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52

390.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기념공원에서.

1. 날짜 : 2024년 2월 23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2월의 날씨는 갈피를 잡기 힘든다. 기온이 올라서 포근하다 싶으면 어느새 쌀쌀해져 감기몸살에 걸리기 쉬운 날씨가 된다. 입춘이 지나 봄소식이 전해질 시점인데 오늘은 우리나라 곳곳에 눈이나 비가 내린다고 한다. 이런 변덕이 심한 날씨가 일주일을 넘기고 있다. 특별한 기상예보에 오늘 영동과 내륙지방에 봄눈이 많이 내렸다. 각 마을은 장비를 동원해서 눈을 치워야할 정도로 눈이 많이 쌓였다. 대구에도 팔공산 정상 부근에는 흰 눈이 쌓였다. 그래서인지 바람살이 매우 차다. 며칠전 지인이 알려준 봄소식에 국채보상공원에 매화가 피었다는 소식이 올랐다. 그것도 활짝 피었다는데, 며칠을 보낸 오늘 오후에 국채보상운동공원에 간다. 10여년전에 이 공..

나무를 찾아 2024.02.24

629. 마산항포구 서원곡에서 봄을 찾다.

1. 날짜 : 2024년 2월 21일 2. 동행 : 젊음의 청춘들 3. 이야기 머위가 꽃대를 올리고 있다. 오늘은 마산 서원곡 계곡에서 봄을 맞는다. 날씨는 연 사흘을 찌푸리고 있다. 그러다가 빗방울을 떨어뜨리다 그쳤다 하면서 봄날씨 값을 한다. 이틀간 비가 내려 산길이 비끄러울 것 같아 산행을 미루고 둘레길도 아닌 쉽게 말해서 서원곡 입구에서 봄을 살피기로 한다. 이 골짜기에는 바닷가라서 그런지 기도처가 유난히 많이 보인다. 그리고 암자도 여럿이고 또 절도 보인다. 데크길을 따라 골짜기를 오른다. 골짜기가 그런대로 매우 깊게 보인다. 물에 젖은 데크길도 미끄러운 곳이 있다. 그래도 이 곳은 남부지방이라서 그런지 겨울을 지낸 채소들이 파릇파릇 새싹을 보인다. 순천시의 금둔사에는 납월매가 피었는지..

산이 좋아서 2024.02.22

628. 수목원에서 봄을 찾다.

1. 날짜 : 2024년 2월 17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오늘이 2월 중순을 지난 2월 17일이다. 날씨가 겨울날씨 답지 않게 포근하다. 너무 오랫동안 나들이를 하지 않아서 바람을 쐴겸 정한 곳이 수목원이다. 지금쯤 수목원의 봄은 어디까지 왔을까 궁금하여 아침 8시 30분 집을 나섰다. 전에는 집에서 수목원이 가까워서 자주 갔던 곳인데 지금은 그것도 아니다. 지하철로 가는날도 있지만 오늘은 승용차로 간다. 아무래도 시간은 절약된다. 남는 시간만큼 더 살필 수 있어 좋다. 수목원에 들어서면서 세복수초를 찾는다. 세복수초는 잎이 세밀하게 갈라져서 부르는 이름인데 보통 잎과 꽃이 전개된 상태로 찾는다. 그런데 세복수초의 꽃송이가 수줍어 고개를 들지못한다. 빛이 없는 곳에서는 꽃봉오..

산이 좋아서 2024.02.19

39. 경산 치유의 숲에서.

