 통영항여객선터미널에서 비진도 내항 까지 운임은 주중 왕복요금 일반은 19,200원, 일반단체는 17,440원, 경로는 15,840원이다.  비진도는 보배에 견줄만한 섬이란 뜻으로 산물이 많아 보배로운 섬이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적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곳으로도 유명한 섬이다. 섬의 풍광이 뛰어나고 해산물 또한 풍부하여 웰빙시대에 발맞추어 관광업으로도 이름난 곳이다.   지금 까지 남해안의 여러 섬들을 많이 살폈다. 동백..

산이 좋아서 2024.06.22

638. 2024년 덕유산 향적봉에서.

1. 날짜 : 2024년 6월 13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날씨가 덥다.  아직 6월인데 날씨가 찌다 못해 굽는다. 볕이 따가와서 살갗이 탄다.  오늘도 기온은 34도를 웃돌고 오존주의보 발령이라 노약자나 어린이 그리고 호흡기질환자들은 야외활동을 지양하고 건강하게 지내라는 이야기다. 앞으로 지구기온의 변화로 생활이 많이 힘들 것 같다. 이에 살아 남으려면 나도 너도 그 방법을 알고 대비를 해야한다.  그래도 어디 시원한 곳이 있는가 해서 한 바퀴 돌아오기로 했는데, 정한 곳이 덕유산 설천봉을 올라 향적봉을 돌아오기로 한다. 그래도 높은 곳이니 평지보다는 시원하지 않을까 해서다. 아침 7시 집을 나서 광주·대구고속도로를 달린다. 논공휴게소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계속 달린다. 무주리조트에는 ..

산이 좋아서 2024.06.15

130. 사연이 있는 나무들.

1. 살핀 날 : 2024년 6월 10일 2. 이야기 주변에는 나무를 사랑하고 아낀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다.  나무가 어려움을 당해 더 이상 자리를 지키지 못하거나 생장을 계속하지 못하게 될 경우 이 나무가 계속 생장을 할 수있게 노력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우리들의 주변에는 매우 많을것으로 생각된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두 나무는 두류공원에서 자라고 있는 느티나무와 배롱나무다.  느티나무는 본디 성서 이곡2동에 자라던 나무인데 이 지역이 성서공단조성 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이 곳 두류공원에 옮겨져 자라고 있는 나무다  지역주민들의 사랑을 받던 나무였기에 나무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주민들의 뜻에 따라 이 곳에 옮겨져 자라고 있지만 전부터 이 나무와 인연을 맺은 사람들의 사랑을 지금도 받고 있다는 이야기다. ..

나무 이야기 2024.06.12

637. 신록(新綠)의 노고단에서.

1. 날짜 : 2024년 6월 5일 2. 동행 : 젊음의 청춘들 3. 이야기   오늘 날씨는 구름 한 점 없는 푸른 하늘이다.  지리산의 한 축을 차지하는 노고단은 해발 1,507m로 지리산 봉우리들 중에서 세 번째로 높다.  이 노고단을 오늘로 세 번째 찾는다.  처음은 산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살폈고, 다음은 2016년 8월 산오이풀이 꽃을 피워 노고단을 치장해 주었을 때다. 오늘은 6월 초순이니 신록이 우거진 노고단의 모습을 살피게 되는 셈이다.   2016년 8월 17일은 집에서 차를 운전해서 성삼재에서 부터 여유있게 주변을 살피며 하루를 보낸 날이다.  그러니 오늘은 마음의 여유를 갖고 살피면서 걷는다. 다만 체력이 문제다. 전에는 체력이 문제되는 일 없이 마음 내키는대로 할 수 있을 때였으니 무..

산이 좋아서 2024.06.09

636. 비슬산의 신록(新綠).

1. 날짜 : 2024년 5월  31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2024년 4월 26일 비슬산 대견봉에서 봄을 찾았는데, 올해는 진달래가 피는 봄을 놓쳤다. 봄이 오긴했는데 언제 왔다가 갔는지 잡지를 못했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암괴류의 생태는 살필수 있을까 했는데 이마저도 올해는 허사다.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서 알게 모르게 암괴류 아래에는 물이 흐르고 있어 생물들이 살아가는 세상이 있다.  그래서 암괴류가 있는 곳을 암괴류의 생태계라 불러왔다. 우선 첫봄에 정향나무가 암괴류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꽃을 피운다. 그리고 말발도리가 천연기념물인 암괴류 안에서 화원을 이룬다. 이어서 모든 풀들과 나무들이 자라나서 암괴류동네의 신록을 이룬다. 그래서 암괴류 속은 알게 모르게 생물들이 살..

산이 좋아서 2024.06.07

82. 가지산 석남사를 찾다.

1. 날짜 : 2024년 5월 29일 2. 동행 : 나미회에서 3. 이야기   석남사라면 영남지방에서는 역사가 깊은 이름난 사찰인데 조용히 살피려고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데 지금 까지 여러번 찾은 절 같이 친근한 느낌이 드는 까닭은 무엇인가? 아마도 2012년 11월 가지산을 탐방할 때 쌀바위 방향으로 하산하면서 일주문을 지난 일이 기억에 남았거나 아니면 여러 사람들에게서 들은 이야기가 있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또 나무에 관심을 두다보니 석남사 일주문을 지나면 길 옆에서 반겨주던 나무가 서어나무가 아닌 우리 지방에서는 보기 힘든 개서어나무라는 것을 생각하고 있어서인지도 모른다. 지금도 석남사 가는 길 옆에는 잘 자란 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가 개서어나무라는 것만 알고 있으니. 어찌보면 생..

43. 숲속의 국립청도숲체원에서 .

1. 날짜 : 2024년 5월 29일 2. 동행 : 나미회에서 3. 이야기   요즘들어 숲 이용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들린다. 오늘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운영하는 국립청도숲체원을 찾았다.  형편상 활동에 맞는 준비를 하지 못하고 아쉽지만 숲을 탐방하는 활동으로 마치기로 한다.    국립청도숲체원에 들어섰을 때는 정오라서 햇살이 제법 따가왔지만, 숲속이라서 시원하고 어딘가 모르게 안정된 느낌이 들었다. 오늘 교육에 참가하기 위해 예약을 하지않는 경우 정문에서 차량 출입이 되지 않는다. 일반 방문객은 일반 도로에 주차를 하고 방문을 해야 한다니 이에 따를수밖에 없다. 아무리 답답한 놈 샘을 판다고 하더라도 찾아온 방문객들 입장에서는 일반 방문자들을 위한 공영주차장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운영될것을 바라면서 이 ..

좋은 이야기 2024.06.02

397. 팔공산 명품철쭉을 찾아서.

1. 날짜 : 2024년 5월 22일 2. 동행 : 산행인과 함께. 3. 이야기    오늘은 군위 팔공산 하늘정원을 오른다. 그것도 등산으로 올랐으면 좋으련만 군위 동산계곡을 승용차로 오른다. 보통 같았으면 오도암으로 제1주차장에서 오도암 714계단을 오르는 것으로 막을 올리겠지만 오늘은 그냥 하늘정원 까지 차로 오른다. 며칠전 봉화 우구치리 550년 철쭉을 돌아보고 팔공산에도 이에 못지않는 철쭉이 있어 찾아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오르면서 제일 궁금한 것은  팔공산 비로봉 아래서 자라는 철쭉을 확인하는 일이다.  그리고 오도재에서 자라던 큰앵초 군락은 어떻게 되었는지?  또 팔공산에서 자라는 꼬리말발도리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23번째다. 그래서 지정된 깃대종이 ..

나무를 찾아 2024.05.26

42. 동명 남원리의 아름다운 거리

1. 날짜 : 2024년 5월 21일 2. 동행 : 가족탐방 3. 이야기   요즘 전원마을이란 말을 많이 사용한다. 전원마을이란 말 그대로 자연이 살아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경제적 어려움이 많았던 시절에는 생활여건이 미치지 못해 생각의 영역도 좁았겠지만, 현재는 그 때 보다는 생활양식도 변화가 많고 사람들의 생각 또한 여유가 있어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비중이 높아가고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마을 이야기다. 이 마을의 위치는 가산산성 진남문 앞쪽에 공영주차장이 있고 바로 이 주차장 아래가 집들이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생활의 공간이 넓고 조용하며 풍요로워 보인다. 거리도 깨끗하고 주택들도 여유가 있어보인다. 골목길을 다녀보면 집안도 꽃의 향이 넘치고 정경 또한 아름답다.  어떤 길에는..

좋은 이야기 2024.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