1. 날짜 : 2024년 2월 14일 수 2. 동행 : 나미회 회원 3. 이야기 오늘 날씨는 봄날처럼 포근하다. 지금이 2월 초순이고 겨울의 가운데인데, 날씨는 약한 비가 내리지만 포근하다. 기상대에 의하면 앞으로도 그렇게 추운 날씨는 없을 것이란 예보다. 그러나 자연이란 변화무쌍하여 언제 다시 겨울의 매서운 추위가 있을지도 모른다. 경산시는 인근에 있는 백자산(柏紫山) 기슭에 치유센터와 풍욕장, 명상장, 힐링장 등을 갖춘 ‘경산치유의 숲' 을 조성하고 문을 열었다. 지금 현재는 시범운영을 하고 있으나 3월 부터는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는 이야기다. 치유의 숲에는 전문자격을 갖춘 산림치유지도자 4명이 일반인들을 상대로 다채로운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람은 자연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기에 자연속에서..

좋은 이야기 2024.02.14

215. 북구 연경동 광해군 태실을 가다.

1. 날짜 : 2024년 1월 28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전부터 찾고 싶었던 광해군의 태실을 오늘 살폈다. 2014년부터 북구 연경동 일대가 공공주택지구로 개발되면서 한 때는 태실의 위치마저도 분명치 않았을 때도 있었다. 지금은 어느정도 개발사업이 정리되어 가는 시점이라 위치를 다시 알아보기로 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현장에 접근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북구에 있는 연경초등학교 앞에 버스 정류소가 있다. 버스 급행6번이나 503번, 또는 동구 8번, 9번 그 외 또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연경초등학교 앞 까지 와서 내린다. 그리고 연경초등학교 앞을 지나 우방아파트 못 미처 오른쪽으로 난 길을 간다. 이 길은 좁은데 결국 연경초등학교와 우방아파트 사이의 길을 걷게된다. 이 길을 끝..

견문은 넓게 2024.01.29

389. 북구 연경동(硏經洞) 천년느티나무를 보다.

1. 날짜 : 2024년 1월 25일 2. 동행 : 자유탐방 3. 이야기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에 천년이 넘게 자란 느티나무가 있다. 그래서 이름도 천년 느티나무라 한다. 연경동은 배산임수의 자연적인 형상이 알맞아 예부터 사람들이 살기에 좋은 곳으로 알려졌다. 이 나무를 보려면 북구에 있는 대구연경초등학교에 가면 된다. 이 학교 앞쪽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다. 급행 6번 버스를 타거나 일반버스 503번을 타면 이 느티나무 옆에서 내린다. 2014년부터 연경동 공공주택단지가 조성되면서 이 느티나무의 생존이 염려되었다 한다. 그래서 대구시, 북구청, 주택공사, 대구시교육청 그리고 주민들이 뜻을 모아 천년느티나무를 살리기 위한 노력을 한 결과 현재의 모습으로 생장하고 있게 되었다. 그러니까 지역사회가 모두 힘..

나무를 찾아 2024.01.28

388. 상주 ‘하늘 아래 첫 감나무’를 중심으로.

1. 날짜 : 2023년 1월 24일 2. 동행 : 나미회 회원. 3. 이야기 일기예보에 내일은 날씨가 춥다고 한다. 아침에 일어나 먼저 일기예보를 살핀다. 영하 10도란다. 올 겨울들어서 두 번 째로 추운 날씨다. 이제 입춘도 가까워지고 있는데 봄을 재촉하는 추위라 생각된다. 평소 같으면 이런 날씨라면 집에서 기온이 조금 올라갈 때 까지 기다렸다가 두류공원 산책을 간다. 그런데 오늘은 그럴 형편이 못된다. 나미회 정일이기 때문이다. 계획은 9시 30분 성서 우체국 앞에서 만나 상주에 있는 ‘하늘 아래 첫 감나무’라 이름지은 산림청 지정 국가산림문화자산을 중심으로 몇 나무들을 살피기로 하였다. 기계가 알아서 길 안내를 해주지만 그래도 기계가 이따끔 마음에 들지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안동이 고향인 고문..

나무를 찾아 2024.01.26

5. 금봉산(金鳳山)에서 시작하다.

1. 날짜 : 2024년 1월 21일 2. 동행 : 자유산인들. 3. 이야기 2024년을 팔공산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비슬산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평범하고 일상적인 곳 두류공원 금봉산에서 시작한다. 늘 내가 다니던 그 길에서 잠시 멈춰 오늘의 뜻을 두고자 한다. 오늘이 1월 21일이면서 기온은 봄 같이 온화하다. 겨울이 겨울다울 때가 가장 좋은데 기후가 이상하리만큼 달라지려고 하는가? 다른 지방에는 눈이 온다고 하는데 여기는 비가 내렸다. 부지런한 사람 차 청소하라고 하는 것처럼. 늘 다니던 길을 걸어서 올랐다가 내린다. 두류공원 힐링숲 산책로에 물이 고인다. 비가오니 땅이 녹아서 질펀하다. 이런 길도 걸어봐야 안다. 걷기좋은 길과 그렇지 않는 길..

나의 이야기 2024.01.21

81. 고성 연화산(蓮花山) 옥천사(玉泉寺)를 보다.

1. 날짜 : 2024년 1월 17일 2. 동행 : 젊음의 청춘들. 3. 이야기 연화산은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과 영현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고성에서 서북쪽으로 12km 떨어진 곳에 있는 높이 524m의 산이다. 산세가 연꽃과 닮았다하여 연화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산이 높지는 않지만 자연경관이 수려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산이다. 이 산의 북쪽 기슭에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 옥천사(玉泉寺)가 있다. 옥천사라는 이름은 이 절 대웅전 뒤쪽에 사철 맑은 물이 솟는 샘이 있는데서 유래하였는데, 이 샘의 물은 위장병과 피부병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그 밖의 사찰로는 백련암(白蓮庵), 청련암(靑蓮庵), 연대암(蓮臺庵) 등이 있다. 문화재로 옥천사 자방루(滋芳樓-경남 유형문화재 5..

455. 남천

학명 Nandina domestica Thunb. ●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으로 높이 1-3m 정도 까지 자란다. ● 자연상태에서는 석회암지역에서 무성히 자라는 수종이다. ● 전남, 경남의 따뜻한 곳에서는 월동이 가능하나 중부지방은 불가능하다. ● 내음성이 강하여 큰 나무 그늘밑에서도 잘 자란다. ●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 비교적 각종 공해에 강하다. ●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3회 3출 깃꼴겹잎이다. ● 엽축에 마디가 있다. ● 작은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다. ● 잎은 길이 3~10cm로 톱니가 없고 잎자루 기부가 흔히 흑자색으로 된다. ● 잎은 겨울철 홍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 꽃은 양성화로 6~7월 가지 끝에 길이 20~30c..

나무를 알자 2024.01.15

38. 두류공원 숲속힐링산책로를 조성하다.

1. 날짜 : 2024년 1월 14일 2. 이야기 요즘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단어 ‘힐링’이 아닌가 생각된다. 일상에서 쉬고 회복한다는 뜻으로 흔히 쓰는 말이다. 힐링(healing)은 말속에 내포하고 있는 뜻이 많아서 간단하게 한 마디로 정의 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상처 또는 병이 치유되다’로 여기서는 몸을 ‘좋은 상태로 회복하다’의 뜻으로 쓰고자한다. 언제 부터인가 내가 늘 다니는 길인 두류공원 금봉숲길 중간에 ‘두류공원에 숲속힐링산책로'를 조성한다는 안내막이 쳐졌다. 공사 기간이 2023년 9월 7일부터 2024년 1월 4일 까지이다. 그런데 금봉산 산책로 대부분을 막았다. 공사에 필요한 부분만 막으면 좋겠는데 모든 길을 모두 막았다. 분명 좋은 일이고 시민들을 위한 일이긴 하지만 필..

좋은 이야기 2024.01.12

37. 시민광장을 둘러보다.

1. 올린 날 : 2024년 1월 7일 2. 이야기 언제 부터인가 두류운동장을 장막으로 가려서 안을 볼수도 들어갈수도 없다. 무슨 공사를 하는 것 같은데 알수가 없다. 그래도 주변을 살피며 걷다보니 공사안내를 볼수있었다. 내용인즉 ‘두류공원 시민광장 조성 사업’이다. 두류운동장이 두 곳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두류운동장은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는 두류운동장(테니스장)이 아니고 전 축구장(두류야구장)으로 알려진 두류운동장을 말한다. 많은 시민들이 아침 운동이 좋아서 운동장 둘레를 걷고 달리는 운동도 하고 또 축구공을 가지고 공을 차기도 하면서 몸을 단련하던 자유스럽게 이용하던 운동장인데, 막고 가리고 허물고 밀고 파고 묻고 하면서 시민광장을 만든다니 결과가 좋게 되기를 기다려 볼 수 밖에 없는 일이다. 공..

좋은 이야기 2024.01.07

454. 왜성 남천(유럽 남천)

1. 올린 날 : 2024년 1월 3일 2. 이야기 요즘은 작은 것이 대세인 것 같다. 토마토도 작은 것, 나무도 작은 것, 과일도 작은 것, 수박도 작은 것 모두가 원예용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다. 지난 5월부터 집에서 가까운 두류공원의 두류운동장과 주변 공사를 시작하였다. 이름은 시민 소통광장을 만드는 일이다. 시민들이 서로 소통을 통하여 의견을 나누고 여기서 얻는 민심의 흐름을 통하여 그 결과를 소통차원에서 활용하는 일종의 안이다. 참으로 좋은 일이다. 그런데 이 공사가 가을 치맥축제를 앞두고 마무리 되었다. 운동장 관람석 둘레에 여러 가지 풀과 나무들을 심었다. 그런데 키가 큰 나무는 없다. 모두 키가 작은 것들 뿐이다. 모두가 원예용으로 개량한 초목들이다. 이런 것들은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개량..

나무를 알자 2024.01.03

127. 천연기념물 지정 무궁화에 대하여.

1. 날짜 : 2024년 1월 1일 2. 이야기 우리나라 서해의 최북단 섬 백령도를 간다는 생각을 한지가 벌써 10 여년이 지났다. 그런데도 아직 이 모양이다. 우리나라 최북단의 섬 백령도에 가야할 까닭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잘 자란 무궁화가 있다길래 그걸 보고 싶었고, 또 백령도에서 자라는 뇌성목과 백령풀 등 초목들을 확인하고 싶어서다. 그런데 흐르는 세월을 이기는 장사가 없으니 앞 일이 분명하지 않다. 혹시나 좋은 기회가 있어 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현재로선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자료를 확인해보니 안타깝게도 백령도 옹진 연화리의 무궁화는 지금 현재 고사되어 천연기념물에서 해재되었다. 이제 천연기념물로 남은 것은 강릉 사천면 방동리에 있는 무궁화 뿐이다. 무궁화가 천연기념물이라면 정말 귀하고 자랑스..

나무 이야기 2024.01.01

126. 여주(驪州) 효종대왕(孝宗大王)의 영릉(寧陵) 회양목(淮陽木)에 대하여.

1. 쓴 날 : 2023년 12월 26일 2. 이야기 여주 효종대왕의 영릉(寧陵)에 있는 회양목은 2005년 4월 30일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459호로 지정된 나무다. 있는 곳은 경기도 여주시 영릉로 327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당시 나이는 300년 추정, 나무의 키는 4.4m, 가슴 높이 둘레는 동쪽 가지-0.29m, 서쪽 가지-0.43m, 수관폭-동서-4.4m, 남북-6.5m이다. 영릉(寧陵)은 조선조 제17대 효종대왕(1649년~1659년)과 인선왕후 장씨(1618년~1674년)의 쌍릉으로 원래 양주의 건원릉 서쪽에 있었으나, 1673년(현종 14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특히 영릉 재실은 현존하는 조선조 왕릉 재실 중에서 건물의 공간구성과 배치가 가장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

나무 이야기 2023.12.26